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뽕잎발효차 제조에 따른 항산화 및 in vitro 항암활성
Antioxidant Activity and in vitro for Anticancer Effects of Manufactured Fermented Mulberry Leaf T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6, 2010년, pp.796 - 804  

배만종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약리학과) ,  예은주 ((재)경북테크노파크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생명자원특화센터 효능검증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식용식물로의 가치뿐만 아니라 약용으로 가치가 인정되는 뽕잎에 미생물 생균제를 이용한 뽕잎발효차 개발을 통하여 기능성 소재 개발 및 새로운 제품개발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뽕잎차 및 뽕잎발효차의 여러 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in vitro에서의 항암활성을 비교분석 하였다. 뽕잎차 및 뽕잎발효차의 각 추출물에 있어 항산화 효과를 조사한 결과 각 추출물의 농도와 비례하여 전자공여활성이 증가하였고 대체로 뽕잎발효차 추출물이 뽕잎차의 추출물보다 전자공여활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추출물의 종류 중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SOD 유사활성도를 조사한 결과 각 추출물의 농도와 비례하여 SOD 유사활성도는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추출물중 에탄올 추출물군의 활성도가 가장 높았으며 두 시료의 SOD 유사활성도는 비슷하였다. 각 pH별 아질산염 분해 작용을 분석한 결과 pH 1.2에서 아질산염 분해 작용이 가장 컸으며, 추출물 군 중에서 에탄올 추출물 군이 아질산염 소거능이 가장 높았다. 뽕잎차 및 뽕잎발효차 각 추출물의 in vitro 상에서 항암효과를 분석한 결과 HeLa cell과 MCF-7 cell 모두 뽕잎발효차가 뽕잎차보다 암세포 증식 억제율이 더 높았다. 추출물 군에서는 에탄올 추출물군이 암세포 성장을 가장 많이 억제하였고 MCF-7 cell이 HeLa cell에서 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식용식물로서 뿐만 아니라 약용으로도 가치가 있는 뽕잎에 생균제를 이용하여 개발한 뽕잎발효차를 뽕잎차와 비교하였을 때 항산화성, in vitro에서의 항암활성을 검증한 결과 생균제를 이용한 뽕잎발효차가 뽕잎차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뽕잎발효차 추출물의 기능성이 더 우수한 것은 발효를 통해 생리활성 물질이 생성된 것이 원인으로 사료되며 이 점에 있어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제품개발에 응용하고 대중적인 면을 좀 더 개선한다면 새로운 기능성소재 및 제품이 될 것 이라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qualitative property of MLT (mulberry leaf tea) and FMLT (fermented mulberry leaf tea) based on the antioxidant, anticancer activities of various extracts. Whe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LT and FMLT extracts was evaluated, the electron donat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식용식물로의 가치뿐만 아니라 약용으로 가치가 인정되는 뽕잎에 미생물 생균제를 이용한 뽕잎발효차 개발을 통하여 기능성 소재 개발 및 새로운 제품개발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뽕잎차 및 뽕잎발효차의 여러 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in vitro에서의 항암활성을 비교분석 하였다. 뽕잎차 및 뽕잎발효차의 각 추출물에 있어 항산화 효과를 조사한 결과 각 추출물의 농도와 비례하여 전자공여활성이 증가하였고 대체로 뽕잎발효차 추출물이 뽕잎차의 추출물보다 전자공여활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추출물의 종류 중 에탄올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식용식물로의 가치뿐만 아니라 약용으로 가치가 인정되는 뽕잎차와 뽕잎에 미생물 생균제를 이용한 뽕잎발효차의 여러 추출물들의 항산화성, in vitro 항암성활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능성 소재 및 새로운 제품 개발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Cha YJ, Lee JW, Kim JH, Park MH, Lee SY. 2004. Major components of teas manufactured with leaf and flower of Korean native Camellia japonica L. Korean J MedicinalCrop Sci 12: 183-190. 

  2. Tsuda T, Watanabe M, Ohshima K, Norinobu S, Choi SW,Kawakishi S, Osawa T. 1994.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anthocyanin pigments cyanidin 3-ο- $\beta$ -D-glucoside and cyanidin. J Agic Food Chem 42: 2407-2410. 

  3. Hatano T. 1995. Constituents of natural medicines with scavenging effects on active oxygen species-tannins and related polyphenols. Nat Med 49: 357-363. 

  4. Akaike T, Ijiri S, Sato K, Maeda H. 1995. Determination of peroxyl radical-scavenging activity in food by using bactericidal action of alkyl peroxyl radical. J Agric Food Chem 43: 1864-1870. 

  5. 박헌국, 방병호, 소명환, 손흥수, 이재우, 정수현. 2007. 식품미생물학. 문운당, 서울. p 222-308. 

  6. Lee JR, Hah YJ, Lee JW, Song YM, Jin SK, Kim IS, HahKH, Kwak SJ. 2002.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emulsified sausages containing mulberry and persimmon leaf powder.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2:330-336. 

  7. Kim HB, Kim AJ, Kim SY. 2003. The analysis of functional materials in mulberry fruit and feed product development trends. Food Sci Industry 36: 49-60. 

  8. Naitoh K. 1968. Studies on the micro constituent in mulberry leaves part 2. Isolation of rutin and quercetin from mulberry leaves. Nippon Nogei Kagaku Kaishi 42: 422-425. 

  9. Kim JS, Kang SS, Lee MW, Kim OK. 1995. Isolation of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Aralia concinentails. Kor JPhamacign 26: 239-243. 

  10. Onogi A, Osawa K, Yasuda H, Sakai A, Morita H, TokawaH. 1993. Flavonol glycosides from the leaves of Morus alba.Shoyakugaku Zasshi 47: 423-425. 

  11. Makam KR. 1989. Methods in plant biochemistry in flavone.Flavonols and Their Glycosides 1: 197-235. 

  12. Lim MJ, Bae YI, Jeong CH, Cho BR, Choi JS. 2007. Phytochemical components of mulberry leaf tea by different roasting processes. J Agric Life Sci 41: 17-24. 

  13. Bang HS, Lee WC, Chon HR, Choi YC, Kim HB. 1998.Varietal comparison of $\gamma$ -aminobutysic acid content inmulberry root bark. Korean J Seric Sci 40: 13-16. 

  14. Kim SY, Gao JJ, Lee WC, Ryu KS, Lee KR, Kim YC. 1999.Antioxidative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Morus alba.Arch Pharm Res 22: 81-85. 

  15. Omori M, Yano T, Okamoto J, Tsushida T, Murai T, HiguchiM. 1987. Effect of anaerobically treated tea (Gabaron tea) on blood pressure of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Nippon Nigeikagaki Kaishi 61: 1449-1451. 

  16. Tews JK. 1981. Dietary GABA decreases body weight of genetically obese mice. Life Science 29: 2535-2542. 

  17. Kimura M, Chen F, Nakashimqa N, Kimura I, Asano N,Koya S. 1995. Anti hyperglycemic effect of N-containing sugars delivered from mulberry leave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mice. J Traditional Medicine 12: 214-219. 

  18. Sung GB. 1998. Recent mulberry research trend and direction for the improvement. Korean J Seric Sci 40: 180-184. 

  19. Yen GC, Wu SC, Duh PD. 1996. Extrac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components from the leaves of mulberry (Morus alba L.). J Agric Food Chem 44: 1687-1690. 

  20.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1. Marklund S, Marklund G. 1974. Involvement of the superoxide anion radical in the aut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47: 469-474. 

  22. Kato H, Lee IE, Chuyen NV, Kim SB, Hayase F. 1987.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Agric Biol Chem 51: 1333-1338. 

  23. Park EM, Kim SJ, Ye EJ, Bae MJ, Jo KC. 2005. Effect of mycelia extracts of mushroom-cultured ginseng by-product on proliferation in cancer cell lines. J Korean Soc FoodSci Nutr 34: 323-329. 

  24. Duncan D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Biometrics 11: 1-42. 

  25. Aoshima H, Tsunoue H, Koda H, Kiso Y. 2004. Aging of whiskey increases 1,1-diphenyl-2-picrylhydraz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J Agric Food Chem 52: 5240-5244. 

  26. Kim HK, Kim YE, Do JR, Lee YC, Lee BY. 1995.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ome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80-85. 

  27. Shin DH. 1998. Antioxidative substances in mulberry leaves.J Korean Oil Chem Soc 16: 27-31. 

  28. Cho YJ, Ju IS, Kim BO, Kim JH, Lee BG, An BJ, ChooJW. 2007. The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and antioxidant effect from the extracts of mulberryleaves (Morus Alba L.). J Korean Soc Appl Biol Chem50: 334-343. 

  29. An BJ, Lee JT, Lee SA, Kwak JH, Park JM, Lee JY, Son JH. 2004. Antioxidant effects and application as natural ingredients of Korean Sanguisorbae officinalis L. J Kor SocApple Biol Chem 47: 244-250. 

  30. Kim SD, Park BH, Back KY, Lee SI. 2008. Quality and antioxidative characteristics of Cudrania tricuspidata leavestea. Korean J Food Preserv 15: 461-468. 

  31. Hassan O, Fan LS. 2005. The anti-oxidation potential of polyphenol extract from cocoa leaves on mechanically deboned chicken meat (MDCM). LWT-Food Sci Technol 38:315-321. 

  32. Jang MJ, An BJ, Lee CE, Lee JT, Lee BG, Lee DH. 2008.Study on anti-oxidant effect of Pinus rigida Mill. inner bark extract. J Korean For Soc 97: 88-94. 

  33. Seo HS, Chung BH, Cho YG. 2008. Antioxidant and anticancer effects of Agrimony (Agrimonia pilosa L.) and Chinese Lizardtail (Saururus chinensis Baill). Korean JMedicinal Crop Sci 16: 139-143. 

  34. Lee YS, Park DC, Joo EY, Sin SL, Kim NU. 2005.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xtracts from the Lepistanud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942-947. 

  35. Yun GY, Hong JY, Nam HS, Moon YS, Sin SL. 2007.Antioxidant activities and xanthine oxidase inhibitory effectsof hot water extracts from fruits of Elaeagnus multifloraThunb. in matur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14-19. 

  36. Kim HK, Na KM, Ye SH, Hanm HS. 2004.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Schiznadra chinensisextracts. Korean J Food Culture 19: 484-490. 

  37. Choi SY, Kim JS. 2008.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on).Korean J Food & Nutr 21: 35-42. 

  38. Ra KS, Suh HJ, Chung SH, Son JY. 1997. Antioxidative activity of solvent extract onion skin. Korean J Food SciTechnol 29: 595-600. 

  39. Song ES, Park SJ, Woo NRA, Won MH, Choi JS, Kim JG,Kang MH. 2005. Antioxidant capacity of colored barley extracts by varie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1491-1497. 

  40. Cha CG, Jin WS, Kyung JM. 2008. Antioxidative and antitumor activity of extracts from Saussurea lappa. J Env Hlth Sci 34: 55-61. 

  41. Kang YH, Park YK,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J Food Sci Techol 28: 232-239. 

  42. Perter FS. 1975. The toxicology of nitrate, nitrite and N-nitrocompounds.J Sci Food Agric 26: 1761-1769. 

  43. Moon JS, Kim SJ, Park YM, Hwang IS, Kim EH, Park JW,Park IB, Kim SW, Kang SG, Park YK, Jung ST. 2004.Activities of antioxidation and alcohol dehydrogenase inhibition of methanol extracts from some medicinal herbs.Korean J Food Preserv 11: 201-206. 

  44. Fiddler W, Pensabene JW, Piotrowski EG, Doerr RC,Wasserman AE. 1973. Use of sodium ascorbate or erythrobate to inhibit formation of N-nitroso-dimethylamine in frankfurters. J Food Sci 38: 1084-1091. 

  45. Choi HI, Ye EJ, Kim SJ, Bae MJ, Yee ST, Park EJ, ParkEM. 2006. Anticancer (in vitro) and antiallergy effects of rice bran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297-1303. 

  46. Bae MJ, Yee ST, Ye EJ. 2007. Anti-cancer and anti-allergy activities of mycelia extracts of Lentinus edodes mushroom-cultered Glycyrrhiza radix. J East Asian Soc DietaryLife 17: 43-50. 

  47. Bae MJ, Kim KJ, Kim SJ, Ye EJ. 2007. Effect of mycelia extracts from Lentinus edodes mushroom-cultered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on anticancer and antiallergyactivit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8-13. 

  48. Bae MJ, Ye EJ. 2007. Effect of mycelia extracts from Lentinus edodes mushroom-cultered Lonicera japonica Thunberg on anticancer and antiallergy activities. J Korean Soc FoodSci Nutr 36: 424-430. 

  49. Choi JH, Yang HS, Shon MY, Kim JS, Park SK. 2004.Antioxidant and anticarcinogenic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oybean products fermented by some mycelia of mushroom and Bacillus megaterium SMY-212. Food Industry and Nutrition 9: 34-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