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열 전처리 조건이 상황버섯 차의 추출수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re-heating Conditions on Extraction Yield of Phelinus linteus T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5, 2008년, pp.653 - 659  

박민경 (청운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철현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지상재배 방법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해진 상황버섯을 차로 개발하기 위하여 용출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가열 전처리 조건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연 건조한 상황버섯을 건조오븐과 hot plate에서 온도와 시간을 달리하여 가열 전처리하고 분쇄한 후 일정량을 티백에 넣어 열수 추출하고 용출성 변화를 흡광도, 건조 고형분 함량, 색도 등을 측정하여 알아보았다. 건조오븐에서 가열할 경우, $70^{\circ}C{\sim}80^{\circ}C$에서 30분 가열 전 처리한 시료의 흡광도 및 건조 고형분량이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반면, hot plate를 이용할 경우, 건조오븐에서 가열 전 처리한 시료의 증가폭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90^{\circ}C$에서 20분 가열 전 처리한 시료의 흡광도 및 건조 고형분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상황버섯 차의 색도변화는 가열시간이 길어질수록 밝기와 적색도가 감소하고 황색도가 상승하였으며 건조오븐에서의 가열 전 처리가 hotplate에서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먼저 나타난다. 건조오븐을 이용하여 가열 전 처리한 시료를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70^{\circ}C$$80^{\circ}C$에서 30분 가열 전 처리한 상황버섯 차가 가열처리 하지 않은 것과 비교하여 종합적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건조오븐을 이용하여 $70{\sim}80^{\circ}C$에서 30분 가열 전 처리하는 것이 상황버섯 차의 용출성 증대 및 기호도 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 또한 일정기간 보관하면서 탁도를 측정한 결과 상황버섯 차가 보리차 및 옥수수차와 비교하여 보존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optimum pre-heating condition was investigated to improve water extraction yield of Phelinus linteus tea. Pre-heating was carried out using drying oven or hot plate at different temperatures and times, and extraction yield was estimated by measuring optical density at 370 nm and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녹차의 가열가공 중 수용성 성분의 변화가 차의 맛 및 수율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6,1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열전처리를 통하여 상황버섯 차의 열수 침출성을 증대시켜 유효성분의 추출을 최대화할 수 있는 조건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상재배 방법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해진 상황버섯을 차로 개발하기 위하여 용출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가열 전처리 조건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연건조한 상황버섯을 건조오븐과 hot plate에서 온도와 시간을 달리하여 가열 전처리하고 분쇄한 후 일정량을 티백에 넣어 열수 추출하고 용출성 변화를 흡광도, 건조 고형분 함량, 색도 등을 측정하여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황버섯이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고 식품 사용이 허가되어 건강기능 식품 소재로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은 뽕나무와 수십 년 이상 된 고사목에서 주로 자생하여 번식이 저조하며 성장속도도 느려 대단히 구하기 어려운 약재로 취급되었다. 그러나 최근 대량재배가 가능해졌으며, 동물 및 in vitro 실험을 통해 항암(1,2) 및 항돌연변이(3) 효과, B 림프구 활성증가(4),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기능 증가(5,6), 사염화탄소가 유도하는 간독성과 지방성분 축적억제 효과(7), 항산화 효과(8,9), 아질산염 소거능(9), 장내세균의 유해효소 저해효과(10), 당뇨 쥐의 혈당감소(11) 및 사이토카인 조절효과(12) 등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고 식품 사용이 허가되어 건강기능 식품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농가의 새로운 소득 작물로 개발할 가치가 높으며 상황버섯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다양한 차원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상황버섯이 구하기 어려운 약재로 취급되는 이유는?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은 뽕나무와 수십 년 이상 된 고사목에서 주로 자생하여 번식이 저조하며 성장속도도 느려 대단히 구하기 어려운 약재로 취급되었다. 그러나 최근 대량재배가 가능해졌으며, 동물 및 in vitro 실험을 통해 항암(1,2) 및 항돌연변이(3) 효과, B 림프구 활성증가(4),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기능 증가(5,6), 사염화탄소가 유도하는 간독성과 지방성분 축적억제 효과(7), 항산화 효과(8,9), 아질산염 소거능(9), 장내세균의 유해효소 저해효과(10), 당뇨 쥐의 혈당감소(11) 및 사이토카인 조절효과(12) 등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고 식품 사용이 허가되어 건강기능 식품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 상황버섯을 식품에 주로 이용하는 경우는? 이에 농가의 새로운 소득 작물로 개발할 가치가 높으며 상황버섯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다양한 차원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 상황버섯을 식품에 이용한 경우는 추출물을 음료제품에 첨가한 것이 주를 이루며 소수 상황버섯을 침출차로 개발하고자 한 것이 있다. 이러한 침출차는 상황버섯을 단순 분쇄 후 일정량을 티백(tea-bag)에 넣는 방법으로 제조하는데 용출성이 떨어져 장시간 가열하지 않으면 충분히 추출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Han SB, Lee CW, Jeon YJ, Hong ND, Yoo ID, Yang KH, Kim HM. 1999. The inhibitory effect of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Phellinus linteus on tumor growth and metastasis. Immunopharmacology 41: 157-164 

  2. Rhee YK, Han MJ, Park SY, Kim DH. 2000. In vitro and in vivo antitumor activity of the fruit body of Phellinus linte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477-480 

  3. Shon TH, Nam KS. 2001. Antimutagenicity and induction of anticarcinogenic phase II enzyme by basidiomycetes. J Ethnopharmacol 77: 103-109 

  4. Oh GT, Han SB, Kim HM, Han MW, Yoo ID. 1992. Immunostimulating activity of Phellinus linteus extracts to B-lymphocyte. Arch Pharm Res 15: 379-381 

  5. Kim HM, Han SB, Oh GT, Kim YH, Hong DH, Hong ND, Yoo ID. 1996. Stimulation of humoral and cell mediated immunity by polysaccharides from mushroom Phellinus linteus. Int J Immunopharmacol 18: 295-303 

  6. Pyo MY, Hyun SM, Yang KS. 2001. Effect of Phellinus linteus extracts on the humoral immune response in normal and cyclophosphamide-treated mice. J Appl Pharmacol 9: 194-200 

  7. Jung ME, Ham SS, Nam SM, Kang IJ, Kim SJ, Chung CK. 2001. Biochemical and histological effects of Phellinus linteus methanol extracts on liver lipid metabolism of rats fed CCl4 and high fa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331-337 

  8. Chung KS, Lee WC, Sung JM. 1998. The antioxidant effects of the basidiocarps of Phellinus spp. J Agric Sci 40: 51-56 

  9. Kweon DJ, Youn SJ, Cho JG, Choi UK, Kang SC. 2006. Antioxidant activity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Phellinus linteus extracts according to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91-96 

  10. Kim DH, Choi HJ, Bae EA, Han MJ, Park SY. 1998. Effect of artificially culture Phellinus linteus on harmful intestinal bacteria enzymes and at intestinal $\beta$ -glucosidases. J Fd Hygi Safe 13: 20-23 

  11. Kim DH, Yang YK, Jeong SC, Song CH. 2001. Production of a hypoglycemic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from the submerged culture of the mushroom, Phellinus linteus. Biotechnol Lett 23: 513-517 

  12. Kim JS, Kim JH, Lee HJ, Khil JH, Kim SH, Kim DH. 2003. A study on cytokine modulating effect of three origins of Phellinus linteus.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Pathology 17: 898-904 

  13. Yoon SK, Kim WJ. 1989. Effect of roasting conditions on quality and yield of barley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575-582 

  14. Kwon JH, Ryu KC, Lee GD. 1997. Dynamic changes in browning reaction substrates of Polygonatum odoratum roots during roast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654-661 

  15. Park NY, Seo JH, Kim YH, Kwon JH. 2000. Comparison of flavor compounds in steamed- and nonsteamed-roasted Polygonatum odoratum roots by solid-phase microextrac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507-512 

  16. Ko YS, Lee IS. 1985. Quantitative analysis of free amino acids and free sugars in steamed and roasted green tea by HPLC. J Korean Soc Food Nutr 14: 301-304 

  17. Cho CH, Kim SI, Jo DH. 1989. Changes in some compounds by heat treatment of green tea. Korean J Biotechnol Bioeng 4: 40-47 

  18. AOAC. 1984.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4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 45 

  19. Lee MJ, Yoo YJ, Kyung KH. 1990. A microbiological investigation of barley drink during storage. Korean J Soc Food Sci 6: 51-58 

  20. Jang EY, Im SG, Jeong YK, Choi SH. 2006. Volatile components of Phellinus linteus from different area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159-164 

  21. Park MK, Jung KS, In MJ. 2004. Effect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on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and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420-426 

  22. Lee BW, Shin DH. 1991. Antimicrobial effect of some plant extracts and their fractionates for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205-211 

  23. Ahn DJ, Kwak YS, Kim MJ, Lee JC, Shin CS, Jeong KT. 2000. Screening of herbal plant extracts showi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some food spoilage and pathogenic microorganism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8: 109-1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