$\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색 양파분말 첨가 설기떡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steamed rice cake containing different amount of red onion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0 no.4, 2013년, pp.488 - 494  

황수정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색 양파 분말 첨가량(0, 3, 6, 9, 12)을 달리하여 제조한 자색 양파 설기떡의 기계적 품질특성과 관능적 품질특성을 평가하였다. 수분함량은 제조 직후 대조구가 43.74%였고, 자색 양파 분말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낮아져 12% 첨가가 37.02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물성 측정에서 탄력성, 부착성, 씹힘성은 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견고성과 응집성은 양파분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색도 L값은 설기떡에 첨가한 자색 양파 가루량이 많을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a값의 경우 제조 직 후 대조구는 2.18이었으며, 자색 양파 첨가량이 많을수록 적색을 띄는 것을 알 수 있었고, b값은 자색 양파 분말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관능검사는 색, 향, 맛, 촉촉한 정도, 부드러운 정도, 씹는 정도의 경우 자색양파 분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관능적 특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기호도는 자색양파 분말 9% 첨가구가 가장 기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설기떡에 자색 양파 분말을 사용함으로써 떡의 품질이 향상되어 건강 기능성 상품 개발이 가능 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자색 양파의 기능적 성분 분석 등의 연구가 부가되어 다양한 식품조리에 대한 응용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was done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the red onion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steamed rice cake, Seolgiddok, with 3%, 6%, 9% and 12% of the red onion powder weight in control. The moisture content of the control with 0% red onion was 43.74% and it steadil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능성과 천연색소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현실에서 기존의 양파에 천연색소를 가지고 있어 양파와 다른 기능성을 갖는 자색 양파를 저장성과 보관성을 높이기 위해 분말로 제조하였다. 이를 설기떡에 첨가함으로써 한국 전통 떡에 기능성 및 기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연구하기 위해 물리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측정하여 과학적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능성과 천연색소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현실에서 기존의 양파에 천연색소를 가지고 있어 양파와 다른 기능성을 갖는 자색 양파를 저장성과 보관성을 높이기 위해 분말로 제조하였다. 이를 설기떡에 첨가함으로써 한국 전통 떡에 기능성 및 기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연구하기 위해 물리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측정하여 과학적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파의 함유물질과 효능은? 또한 quercetin 관련물질과 allyl propyl disulfide, allyl sulfide, S-methylcystein sulphoxide와 같은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어 다양한 생리활성 및 항산화 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2), 항균효과(3), 항돌연변이 활성(4),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5) 등이 보고되고 있다. 특히 자색 양파는 안토시아닌 성분 등 유용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안토시아닌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되는 궤양과 경련의 예방, 설사예방과 위액분비조절, 당뇨예방, 심장병, 암 예방에 크게 도움을 준다고 보고되고 있다(6-8).
안토시아닌 성분의 효능은? 또한 quercetin 관련물질과 allyl propyl disulfide, allyl sulfide, S-methylcystein sulphoxide와 같은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어 다양한 생리활성 및 항산화 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2), 항균효과(3), 항돌연변이 활성(4), 혈중 콜레스테롤 감소(5) 등이 보고되고 있다. 특히 자색 양파는 안토시아닌 성분 등 유용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안토시아닌은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해 발생되는 궤양과 경련의 예방, 설사예방과 위액분비조절, 당뇨예방, 심장병, 암 예방에 크게 도움을 준다고 보고되고 있다(6-8). 자색 양파에 대한 연구는 황색과 자색 양파의 화학 성분(9), 면직물에서의 자색 양파 껍질 추출물의 염색성(10)만 보고되어 있는 상태로 국내산 자색 양파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며, 또한 양파는 높은 수분 함량으로 저장성이 매우 약하여 저장 기간 중 중량 감소 및 부패가 많이 일어나고 맹아, 발근 및 위조에 의해 상품가치를 상실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11)
양파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그중 양파(Allium cepa L.)는 백합과에 속하는 외떡잎 다년생 식물로 비늘줄기의 색깔에 따라 흰 양파(white onion), 노란 양파(yellow onion) 및 붉은 양파(red onion)로 구분된다. 양파는 다른 음식과 곁들여 먹으면 비타민 B1의 흡수가 촉진되어 신진대사가 높아 피로 회복이 빠르다고 보고된 바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Shin JS, Lee OS, Jeong YJ (2002) Changes in the components of onion vinegars by two stages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079-1084 

  2. Lee CY, Park YK (1996) Identification of isohamnetin-4'- glucoside in onions. J Agric Food Chem, 44, 34-36 

  3. Bekeblia N (2004) 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extracts of various onions (Allium cepa) and garlic (Allium sativum). Lebensmittel-Wissenschaftund-Technol, 37, 263-268 

  4. Shon MY, Choi SD, Kahng GG, Nam SH, Sung NJ (2003) Antimutagenic, 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thyl acetate extracts from white, yellow and red onions. Food Chem Toxicol, 42, 659-666 

  5. Sheo HJ, Jung DL (1997) The effects of onion juice on serum lipid levels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164-1172 

  6. Ho CT (1992) Phenolic compounds in food. In Phenolic compounds in food and their effects on health II. Huan MT, Ho CT, Lee CY, eds. Maple Press, New York, 2-7 

  7. Azuma K, Kakayama M, Koshika M, Ippoushi K, Yamaguchi Y, Kohata K, Yamauchi Y, Ito H, Higashio H (1999) Phenolic antioxidant from the leaves of Corchorus olitorium L. J Agric Food Chem, 47, 3963-3966 

  8. Ham SS, Hong JK, Lee JH (1997) Antimutagenic effects of juices from edible Korean wild herbs. J Food Sci Nutr, 2, 155-161 

  9. Jeong CH, Kim JK (2007) Chemical components of yellow and red on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708-712 

  10. Bai SK (2007) The dyeing properties of cotton fabric dyed with purple onion shell extract. J Kor Soc Cloth Ind, 9, 441-444 

  11. Kang NS, Kim JH, Kim JK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curd mixed with freeze dried onion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4, 47-53 

  12. Lee JO, Lee SA, Kim KH, Choi JJ, Yook H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hot-air dried yellow and red onion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342-347 

  13. Kee HJ, Ryu GH, Park YK (2001) Phusical properties of ex-truded snack made of dried onion and onion poma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64-69 

  14. Kim JG, Shim JY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eatflour noodle added with onion powder. Food Engineering Progress, 10, 269-274 

  15. Kang NS, Kim JH, Kim JK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curd mixed with freeze dried onion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4, 47-53 

  16. Kim HR, Seog EJ, Lee JH, Rhim JW (2007)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nion powder as influenced by drying meth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342-347 

  17. Yoon SJ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 added with lotus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433-4421 

  18. Hwang SJ, Yoon SJ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olgiddok added with aloe powder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650-658 

  19. Kim HS, Lyu ES (2010) Optimization of sulgidduk with green laver powder using a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54-61 

  20. Sung KH, Hong JS, Seo BH, Choi JJ (2010) A study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dropwort oenanthe javanica d.c.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589-595 

  21. Kang YS, Kim J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supplemented with Ligularia fischeri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277-283 

  22. Park SS, Kim SI, Sim KH (2011)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sulgidduk supplemented with ramie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7, 765-772 

  23. Jeong KY, Kim MY, Chun S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concentrated sweet pumpkin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849-855 

  24. Kim JH, Kim MY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supplemented with citrus peel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993-998 

  25. Lee MH, Jeon SJ, Kim SK, Park HS, Choi YS (2011)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urcuma longa L powder sulgitteok. Korean J Culinary Rese, 17, 184-192 

  26. Kim GY, Moon HK, Lee SW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ck prepared by addition of astringent persimmon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3, 697-702 

  27. Hwang SJ, Kim JW (2007) Effects of roots powder of balloon flowers on general composi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Korean J Food Cult, 22, 77-82 

  28. Yoon SJ, Choi B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tteok added with lotus root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431-438 

  29. Yang MO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cabbage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729-735 

  30. Cho KO, Kim H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added yam (Dioscorea japonica) powder. Korean J Food Cult, 25, 801-809 

  31. Hong KJ, Hwang SH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added chestnut.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194-199 

  32. Cho MZ (2001) Effect of addition of black pigmented rice on the quality of colored sulgiddeok. Korean J Food & Nutr, 14, 507-511 

  33. Cho MS, Hong J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by the addition of sea tangle.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37-44 

  34. Joung HS (2004) Quality of characteristics of paeksulgis added powder of Opuntia ficus indica var. saboten.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 637-642 

  35. Park NH, Jung HS, Choi OJ (2006) The properties of seolgiddeok by mixed ratio of jujube powder and sugar. Korean J Human Ecol 9, 89-98 

  36. Cho TH, Yang MO, Hwang CH, Kim WJ, Kim MJ, Lee MK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Rubus coreanum miquel during storag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6, 458-467 

  37. Kim MY, Chun S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tomato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412-418 

  38. Park YM, Kim MH, Yoon HH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ck added with purple sweet potato. Korean J Culinary Rese, 18, 54-64 

  39. Koo NS, Kim HS, Lee KA, Kim MJ (2006) Sensory evaluation. Kyomunsa, Seoul, Korea, p 142-158 

  40. Doo HJ, Shin JY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rice sulgiddeok with black garlic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677-684 

  41. Joung HS (1993) A study on the sensory quality of ssooksulgis added with mugwor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3, 175-180 

  42. Joung HS (1996)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cksulgi added with job'tears and brown ric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6, 177-186 

  43. Lee HG, Park HK (2004) Sensory and texture properties of noralbyung with variation in the ratio of ingredi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0, 453-461 

  44. Kim YY, Cho HJ (2000) A study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dotoridduck added with acorn jelly powder. Korean J Soc Food Sci, 16, 260-266 

  45. Gu SY, Lee HG (2001) The sensory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chicksulgi.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 523-532 

  46. Lim YH, Kin MW, Kim AJ, Kim MH (2002) Effects of adding silkworm powder on the quality of seolgiddeok.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562-566 

  47. Son DH, Hwang YI (2012) Characteristics and preservation of sulgi added with onion juic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 677-683 

  48. Lee HG, Lee EM, Cha GH (2005)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shinsunchosulgi by different ratio of ingredient.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422-432 

  49. Lee HG, Chung RW, Sin SJ (2004)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backhapbyung by different ratios of ingredi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0, 480-488 

  50. Lee HG, Kim HJ (2000)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 of sang-ja-byung by different ingredient. Korean J Soc Food Sci, 16, 342-351 

  51. Lee HG, Baek HN (2004) Sonsory and texture properties of neuti-dduk by different ratio of ingredi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0, 49-56 

  52. Lee HG, Son HS (2003) Sonsory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wageobyung using varied levels of lettuce and different amount of sugars and water. Korean J Food Cookery Sci, 19, 181-187 

  53. Lee HG, Kim HJ, Cha GH (2005) Sensory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songwasulgi by different ratio of ingredi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505-513 

  54. Im SS, Jun MR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 with added fresh or frozen red on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239-245 

  55. Chang YH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olgidduk added with poria cocos wolf powder during storag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3, 318-3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