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흰쥐에서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섭취가 지질 농도 및 식욕 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hey Protein Hydrolysates on Lipid Profiles and Appetite-Related Hormones in Rats Fed High Fat Diet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4, 2008년, pp.428 - 436  

박정윤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미나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최유영 (매일유업(주) 중앙연구소) ,  윤숭섭 (매일유업(주) 중앙연구소) ,  전호남 (매일유업(주) 중앙연구소) ,  이연숙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으로 유도한 식이성 비만 모델 수컷 흰쥐에게 고지방식이와 함께 유청단백질 및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을 급여하였을 때,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섭취에 따른 체중, 장기 및 체지방, 지질 농도 및 식욕 조절호르몬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았다. 즉, 실험동물 흰쥐에게 18% 우지를 첨가한 고지방식을 기본으로 하여 질소원으로 유청단백질(whey protein concentrate 80: WPC80, 매일유업(주)) 10%를 4주간 공급한 후(control period), 4군으로 나누어서 고지방식을 기본으로 유청단백질,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whey protein hydrolysate), 유청 macropeptide fraction(whey macropeptide fraction; WH중 MW${\geq}$10,000)의 3종을 함유한 실험식이를 각각 6주 동안 급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중증가량 및 식이섭취량은 유청단백질 수준이나 가수분해물 섭취에 따른 실험군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간의 무게는 가수분해물 섭취에 의해 감소하였으나, 신장, 고환 및 비장의 무게는 실험군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한편, 신장의 무게는 고단백 식이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지방조직의 무게는 신장 주변 지방과 부고환 주변 지방 모두 유청단백질 수준이나 가수분해물 섭취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청의 총 지질과 중성지방은 가수분해물 섭취에 의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반면,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HDL 콜레스테롤은 유청단백질 수준과 가수분해물 섭취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간 조직의 총 지질,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은 가수분해물 섭취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며, 고단백식이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일일 분 배설량은 고단백식이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분 중 총 지질함량과 중성지방 함량은 가수분해물 섭취 시 그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반면, 분 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유청단백질 수준이나 가수분해물 섭취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혈청 중 glucose와 insulin 농도는 가수분해물 섭취 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혈청 중 leptin 농도는 유청단백질 수준이나 가수분해물 섭취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청 중 ghrelin 농도는 고단백 식이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특히, 가수분해물 섭취 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섭취는 intact 유청단백질보다 흰쥐의 혈청과 간의 지질 농도를 저하시키고, 분 중으로의 지질배설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혈중 glucose 농도와 insulin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서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켰으며, ghrelin 감소를 통한 식욕조절 효과를 보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이 체중감소나 조직의 지방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이것은 본 연구에서 사용된 25% 단백질 수준이 체중감소나 조직 지방량에 영향을 미치기에는 부족한 수준이라 사료되며, 단백질 수준에서의 증가 또는 보다 장기간 동안의 섭취가 수행되어진다면 식욕 촉진 호르몬 분비 감소를 통해 체중 감소에 있어서 더 유의적인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effects of whey protein concentrate, its hydrolysates and macropeptide fractions obtained from papain treatment of whey protein on lipid levels and appetite-related hormones in obesity model rats induced by high fat diet. Four week-old male Sprague-Dawley 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비만모델 흰쥐를 이용하여 유청단백질 및 그 가수분해물 섭취에 따른 체중, 장기 및 체지방, 혈청, 간 및 분 중 지질 농도와 식욕 조절 관련 호르몬 농도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체중 조절시 식이보충제로서의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 그리고 유청단백질과 그 펩타이드물은 대두 단백질과 유사하게 작용하여 혈청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킨다고 알려져 있다(24,25). 본 연구에서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섭취에 따른 혈청 중 총 지질과 중성지방에서 유의적인 지질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로 생성된 작은 펩타이드들이 체내 지질 수준을 낮추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으로 유도한 식이성 비만 모델 수컷 흰쥐에게 고지방식이와 함께 유청단백질 및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을 급여하였을 때,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섭취에 따른 체중, 장기 및 체지방, 지질 농도 및 식욕 조절 호르몬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았다. 즉, 실험동물 흰쥐에게 18% 우지를 첨가한 고지방식을 기본으로 하여 질소원으로 유청단백질(whey protein concentrate 80: WPC80, 매일유업(주)) 10%를 4주간 공급한 후(control period), 4군으로 나누어서 고지방식을 기본으로 유청단백질,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whey protein hydrolysate), 유청 macropeptide fraction(whey macropeptide fraction; WH중 MW≥10,000)의 3종을 함유한 실험식이를 각각 6주 동안 급여하였다.

가설 설정

  • 2)Values are means ± SE of 8 rats per group.
  • 2)Values are means±SE of 8 rats per group.
  • 2)Values are means±SE of 8 rats per group. 3)N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 4)N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청단백질은 사람에게 어떤 유익한 작용을 하는가? 유청단백질은 카제인과 함께 유즙을 구성하는 주요 단백질로, 총 우유 단백질의 20%를 차지하며, 풍부한 아미노산 조성과 높은 생물가를 가지고 있다(6). 유청단백질은 필수 아미노산과 측쇄 아미노산이 풍부하여 신체 근육 조직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며 노인이나 활동적인 성인과 체중을 조절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고 있다(7,8). 그리고 유청단백질은 카제인에 비해 섭취후 빠르게 흡수되어 혈장의 아미노산 산화를 촉진시킨다고 알려져 있다(9).
효소를 이용한 단백질 가수분해로 생성된 펩타이드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가? 한편, 단백질의 기능적·영양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효소를 이용한 단백질 가수분해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10,11). 단백질 가수분해에 의해 생성된 펩타이드는 intact 단백질보다 작은 분자량과 2차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등전점 부근에서의 용해도 증가와 점도의 감소 등의 특성을 나타냄으로써 소화능력과 알레르기 반응 등에서 생리적 기능이 향상되어질 수 있다고 한다(12). 또한, 단백질 가수분해물에 의해 생성된 펩타이드나 아미노산은 intact 단백질에 비해 소장으로부터 더 빠르고 완벽하게 흡수되며, 혈청 지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도 다르게 보고되고 있다(13,14). 그리고 유청단백질 가수분해에 의해 생성된 펩타이드는 체내 대사율을 증가시키고 glucagon을 일정한 속도로 분비시켜 지방이 축적되는 것을 방지한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었다(7,8).
고단백식이가 체중 조절 방법으로 주목받는 이유는? 그 중 체중 조절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 중 하나인 열량제한식이(energy restricted diet)는 포만감(satiety)을 감소시키고 식욕(appetite)을 촉진시켜 열량제한식이를 지속해나가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보고되었다(4). 이에 반해, 고단백식이(high protein diet)는 포만감을 증가시키며 열발생(thermogenesis)의 증가 및 체조성 변화를 통해 체중감소에 효과가 있음이 보고됨으로써 체중조절을 위한 방법 중의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Kim YJ. 1973. Home fruit tree. Oseung Press, Seoul, Korea. p 207 

  2. Kim SH, Kang BT, Park DC, Yoon OH, Lee JW, Han MD, Choi JD. 2000.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plums produced in Kimcheo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0: 37-41 

  3. Chung KH. 1999.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plums. Korean J Hort Sci Technol 17: 23-28 

  4. Kim HJ, Yu MH, Lee S, Park JH, Park DC, Lee IS. 2004. Effect of plum fruits extracts at different growth stages on quinone reductase induction and growth inhibition on cancer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445-1450 

  5. Kim DO, Jeong SW, Lee CY. 2003. Antioxidant capacity of phenolic phytochemicals from various cultivars of plums. Food Chem 81: 321-326 

  6. Raynal J, Moutounet M, Souquet JM, 1989. Interven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plum technology. 1. Changes during drying. J Agric Food Chem 37: 1046-1050 

  7. Donovan JL, Meyer AS, Waterhouse AL. 1998. Phenolic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runes and prune juice (Prunus domestica). J Agric Food Chem 46: 1247-1252 

  8. 8. Wang H, Cao G, Prior RL. 1996. Total antioxidant capacity of fruits. J Agric Food Chem 44: 701-705 

  9. Cao Y, Cao R. 1999. Angiogenesis inhibited by drinking tea. Nature 398: 381 

  10. Eberhardt MV, Lee CY, Liu RH. 2000. Antioxidant activity of fresh apples. Nature 405: 903-904 

  11. Ito A, Shamon LA, Yu B, Mata-Greenwood E, Lee SK, van Breemen RB, Mehta RG, Farnsworth NR, Fong HHS, Pezzuto JM, Kinghorn AD. 1998. Antimutagenic constituents of Casimiroa edulis with potential cancer chemopreventive activity. J Agric Food Chem 46: 3509-3516 

  12. Kawaii S, Tomono Y, Katase E, Ogawa K, Yano M. 1999.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the readily extractable fractions prepared from various Citrus juices on several cancer cell lines. J Agric Food Chem 47: 2509-2512 

  13. Kim MY, Choi SW, Chung SK. 2000. Antioxidative flavonoids from the garlic (Allium sativum L.) shoot. Food Sci Biotechnol 9: 199-203 

  14. Cook NC, Samman S. 1996. Flavonoids-chemistry, metabolism, cardioprotective effects, and dietary sources. J Nutr Biochem 7: 66-76 

  15. Knekt P, Jarvinen R, Reunanen A, Maatela J. 1996. Flavonoid intake and coronary mortality in Finland: a cohort study. Br Med J 312: 478-481 

  16. Sung YJ, Kim YC, Kim MY, Lee JB, Chung SK. 2002. Approximate compositio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lum (Prunus salicina).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5: 134-137 

  17. Chung DH. 1998. Plum: Physiological activities of food. Sunjinmunhwasa, Seoul, Korea. p 122-124 

  18. Ham SS, Hong EH, Omura H. 1987. Desmutagenicity of enzymmatically browned substances obtained from reaction of Prumus salicina (red) enzyme and polyphenols. Food Sci Biotechnol 19: 212-219 

  19. Lee JS, Kim HJ, Yu MH, Im HG, Park DC. 2003. Antimicrobial activities of 'Formosa' plum at different growth stages against pathogenic bacteria. Korean J Food Preserv 10: 569-573 

  20. Lee SJ, Chung MJ, Shin JH, Sung NJ. 2000. Effect of natural foods on the inhibi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formation. J Fd Hyg Safety 15: 95-100 

  21. Seo SB, Han SM, Kim JH, Kim NM, Lee JS. 2001. Manufacture and physiological fuctionality of wines and liquors by using plum (Prumus salicina). Korean J Biotechnol Bioeng 16: 153-157 

  22. Jung GT, Ju IO, Choi DG, Jeong JS, Ryu J, Ko BR, Choi JS, Choi YG. 2005.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lum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816-821 

  23. Gaziano JM, Godfried SL, Hennekens CH. 1996. Alcohol and coronary heart disease. TCM 6: 175-178 

  24. Muller PH. 1977. A fully enzymatic triglyceride determination. J Clin Chem Clin Biochem 15: 457-464 

  25. Richmond W. 1976. Use of choleaterol oxidase for assay of total and free cholesterol in serum continuous flow analysis. Clin Chem 22: 1579-1588 

  26. Finley PR, Schifman RB, Williams RJ, Luchti DA. 1978. Cholesterol in high-density lipoprotein: Use of mg2+ /dextran sulfate in its measurement. Clin Chem 24: 931-933 

  27. Yamajaki K, Murata M. 1990. Frequency of atherogenic risk factors in japanese obese children. Diabetes Res Clin Pract 10: S211-S219 

  28. Folch JM, Lees M, Stanley GHS.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s from animal tissue. J Biol Chem 226: 497-509 

  29. Sidney PG, Bernald R. 1973. Improved menual spectrometric procedure for determination of serum triglyceride. Clin Chem 19: 1077-1078 

  30. Sale FD, Marchesini S, Fishman PH, Berra B. 1984. A sensitive enzymatic assay for determination of cholesterol in lipid extracts. Academic Press Inc, New York. p 347-350 

  31. Reitman S, Frankel S. 1957. A colorimet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serum glutamic oxaloacetic and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Am J Clin Pathol 2: 56-63 

  32. Taladgis BG, Pearson AM, Duan LR. 1964. Chemistry of the 2-thiobarbituric acid test for determination of oxidation rancidity in foods. J Sci Food Agric 15: 602-607 

  33. Uchiyama M, Mihara M. 1978. Determination of malondialdehyde precursor in tissue by TBA test. Anal Biochem 86: 271-278 

  34. Jeong HG, Choe CS, Yang EJ, Kang MH. 2004. The effect of Lycii fructus beer intake on serum lipid profile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rats. Korean J Food Culture 19: 52-60 

  35. Charles H, Halsted MD. 2004. Nutrition and alcoholic liver disease. Semin Liver Dis 24: 289-304 

  36. Lieber CS. 1991. Perspectives: Do alcohol calories count? Am J Clin Nutr 54: 976-982 

  37. Linder MC. 1991. Nutrition and metabolism of fats. In Nutritional biochemistry and metabolism with clinical applications. 2nd ed. Linder MC, ed. Elasevier, New York, Amsterdam, Oxford. p 79-83 

  38. Barona E, Lieber CS. 1970. Effect of chronic ethanol feeding on serum lipoprotein metabolism in the rat. J Clin Invest 49: 769-778 

  39. Karsenty BC, Chanussot F, Ulmer M, Debry G. 1985. Influence of chronic ethanol intake on obesity liver steatosis and hyperlipidemia in Zucker fa/fa rat. Br J Nutr 54: 5-13 

  40. Nestel PJ, Hirsch EZ. 1965. Clinical and experimental mechanism of alcohol-induced hypertriglycemia. J Lab Clin Med 65: 357-365 

  41. Parkes JG, Auerbach W, Goldberg DM. 1990. Effect of alcohol on lipoprotein metabolism II. Lipolityc activities and mixed function oxidase. Enzyme 43: 47-55 

  42. Bottiger LE, Carlson LA, Hultman E, Romanus V. 1976. Serum lipids in alcoholics. Acta Med Scand 199: 357-361 

  43. Lieber CS. 1994. Alcohol and the liver. Gastroenterology 106: 1085-1105 

  44. Anila L, Vijayalakshmi NR. 2002. Flavonoids from Emblica officinalis and Mongifera indica-effectiveness for dyslipidemia. J Ethnopharmacol 79: 81-87 

  45. Seo HJ, Jeong KS, Lee MK, Park YB, Jung UJ, Kim HJ, Choi MS. 2003. Role of naringin supplement in regulation of lipid and ethanol metabolism in rats. Life Sciences 73:933-946 

  46. Weir DG, McGing PG, Scott JM. 1985. Folate metabolism, the enterohepatic circulation and alcohol. Biochem Pharmacol 34: 1-7 

  47. Cristian D, Adriana PV, Daniel AD, Jorge C, Ro G. 2005.Antioxidant an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Misodendrum punctulatum, myzodendrone and structurally related phenols. Phytother Res 19: 1043-1047 

  48. Rouach H, Clement M, Ofanelli MT, Janvier B, Nordmann J, Nordmann R. 1983. Hepatic lipid peroxidation and mitochondrial susceptibility to peroxidative attacks during ethanol inhalation and withdrawal. Biochim Biophys Acta 753: 439-444 

  49. Albano E. 2002. Free radical mechanisms in immune reactions associated with alcoholic liver disease. Free Radic Biol Med 32: 110-1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