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뽕잎 함유 대두발효물이 신생 당뇨유도쥐에 미치는 혈당강하효과
Hypoglycemic Effect of Fermented Soybean Culture Mixed with Mulberry Leaves on Neonatal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4, 2008년, pp.452 - 458  

황교열 ((주)바이오토피아) ,  김영훈 (수원대학교 생명공학과) ,  조용석 ((주)바이오토피아) ,  박영식 ((주)바이오토피아) ,  이재연 ((주)바이오토피아) ,  강경돈 ((주)바이오토피아) ,  김근 (수원대학교 생명공학과) ,  주동관 (엠에스바이오텍주식회사) ,  안덕균 ((주)바이오토피아) ,  성수일 ((주)바이오토피아)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당뇨 환자를 위한 기존의 뽕잎 건강식품의 기능을 보완할 목적으로 뽕잎분말과 DNJ 생산균주인 Bacillus subtilis MORI균의 대두발효 혼합물을 신생 당뇨유도쥐에 4주간 경구투여 하여 먹이섭취량, 체중변화, 혈당량, 내당능, 혈중 지질함량, 장기무게 등을 조사하였다. 전체적으로 당뇨유도 시험군은 정상시험군(NC군)과 비교하여 사료섭취량은 많았으나 증체량이 적어 낮은 사료효율을 보였다. 그러나 뽕잎(M군) 및 뽕잎함유대두발효물(MM군)의 투여에 의해 사료효율이 개선되었으며 특히 MM-60군에서 가장 높은 사료효율을 나타내었다. 1주일 간격으로 4주간에 걸쳐 시행한 혈당량 측정 결과 뽕잎이나 뽕잎함유대두발효물의 투여는 공복혈당을 크게 감소시켰으며 특히 MM-60군과 MM-120군은 당뇨대조군(DC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4주간의 시료투여 후 경구당부하시험에 의한 내당능 조사 결과 뽕잎투여나 뽕잎함유대두발효물의 투여는 혈당량을 꾸준히 감소시켰으며 특히 포도당 투여 후 120분에서의 MM-60군과 MM-120군은 DC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혈당량을 보여 뽕잎 단독보다는 대두발효배양물 첨가에 의해 내당능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혈중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역시 DC군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나 뽕잎이나 뽕잎함유대두발효물 투여에 의해 지질함량이 감소하였으며 그 감량 정도는 총콜레스테롤에서는 MM-60군과 MM-120군에서 그리고 중성지질의 경우에는 M군, MM-60군, MM-120군에서 DC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당뇨 유발에 의해 쥐의 간, 신장, 비장, 심장 등 체내 주요장기의 무게는 크게 증가하였으나 뽕잎 또는 뽕잎함유대두 발효물 투여에 의해 이들 장기의 무게는 대부분 감소하였으며 특히 MM-60군, MM-120군은 DC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 뽕잎분말과 DNJ 생산 균주인 B. subtilis MORI균의 대두발효물의 혼합물은 신생 당뇨유도쥐의 제반 당뇨증세 완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따라서 뽕잎함유대두발효물은 앞으로 당뇨환자들에 대한 건강식품 소재로 그 활용이 크게 기대된다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 of fermented soybean culture of Bacillus subtilis MORI mixed with mulberry leaves on the lowering the levels of blood glucose and cholesterol was examined using neonatal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n-STZ) rats. B. subtilis MORI produces 1-deoxynojirimycin (DNJ), an $\alph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당 연구실에서는 뽕잎이나 누에가루에 함유되어 있는 DNJ 성분을 미생물 배양에 의해 다량으로 생산하는 기법을 확립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DNJ 함유 미생물 배양물을 사료첨가제나 건강식품 등 산업화에 응용하고 있다(19).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DNJ를 다량으로 생산하는 B. subtilis MORI균을 이용한 대두발효물과 뽕잎의 혼합물을 신생 당뇨유도쥐에 처리하여 쥐의 생육 및 체내 당, 지질대사 등을 관찰함으로써 당뇨용 건강식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뽕잎, 상백피 등을 섭취할 경우 식후혈당이 어느 정도 억제되는데 이는 DNJ와 같은 알칼로이드 성분들이 소장내 α-glucosidase를 저해하여 당흡수를 억제하는 기능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DNJ를 대량생산하는 B. subtilis MORI 균의 대두발효물을 뽕잎에 첨가함으로써 뽕잎의 혈당억제기능을 높이고 이에 따른 당뇨 및 지질대사의 개선에 관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뽕잎분말동결건조물의 DNJ 함량은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연물질로서 혈당저하나 지질대사에 효과를 나타내는 소재로 무엇이 알려져 있는가? 그러나 이러한 약물들은 저혈당, 간독성, 체중증가, 복부팽만감, 젖산증 등의 부작용을 유발함으로 이들 약해를 최소화한 새로운 타입의 혈당강하소재의 발굴이 필요하다. 최근 천연물질로서 혈당저하나 지질대사에 효과를 나타내는 소재로는 대두, 인삼과 홍삼, 뽕잎, 상백피, 보리 및 보리 β-glucan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대두는 혈당지수가 낮아 당뇨에 효과가 있으며(6), 그 밖에 식이섬유, 비타민 E, 이소플라본, 페놀, 사포닌, 트립신저해제, 피틴산 등의 생리활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동맥경화, 심장병, 암 등 만성퇴행성 질환예방에 효과가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7).
당뇨병의 증세를 개선하기 위한 약물요법으로 사용하는 경구용 혈당강하제의 부작용에는 무엇이 있는가? 당뇨병의 증세를 개선하기 위한 약물요법 가운데 현재 경구용 혈당강하제로는 설포닐요소제, 메트포르민, α-glucosidase 저해제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들은 저혈당, 간독성, 체중증가, 복부팽만감, 젖산증 등의 부작용을 유발함으로 이들 약해를 최소화한 새로운 타입의 혈당강하소재의 발굴이 필요하다. 최근 천연물질로서 혈당저하나 지질대사에 효과를 나타내는 소재로는 대두, 인삼과 홍삼, 뽕잎, 상백피, 보리 및 보리 β-glucan 등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당뇨병에 의한 질병 및 대사증후군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당뇨병은 인슐린의 절대적 및 상대적 결핍으로 인하여 야기되며 여러 조직에서 인슐린 작용저하에 의한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등의 대사 장애를 비롯하여 각종 병리학적 증세를 초래한다(1,2). 일반적으로 당뇨병에 의한 질병 및 대사증후군으로는 실명, 뇌졸중, 심근경색증, 만성신부전증 및 혈중 triglyceride의 증가, HDL-cholesterol의 감소, LDL-cholesterol의 증가 등의 지질대사 이상을 들 수 있다(3-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Kannel WB, Megee DL. 1979. Diabet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JAHA 241: 2035-2038 

  2. Abrams JJ, Ginsberg H, Grundy SM. 1982. Metabolism of cholesterol and plasma triglycerides in non-ketotic diabetes mellitus. Diabetes 31: 903-910 

  3. Steinberg HO, Chaker H, Leaming R, Johnson A, Brechtel G, Baron AD. 1996. Obesity/insulin resistance is associated with endothelial dysfunction. Implications for the syndrome of insulin resistance. J Clin Invest 97: 2601-2610 

  4. Hayden JM, Reaven PD. 2000. Cardiovascular disease in diabetes mellitus type 2: a potential role for novel cardiovascular risk factors. Curr Opin Lipidol 11: 519-528 

  5. Treadway JL, Mendys P, Hoover DJ. 2001. Glycogen phosphorylase inhibitors for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Expert Opin Investig Drugs 10: 439-454 

  6. Fredbwald J, Ruhrah J. 1990. The use of the soybean as a food in diabetes. Am J Med Sci 140: 793-799 

  7. Potter SM. 1995. Overview of proposed mechanisms for the hypochloesterolemic effect of soy. J Nutr 125: 606S-611S 

  8. Kim YT, Kim WK, Oh HI. 1995.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the fibrinolytic bacterial strain from Chungkukjang.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3: 1-5 

  9. Kil JO, Kim GN, Park IS. 1998.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ibrinolytic enzyme: Optimal condition for the production of the enzyme produced from Bacillus sp. KP-6408 isolated from Chungkuk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51-56 

  10. Kim JI, Kang MJ, Kwon TW. 2003. Antidiabetic effect of soybean and chongkukjang. Korea Soybean Digest 20:44-52 

  11. Cui CB, Choi HT, Lee HJ, Moon SY, Kim SH, Lee BG, Lee DS, Ham SS. 2004. Hypoglycemic effect of the functional food manufactured by fermented soybean as main material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126-1132 

  12. Kodama T, Ishida H, Kokubo T, Yamakawa T, Noguchi H. 1990. Glucosylation of quercetin by a cell suspension culture of vitis species. Agric Biol Chem 54: 3238-3288 

  13. Shin DH. 1998. Antioxidation substances in mulberry leaf. J Korean Oil Chemists Soc 16: 27-31 

  14. Chae JY, Lee JY, Hoang IS, Whangbo D, Choi PW, Lee WC, Kim JW, Kim SY, Choi SW, Rhee SJ. 2003. Analysis of functional components of leaf of different mulberry cultiv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5-21 

  15. Asano N, Oseki K, Tomioka E, Kizu H, Matsui K. 1994. N-containing sugars from Morus alba and their gly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Carbohyr Res 259: 243-255 

  16. Yoshikumi Y. 1994. Inhibition of intestinal $\alpha$ -glycosidase activity and postprandial hyperglycemia by moranoline and its N-alkyl derivatives. Agric Biol Chem 52: 121-126 

  17. Jang MJ, Rhee SJ. 2004. Hypoglycemic effects of pills made of mulberry leaves and silkworm powder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1611-1617 

  18. Kwon EH, Jung MA, Rhee SJ, Choi SW, Cho SH. 2006. Antioxidant effects of improvement of lipid metabolism of mulberry fruit, mulberry leaves and silkworm powder with different mixing ratio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 J Nutr 39: 91-99 

  19. Sung SI, Kim K, Hwang KY, Kim HS, Lee JS. Novel microorganism producing 1-deoxynojirimycin and its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Korean Patent 0477039 

  20. Niall MG, Rosaleen AM, Daphne O, Patrick BC, Alan HJ, Gerald HT. 1990. Cholesterol metabolism in alloxan-induced diabetic rabbits. Diabetes 39: 626-636 

  21. Kim MH, Kim HY, Kim WK, Kim JY, Kim SH. 2001. Effects of soy oligosaccharides on blood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Nutr 34: 3-13 

  22. Arumozhi DK, Veeranjaneyulu A, Bodhanker SL. 2004. Neonatal streptozotocin-induced rat model of type 2 diabetes mellitus. Indian J Pharmacol Educational Forum 36:217-221 

  23. Kim JS, Na CS, Eun JB. 2005. Effect of Hovenia dulcis Thumb extract on the hyperglycemic mice induced with streptozotoc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632-637 

  24. Kim HS, Choe M. 2005. Hypoglycemic effect of Paecilmyces japonica in NIDDM pati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821-824 

  25. Roman-Ropez CR, Allred JB. 1987. Acute alloxan diabetes alters the activity but not the total quantity of acetyl CoA carboxylase in rat liver. J Nutr 117: 1976-1981 

  26. Wright BE, Vasselli JR, Katovich MJ. 1998. Positive effects of acarbose in the diabetic rat are not altered by feeding schedule. Phys Behavior 63: 867-874 

  27. Mertes G. 2001. Safety and efficacy of acarbose in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data from a 5-year surveillance study. Diabetes Res Clin Prac 52: 193-204 

  28. Fujita H, Yamagami T. 2001. Fermented soybean-derived Touchi-extract with antidiabetic effect via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action in a long-term administration study with KKAy mice. Life Sci 70: 219-227 

  29. Fujita H, Yamagami T, Ohshima K. 2003. Long-term ingestion of Touchi-extract, $\alpha$ -glucosidase inhibitor, by borderline and mild type-2 diabetc subjects is safe and significantly reduces blood glucose levels. Nutr Res 23:713-722 

  30. Levy RI. 1991. Cholesterol, lipoproteins, apolipoproteins and heart disease; pres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Clin Chem 27: 653-662 

  31. Yang KM, Shin SR, Jang JH. 2006. Effect of combined extract of safflower seed with herbs on blood glucose level and biochemical parameter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50-157 

  32. Costa RL, Summa MA. 2000. Soy protein in the management of hyperlipidemia. Ann Pharmacother 34: 931-935 

  33. Hanefeld M. 1995. Acarbose as a first-line drug in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in Babl S, Goto Yo, Goto Yu, New aspects of DM treatment. Alpha-glucosidase inhibition(acarbose). Scand J Gastroenterol 30: 892-896 

  34. Dai S, Thomson K, Mcneill JH. 1994. One-year treatment of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with vanadyl sulphate. Pharmacol Toxicol 74: 99-107 

  35. Grey NJ, Karls I, Kipnis DM. 1975. Physiological mechanism in the development of starvation ketosis in man. Diabetes 24: 10-14 

  36. Lim SJ, Kim SY, Lee JW. 1995. The effects of Korean wild vegetables on blood glucose levels and liver-muscle metabolism of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 J Nutr 28: 585-594 

  37. Steer HA, Socher M, McLean P. 1985. Renal hypertrophy in experimental diabetes changes in pentose phosphate pathway activity. Diabetes 34: 485-4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