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재교육 전문가 양성을 위한 대학원 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 - 미국과 유럽 표준에 비추어본 한국 대학원 교육과정의 교과목 분석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the Graduate Degree Programs for the Professionals of the Gifted/Talented Education - An Analysis of Korean Graduate Program in Comparison with the Standards of America and Europe -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18 no.3, 2008년, pp.569 - 589  

강충열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영재교육의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가 영재교육 전문가의 수와 질적 수준이다 영재교육 전문가란 학급에서 영재를 직접 지도하는 학급교사에서, 보다 넓은 수준에서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조정하는 코디네이터와 영재교육 담당교사 또는 일반교육 담당교사들에게 전문적 조언을 해줄 자문가 등 그 역할에 따라 다양하다. 우리나라에서는 영재교육진흥법 제정이후, 현직연수를 통해 영재교육 담당 교사들의 수는 많아 졌으나, 앞으로는 대학원 수준에서의 영재교육 전문가 양성을 통해 보다 질 높은 전문성을 지닌 영재교육 전문가들을 다수 양성해야 할 시점에 와 있다. 이런 맥락에서 한국에서도 대학원 수준에서의 영재교육 전공 과정을 개설하는 대학들이 늘어났다. 그런데 문제는 과연 이 전공 과정들의 교육과정은 양성되는 영재교육 전문가들의 질적 수준을 담보할 수 있을 정도로 잘 구성되어 있는가이다. 본 연구는 이런 문제 의식에 기초해서, 한국의 8개 대학에서 제공하고 있는 대학원 영재교육 전공 과정의 교육과정을 미국과 유럽의 대학원 수준에서의 영재교육 전문가 양성 표준에 비추어 분석하고, 이 문제에 대한 답을 얻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조사한 한국의 8개 대학들은 대체적으로 미국과 유럽 표준에서 공통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는 영역인 "영재성의 개념 및 발달", "영재교육과정 개발", "영재교수법"에 교과목들을 주로 개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개설하고 있는 교과목의 수가 달라 이 표준들을 만족시키는데 있어 학교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그 외의 표준들을 만족시키는데 있어서도 학교 간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는 이런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한국의 대학원 수준에서의 영재교육 전공의 발전을 위해 몇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e of the main factors that affect the improvement of G/T education is the number and the level of quality of the professionals who are working for the gifted. The professionals vary depending on the role they play for the gifted from the classroom teacher, coordinator, to consultant. Since the leg...

주제어

참고문헌 (25)

  1. 대구대학교 홈페이지. http://edugrad.daegu.ac.kr/(검색일: 2008. 12. 17) 

  2. 건국대학교 홈페이지. http://sedu.konkuk.ac.kr/2008n/curri/curri3_1_6.htm(검색일: 2008. 12. 17) 

  3. 순천향대학교 홈페이지 

  4. http://www.sch.ac.kr/gradu/index.jsp?menuID20071010104424690292(검색일: 2008. 12. 17) 

  5. 춘천교육대학교 홈페이지. http://sukwoo2.cnue.ac.kr/graduate/sub02_1803.htm(검색일: 2008. 12. 17) 

  6. 청주교육대학교 홈페이지. http://www.cje.ac.kr/cjg/(검색일: 2008. 12. 17) 

  7. 유럽영재교육협의회 홈페이지. http://www.bistric.com/ECHA%20diploma.htm(검색일: 2008. 12. 17) 

  8. 인천대학교 홈페이지. http://dept.incheon.ac.kr/eduwon/course.htm(검색일: 2008. 12. 17) 

  9. 고려대학교 홈페이지. http://www.korea.ac.kr/edugrad_jsp/(검색일: 2008. 12. 17) 

  10. 경원대학교 홈페이지. http://www.kyungwon.ac.kr/kusc/(검색일: 2008. 12. 17) 

  11. Croft, L.J .(2003). Teachers of the gifted: Gifted teachers. In N. Colangelo & G.A. Davis(Eds.), Handbook of gifted education(pp. 558-571). Boston: Allyn & Bacon 

  12. Dettmer, P. & Landrum, M. (1998, Eds.). Staff development: The key to effective gifted education programs.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Gifted Children 

  13. Graffam, B. (2006). A case study of teachers of gifted learners: Moving form prescribed practice to described practitioners. Gifted Child Quarterly, 50(2). 119-131 

  14. Gross, M. (1997). Changing teacher attitudes toward gifted children: An early and esstential step. In J. Chann, R. Li, & J. Spinks(Eds.), Maximizing potential: Lengthening and strengthening out stride(pp.3-22). Proceedings of the 11th World Conference on Gifted and Talented Children 

  15. Hansen, J.B., & Feldhusen, J.F. (1994). Comparison of trained and untrained teachers of gift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38(3). 115-123 

  16. Karnes, F., & Parker, J. (1983). Teacher certification in gifted education: the state and art and considerations for the future. Roeper Review, September. 18-21 

  17. Monks, F.J., Heller, K.A., & Passow, A.H. (2000). The study of giftedness: Reflections on where we are and where we are going. In K.A. Heller, F.J. Monks, R.J. Sternberg, & R.F. Subotnik(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giftedness and talent(pp. 839-863). NY: ELSEVIER 

  18. Moon, S.M., & Rosselli, H.C. (2000). Developing gifted program. In K.A. Heller, F.J. Monks, R.j. Sternberg, & R.F. Subotnik(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giftedness and talent(pp. 499-522). NY: ELSEVIER 

  19. Nelson, J., & Cleland, D. (1971). The role of the teacher of gifted and creative children. In P. Witty(Ed.), Reading for the gifted and creative student(pp.431-458). Newark,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20. Parker, J.P., & Karners, F.A. (1991). Graduate degree programs and reource centers in gifted education: An update and analysis. Gifted Child Quarterly, 35(1). 43-44 

  21. Reis, A., & Westberg, K. (1994). The impact of staff development on teachers' ability to modify curriculum for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38(3). 127-135 

  22. Roberts, J.L. (2008). Teachers of the gifted and talented. In F.A. Karnes & K.R. Stephens(Eds.), Achieving excellence: Educating the gifted and talented(pp.246-261).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Inc 

  23. Tannenbaum, A.J. (1983). Gifted children: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perspectives. NY: MacMillan 

  24. Wellisch, M. (1997). A pilot study: Teachers' view on the concept of giftedness in the early childhood setting. Australi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22(2). 22-28 

  25. Whitton, D. (1997). Regular classroom practices with gifted students in grades 3 and 4 in New South Wales, Australia. Gifted Education International, 12(1). 34-3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