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형 육포제조를 위한 원료 돈육의 미생물 분포 및 병원성 미생물의 확인
The Distribution of Indicator Organisms and Incidence of Pathogenic Bacteria in Raw Pork Material Used for Korean Pork Jerky 원문보기

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28 no.1, 2008년, pp.76 - 81  

김현욱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부) ,  김혜정 (경남보건환경연구원) ,  김태훈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부) ,  김태임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부) ,  이주연 (축산물HACCP기준원) ,  김천제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부) ,  백현동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중의 정육점 및 백화점 등에서 유통 중인 10종의 돈육 원료에 대한 일반세균, 저온균, 고온균, 혐기성균 및 진균류, 대장균군 등의 미생물학적 분포와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분리동정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원료 돈육에서 중온균은 $3.9{\times}10^2-3.9{\times}10^5cfu/g$으로 높은 분포를 보였고, 저온균은 $1.5{\times}10^3-8.6{\times}10^2cfu/g$, 혐기성균은 중온균, 저온균과 유사한 분포를 보였으나 상대적으로 적게 검출되었고, 고온균은 모든 검체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대장균군 또한 모든 검체에 대해서 검출되지 않았으며, 곰팡이와 효모 등 진균류는 $3.8{\times}10^1-5.1{\times}10^2cfu/g$으로 검출되었다. B. cereus는 돈육 sample B와 J에서 분리되었고, S. aureus의 경우 돈육 sample B에서만 검출되었다. B. cereus는 API kit를 이용한 간이동정에서 99.8%의 상동성을 보였고, S. aureus는 97.8%의 상동성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microbial safety of raw pork used to produce Korean pork jerky. The raw pork samples harbored large populations of microorganisms. In particular, mesophilic bacteria were found to be most numerous $(3.9{\times}10^2-3.9{\times}10^5cfu/g)$ in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 고유의 조미 식자재 및 식단에 적용될 수 있는 한국형 육포의 제조를 위한 원료 돈육의 미생물 분포를 즉정하였고, Clostridium botulinum, L. monocytogenes 등과 같은 식육제품과 관련된 식중독균을 분리하여 간이적인 동정을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1)Positive, 2)Negative.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arlin, F., Guinebretire, M. H., Choma, C., Pasqualini, R., Braconnier, A., and Nguyen-the, C. (2000) Spore-forming bacteria in commercial cooked, pasteurized and chilled vegetable purees. Food Microbiol. 17, 153-165 

  2. Chang, D. S., Shin, D. H., Jung, D. H., and Lee, I. S. (2003) Bacterial food poisoning, In: Food Hygiene. Chang, D. S., Shin, D. H., Jung, D. H., Lee, and I. S. (eds), Chungmoongak, Inc., Seoul, Korea. pp. 71-111 

  3. Chung, G. S. and Tak, R. B. (1993) Effects of pH, temperature and food additives on staphylococcal growth and enterotoxin production. Korean J. Vet. Publ. Hlth. 17, 13-38 

  4. Chung, M. S., Lee, S. W., Park, G. Y., Lee, J. H., Lee, C. S., and Lee, J. H. (1999) Analysis of microbiological hazards at pork processing plants in Korea.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19, 36-40 

  5. Creed, P. G. (1998) Sensory and nutritional aspects of sous vide processed foods. In: Sous vide and cook-chill processing for the food industry. Shazala, S. (ed), Aspen Publishers, Gaithersburg, USA, pp. 190-205 

  6. Egan, A. F. and Grau, F. H. (1981)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 role of Brochothrix themosphacta in the spoilage of fresh and processed meat. In: Psychrotrophic microorganisms on spoilage and pathogenicity. Roberts, T. A., Hobb, G., Christian, J. H. R., and Skovgaard, N. (eds.), Academic Press, London, UK, pp. 211-220 

  7. Jackson, G. J., Mer, R. I., and Bandler, R. (2001) FDA's Bacterilogical Analytical Manual, available from: http://www. cfsan.fda.gov 

  8. James, M. J. (1972) Mechanism and detection of microbial spoilage in meat at low temperature. J. Food Technol. 35, 467-472 

  9. Kim, I. S., Jin, S. K., and Lee, M. H. (2005) The microbes and protein extractability of Hanwoo and Japanese wagyu.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5, 45-51 

  10. Kim, S, G,, Lee, Y. S., Lee, T. J., Lee, T. Y., and Kim, H. S. (1993) Identification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aspects of pathogenic Staphylococcus aureus. J. Korean Soc. Microbiol. 28, 251-259 

  11.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2) Korea Food Code. Moonyung-Sa, Seoul, Korea. pp. 643-647 

  12. Kramer, J. M. and Gilbert, R. J. (1989) Bacillus cereus and other Bacillus species. In: Food borne bacterial pathogens. Doyle, M. P. (ed), Marcel Dekker, NY, USA, pp. 21-70 

  13. Lee, B. D., Kim, D. W., Kim, J. H., Kim, J. M., Rhee, C. O., and Eun, J. B. (2006) The microbiological safety evaluation of foodservice facilities and side dishes in elementary schools and universities in the Jeolla-do region. Food Sci. Biotechnol. 15, 920-924 

  14. Lee, H. M., Lee, G. Y., Yoon, E. K., Kim, H. J., Kang, Y. S., Lee, D. H., Park, J. S., Lee, S. H., Woo, G. J., Kang, S. H., Yang, J. S., and Yang, K. H. (2004) Computation of maximum edible time using monitoring data of Staphylococcus aureus in kimbap and food micromodel. J. Food Hyg. Safety 19, 49-54 

  15. Lee, S. H., Seong, S. K., Kim, S. M., Kim, D. K., and Kim, S. H. (1997) Studies on the bacteriological qualities of retailed Hanwoo beef and retail stores. Korean J. Anim. Sci. 39, 309-316 

  16. Lee, Y. W. and Park, S. G. (1998) Distribution of indicator organism and influence of storage temperature and period in commercial animal foods. J. Food Hyg. Safety 13, 430-440 

  17. Moir, C. J. and Szabo, E. A. (1998) Microbiological safety aspects of cook-chill foods. In: Sous vide and cook-chill processing for the food industry. Shazala, S. (ed), Aspen Publishers, Gaithersburg, USA, pp. 311-336 

  18. Newton, K. G. and Rigg, W. J. (1979) The effect of film permeability on the storage life and microbiology of vacuumpacked meat. J. Appl. Bacteriol. 47, 433-445 

  19. Nottingham, P. M. (1982) Microbiology of carcass meat. In: Meat microbiology. Brown, M. H. (ed), Applied Science Publishers Ltd., London, UK, pp. 13 

  20. Rhee, M. S., Ryu, Y. C., and Kim, B. C. (2006) Effects of packaging methods on the shelf life of selenium-supplemented chicken mea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Food Sci. Biotechnol. 15, 431-436 

  21. Simpson, M. V., Smith, J. P., Simpson, B. K., Ramaswamy, H., and Doods, K. L. (1994) Storage studies on a sous vide spaghetti and meat sauce product. Food Microbiol. 11, 5-14 

  22. USDA (1992-1993) Nationwide beef microbiological baseline data collection program: Steers and heifer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Washington DC, USA 

  23. USDA (1993-1994) Nationwide beef microbiological baseline data collection program: Cows and bull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Washington DC, USA 

  24. Zattola, E. A. (1972) Introduction to Meat Microbiology. American Meat Institute, Chicago, USA, pp. 150-155 

  25. 이성우 (1992) 식생활과 문화. 수학사, 서울, pp. 113 

  26. 윤서석 (1992) 한국음식. 수학사, 서울, pp. 306-3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