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R&E 프로그램을 체험한 과학영재들의 사사교육 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인식: KAIST 신입생을 중심으로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Perception of the Impact of R&E Program based on KAIST Freshmen Survey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8 no.4, 2008년, pp.282 - 290  

김경대 (카이스트 과학영재교육연구원) ,  심재영 (카이스트 과학영재교육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 프로그램은 한국과학영재학교와 과학 고등학교의 과학영재들을 위한 사사교육 프로그램으로, 1년 동안 현직 과학자와 과학교사가 멘토로 참여하며 학생들이 실제 연구 과제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다. 이 연구에서는 R&E 프로그램의 주요 목적인 연구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 과학적 탐구능력과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의 신장, 과학자의 생활과 자세에 대한 인식과 희망 전공 등의 항목에 대해서 R&E 프로그램을 경험한 한국과학기술원 학부과정 신입생 182명을 대상으로 사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해서 스스로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프로그램 참여를 통하여 동료들과의 협력(81.0%), 전문 과학지식의 습득(80.8%), 과학자의 생활과 자세에 대한 이해(77.5%), 과학에 대한 흥미(68.7%), 과학적 탐구방법(62.7%), 창의적 사고력(61.5%) 등의 순으로 향상되었다고 긍정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KAIST 신입생들 사이에 출신 고등학교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과학적 탐구방법 향상(p<.01), 연구과제에 관한 전문적인 과학지식 향상(p<.01)의 항목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자로서의 품성 및 자질 함양, 과학적 탐구능력과 창의적 사고력 향상이라고 하는 과학영재를 위한 사사교육으로서 R&E 프로그램의 목적이 충분히 달성되고 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search and Education (R&E) program was a year-long, apprenticeship and research-based program that was guided by mentors who are scientists or science teachers. The objective of the R&E program was to help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in Korea Science Academy (KSA) and Science High School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R&E 프로그램의 주요 목적인 연구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 과학적 탐구능력과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의 신장, 과학자로서의 연구태도와 품성 및 자질 함양 등의 항목에 대해서 R&E 프로그램을 경험한 KAIST 신입생을 대상으로 사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해서 스스로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이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과학영재학교와 과학 고등학교의 R&E 프로그램에서 교육과정과 관련된 차이점으로 무엇이 있는가? 이에 비하여 과학 고등학교 R&E 프로그램의 경우, 각 과학 고등학교의 소재지 대학의 소속 교수와 연구자들이 주로 멘토로 참여하는 차이점이 있다. 또 다른 차이점은 교육과정과 관련된 것으로, 한국과학영재학교의 경우는 사사교육이 정규 교육과정의 한 형태로 제공되므로 모든 학생이 1, 2학년 과정에서 반드시 참여하게 된다. 이에 비하여 과학 고등학교의 경우는 각 학교에서 자원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운영되며 일부 과학고에서는 소속 지역 교육청의 재정적 지원으로 전체 학생들이 참여하는 경우도 있다.
한국과학영재학교 R&E 프로그램은 과학영재들에게 어떤 체험과 기회를 제공하는가? 이 프로그램의 주요한 내용은 학기 중에 실시되는 교육과 방학 중 약 2주간에 걸쳐 실시되는 합숙을 통한 현장 학습이 특징이다. 특히 이 과정 동안 과학영재들은 현직 과학자 및 석 박사 과정 연구자들과 함께 특정 주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며 과학지식을 생성하는 과정을 체험하게 되고, 일반 교육과정에서 체험하기 쉽지 않은 과학지식의 발전에 내재된 가치와 가정과 관련된 일반적인 과학의 본성(Lederman, 1992)에 관하여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게 된다.
R&E 프로그램의 목적은? 몇몇 학교를 제외한 대부분의 과학 고등학교의 경우에는 희망 학생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들 R&E 프로그램은 현재 과학기술부와 과학재단의 지원으로, 과학 고등학교 및 한국과학영재학교에 재학하는 과학영재들이 연구 중심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통하여 과학적 탐구능력과 창의적인 문제해결능력을 신장시키고, 과학자와 학생간의 친밀하고도 지속적인 만남으로 과학자로서의 연구태도와 품성 및 자질을 함양토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김종득 등,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교육부 (1997). 제 7차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 김경대, 강순민, 임재항 (2006). 과학영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6), 743-752 

  3. 김규환 (2005). 과학문화의 관점에서 본 과학교육개혁의 방향. 과학기술정책, 11(5), 13-25 

  4. 김성관, 장명덕, 정진우 (2002). "과학자와의 만남" 프로그램 적용이 초등학생의 과학자에 대한 신체적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490-498 

  5. 김소형, 박재일, 정진수, 이혜정, 권용주, 박국태 (2005). 과학자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 학생과 과학 영재반 학생의 인식 비교 분석. 초등과학교육, 24(1), 1-8 

  6. 김종득, 김훈, 박은영, 이범진, 최호성 (2005). 과학영재학교 R&E 사업 결과보고서. 대전: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7. 김주훈 (2006). 과학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교과서연구, 1(48), 6-11 

  8. 박승재, 서혜애, 송진웅, 이규석, 이면우, 이양락, 이혜숙, 임성민, 현종오 (2002). 초중등 학교 과학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과학재단, 정책연구보고서 2001-20-2 

  9. 박종윤, 최정임 (2006). 중학교 과학 실험수업에 적용한 심화보충형, 심화형, 보충형 수업의 효과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7), 790-797 

  10. 송성수, 김병윤 (2003). 주요 이슈별 과학기술문화 활동의 모범사례. 과학기술정책, 13(3), 70-80 

  11. 송진웅, 이학동, 손연아, 노경임 (1996). 과학교사의 양성, 임용, 재교육에 대한 개선 방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1), 103-120 

  12. 심재영, 김언주, 김종득 (2006). 과학영재 관련 제2차 종단연구: 과학영재교육을 위한 인재양성현황 분석 및 정책개발. 대전: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13. 양일호, 정진수, 권용주, 정진우, 허명, 오창호 (2006). 과학자의 과학지식 생성 과정에 대한 심층 면담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1), 88-98 

  14. 이은숙, 최영준 (2004).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에 있어서 심화,보충 수업의 운영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298-306 

  15. 최재혁, 박승재 (2004). 수원 화성 과학 탐방을 통한 문화재에 대한 과학적 안목 형성 지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930-936 

  16. 한국과학영재학교 (2006). 2006학년도 교육과정편람. 부산: 한국과학영재학교 

  17. 허명 (1994). 21세기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과학교육의 개선 방안. 교과교육연구, 3(1), 189-207 

  18. Aikenhead, G., & Ryan, A. G. (1992). The development of a new instrument: Views on Science-Technology- Society. Science Education, 76(5), 477-491 

  19.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1989). Project 2061: Science for all Americans. Washington, DC: AAAS 

  20. Barab, S. A. & Hay, K. E. (2001). Doing Science at the elbows of experts: Issues related to the science apprenticeship camp.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1), 70-102 

  21. Carlone, H. B., & Johnson, A. (2007). Understanding the science experiences of successful women of color: Science identity as an analytic len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8), 1187-1218 

  22. Gallagher, J. J. (1991). Prospective and practicing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knowledge and beliefs about the philosophy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75(1), 121-131 

  23. Johnson, D. W., & Johnson, R. T. (1998). Learning together and alone: Cooperative, competitive, and individualistic learning (5th Ed.). NY: Allyn & Bacon 

  24. Kim, J-D. & Yi, B. J. (2005). R&E program: Self motivation and creative thinking. International Conference in Saudi-Arabia 

  25. Krasny, M. E. (1999). Reflections on nine years of conducting high school research programs. Journal of Natural Resources and Life Science Education, 28, 17-23 

  26. Lederman, N. G. (1992). Students' and teachers' conception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A review of the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331-359 

  27. Lee, S-Y., Falk, J. & Drayton, B. (2005). Multiple paths to a successful after-school science program for middle school girls. J. Korea Assoc. Res. Sci. Edu, 25(6), 658-670 

  28. Lemke, J. L. (1990). Talking science: Language, learning and value. Norwood, NJ: Ablex 

  29. Liu, S-Y & Lederman, N. G. (2002). Taiwanese gifted student's views of nature of scienc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2(3), 114-123 

  30.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c Press 

  31. R&E Center (2007). 2007 Research and education program in KSA. Busan: Korea Science Academy 

  32. Richmond, G. & Kurth, L. A. (1999). Moving from outside to inside: High school students' use of apprenticeships as vehicles for entering the culture and practic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6), 677-697 

  33. Ritchie, S. M. & Rigano, D. L. (1996). Laboratory apprenticeship through a student research projec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7), 799-815 

  34. Ryder, J. & Leach, J. (1999).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s of investigative project work and their images of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9), 945-956 

  35. Schwartz, R. S., Lederman, N. G., Crawford, B. A. (2004). Developing views of nature of science in an authentic context: An explicit approach to bridging the gap between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Science Education, 88(4), 610-645 

  36. Shim, K-C. & Kim, Y-S. (2005). Science gifted learning program: Research and education model. J. Korea Assoc. Res. Sci. Edu, 25(6), 636-641 

  37. Stake, J. E. & Mares, K. R. (2001). Science enrichment program for gifted high school girls and boys: Predictors of program impact on science confidence and motiv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10). 1065-1088 

  38. Stake, J. E. & Mares, K. R. (2005). Evaluating the impact of science-enrichment program on adolescents' science motivation and confidence: The splashdown effec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4), 359-375 

  39. Tassel-Baska, J. V. & Kulieke, M. J. (1987). The role of community-based scientific resources in developing scientific talent: A case study. Gifted Child Quarterly, 31(3), 111-115 

  40. Tobin, K. & Gallagher, J. J. (1987). What happens in high school science classroom?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19(6), 549-5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