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을 잘 하는 모습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Secondary School Students' Images of Doing-Science-Well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28 no.1, 2008년, pp.1 - 14  

이왕석 (서울대학교) ,  김희경 (강원대학교) ,  송진웅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과학의 이미지 중 '과학을 잘 하는 모습'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학생들의 '과학을 잘하는 모습'은 첫째, 학생 개개인의 과학학습 목표와 연관되어 있다는 점, 둘째, 학생들이 생각하는 '과학적 재능'의 요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 셋째, 과학을 잘하는 모습에 대한 판단기준은 학생들이 주로 의존하는 권위는 무엇인가에 대한 실마리로써 그 의미를 지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고등학생들의 '과학을 잘 하는 모습'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1) 학생들의 '과학을 잘 하는 모습'에 대한 인식에는 어떤 유형들이 있는가? (2) 학생들이 과학을 잘 한다고 판단하게 될 때 그 구체적인 상황(context)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3)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과학을 잘 하는 모습'과 '과학학습 목표'는 일치하는가? 연구결과, 첫째, 학생들은 과학을 잘 한다는 것에 대해 '과학성적을 잘 받는 것', '새로운 것을 발견하는 것', '일상생활에서 과학을 잘 이용하는 것', '과학을 즐기는 것', '실험을 하고나서 결과를 잘 이해하는 것', '형식이나 규칙에 얽매이지 않는 것', '독창적이고 앞서는 생각을 하는 것' 등 다양한 응답 유형을 보였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사회적 기준(사회적으로 인정된 과학을 잘 하는 기준)과 개인적 기준(개인의 신념과 경험을 통해 형성한 과학을 잘 하는 기준)을 모두 사용하고 있었으나, 개인적 기준을 더 중요시 하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학생들의 '과학을 잘 하는 모습'의 재유형화를 통해, 9가지 유형을 추출해 낼 수 있었다(창의적인 생각으로 지식을 창출하는 '아인슈타인 유형', 실험을 체계적으로 수행하여 결과를 잘 도출해 내는 '퀴리 부인유형', 많은 호기심으로 끊임없는 질문을 하는 '소크라테스 유형' 등). 한편, 과학을 잘 한다고 판단할 때의 상황을 분석하여, 물리적 상황과 심리적 상황으로 구분될 수 있었다. 학생들이 과학을 잘 한다고 판단하게 될 때의 물리적 환경을 묘사하는 물리적 상황은 4 가지로 분류되었고(학교교실수업 상황, 실험실 상황, 문제풀이 상황, 일상생활 상황), 과학을 잘 하는 것의 판단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상황은 6 가지가 있었다(내가 급히 해결해야할 문제를 그 사람이 해결해 줄 때, 내가 오랫동안 해결하지 못한 문제를 그 사람이 해결해 줄때,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던 사건에서 그 사람이 침착하게 대응했을 때, 등). 9가지 유형과 4가지 물리적 상황, 6 심리적 상황으로 결합된 '과학을 잘 하는 것의 판단 틀'은 '과학을 잘 하는 모습'을 판단하는 메커니즘을 설명하기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는 데에서 의미를 지닌다. 또한, 학생들의 '과학을 잘 하는 모습'에 대한 변화를 유도하기 위한 교육적 도구로 활용될 여지가 있다. 셋째, 2/3에 해당하는 학생들이 '과학을 잘 하는 모습'과 자신 과학학습 목표는 일치하다고 언급하였다. 불일치를 보이는 학생들은 과학을 잘 하고 싶지 않거나, 현실적인 이유로 성적 향상위주의 과학학습을 하는 학생들임이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과학을 잘 하는 모습'과 과학학습의 목표는 거의 일치한다고 말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을 잘 하는 모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의 중요성을 제안함으로써, '과학의 이미지'연구 분야의 영역을 보다 넓히고, 과학교육의 새로운 시사점을 발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주로 '과학을 잘 하는 모습'에 대한 유형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mage of science is one of the recurrent topics in science education research. In particular, we believe that students' images of Doing-Science-Well could be used for identifying not only students' perceived goals of science learning, but also practical guidelines of effective science teaching.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넓은 범위의 과학의 이미지는 어떤 용어들과 함께 사용되고 있는가? 과학의 이미지(image of science)는 과학교육의 중요한 연구 분야 중 하나이다. 넓은 범위의 과학의 이미지는 때때로 인식(perception), 관점(view), 원형(prototype), 전형적 예(typical example) 혹은 태도(attitude) 등의 용어들과 함께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태도와 이미지의 관계에서, 과학적 태도는 대체적으로 과학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되지만, 과학의 이미지와 태도는 상호영향을 주는 관계로 여겨지기도 한다(Osborne et al.
학생들의 '과학을 잘하는 모습'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과학의 이미지 중 '과학을 잘 하는 모습'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학생들의 '과학을 잘하는 모습'은 첫째, 학생 개개인의 과학학습 목표와 연관되어 있다는 점, 둘째, 학생들이 생각하는 '과학적 재능'의 요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 셋째, 과학을 잘하는 모습에 대한 판단기준은 학생들이 주로 의존하는 권위는 무엇인가에 대한 실마리로써 그 의미를 지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고등학생들의 '과학을 잘 하는 모습'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1) 학생들의 '과학을 잘 하는 모습'에 대한 인식에는 어떤 유형들이 있는가? (2) 학생들이 과학을 잘 한다고 판단하게 될 때 그 구체적인 상황(context)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3)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과학을 잘 하는 모습'과 '과학학습 목표'는 일치하는가? 연구결과, 첫째, 학생들은 과학을 잘 한다는 것에 대해 '과학성적을 잘 받는 것', '새로운 것을 발견하는 것', '일상생활에서 과학을 잘 이용하는 것', '과학을 즐기는 것', '실험을 하고나서 결과를 잘 이해하는 것', '형식이나 규칙에 얽매이지 않는 것', '독창적이고 앞서는 생각을 하는 것' 등 다양한 응답 유형을 보였다.
고등학생들의 '과학을 잘 하는 모습'에 관한 인식을 어떤 방면에서 조사하였는가? 학생들의 '과학을 잘하는 모습'은 첫째, 학생 개개인의 과학학습 목표와 연관되어 있다는 점, 둘째, 학생들이 생각하는 '과학적 재능'의 요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 셋째, 과학을 잘하는 모습에 대한 판단기준은 학생들이 주로 의존하는 권위는 무엇인가에 대한 실마리로써 그 의미를 지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고등학생들의 '과학을 잘 하는 모습'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1) 학생들의 '과학을 잘 하는 모습'에 대한 인식에는 어떤 유형들이 있는가? (2) 학생들이 과학을 잘 한다고 판단하게 될 때 그 구체적인 상황(context)은 어떻게 나타나는가? (3)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과학을 잘 하는 모습'과 '과학학습 목표'는 일치하는가? 연구결과, 첫째, 학생들은 과학을 잘 한다는 것에 대해 '과학성적을 잘 받는 것', '새로운 것을 발견하는 것', '일상생활에서 과학을 잘 이용하는 것', '과학을 즐기는 것', '실험을 하고나서 결과를 잘 이해하는 것', '형식이나 규칙에 얽매이지 않는 것', '독창적이고 앞서는 생각을 하는 것' 등 다양한 응답 유형을 보였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사회적 기준(사회적으로 인정된 과학을 잘 하는 기준)과 개인적 기준(개인의 신념과 경험을 통해 형성한 과학을 잘 하는 기준)을 모두 사용하고 있었으나, 개인적 기준을 더 중요시 하는 경향이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노태희, 최용남 (1996). 성역할의 관점에서 조사한 과학자와 자신에 대한 이미지의 격차 및 과학 관련 태도와의 관계성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3), 286-294 

  2. 배성열, 박윤배 (2000). 교사들이 인식하는 과학과 목표의 영역별 중요도와 장애요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572-581 

  3. 안서원 (2000). 의사결정의 심리학. 시그마프레스 

  4. 장명덕, 이명재 (2004). 초등학교 6학년생들의 과학자의 생활시간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118-1130 

  5. 정용재, 송진웅 (2004). An analysis of the features of 'Typically-Perceived-Situation(TPS)' for in-depth understanding of students' ideas: The case of fou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PSs related to the action of force, 한국교육학회지, 24(4), 785-803 

  6. 조현주, 김영민 (2006). 학생의 과학적 재능과 흥미에 대한 학생 본인, 학부모, 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4), 559-567 

  7. Aikenhead, G. S. (1988). An analysis of four ways of assessing student beliefs about STS topic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5, 607-629 

  8. Aikenhead, G. S. (2006). Science education for everyday life: Evidence-based practice, (p.5). New York: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9. Akienhead, G. S., & Ryan, A. G. (1992). The development of a new instrument: 'Views on Science-Technology-Society(VOSTS)'. Science Education, 76(5), 447-491 

  10.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0). Benchmarks for science literac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1.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0). Science for all americans: Project 2061.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2. Bochenski, J. M. (1974). An analysis of authority. In F. J. Adelman (Ed.), Authority. The hague: Martinus Nijhoff 

  13. Chamber, D. W. (1983). Stereotypic images of the scientist: The draw a scientist test. Science Education, 67(2), 255-265 

  14. Cunliffe, A. (1992). Images of science teaching: An exploration of the beliefs of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2, 408 

  15. George, D., & Richard T. (1976). The nature and function of epistemic authority. In R. B. Harris (Ed.), Authority: A philosophical analysis. Alabama: The University of Alabama Press 

  16. Driver, R. (1989). The construction of scientific knowledge in school classrooms. In R. Miller (Ed.), Doing Science: Imag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pp.83-106). London: The Falmer Press 

  17. Driver, R., Leach, J., Millar, R. & Scott, P. (1996). Young people's images of science. Buckingham, Philadelphia: Open University Press 

  18. Elder, A. D. (2002). Characterizing fifth-grade students' epistemological beliefs in science. In B. K. hofer & P. R. Pintrich (Ed.), Personal epistemology: the psychology of beliefs about knowledge and knowing, (pp.347-363).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 Finson, K. D., Beaver, J. B., & Cramond, B. (1995). Development and field test of a checklist for the drawa-scientist test.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5(4), 195-205 

  20. Flick, L. (1990). Scientist in residence program improving children's image of science and scientist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0(3), 204-414 

  21. Fredrick, T. A. (2004). Constructing instructor-student and student-student authority relationships in technical writing classrooms. Iowa State University 

  22. Giere, R. N. (1991). Understanding scientific reasoning Giere, R. N. (1991). Understanding scientific reasoning 

  23. Hurd, Heidi (1995). Interpreting authority. In A, Marmor (Ed.), Law and interpretation: Essays in legal philosophy. Oxford: Clarendon Press 

  24. Osborne, J., Simon, S., & Collins, S. (2003). Attitudes towards science: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its im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s of Science Education, 25(9), 1049-1079 

  25. Lederman, N. G., Abd-El-Khalick, F., Bell, R. L., & Schwartz, R. S. (2002). Views of nature of science questionnaire: Toward valid and meaningful assessment of learn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6), 497-521 

  26. Matthews, M. R. (1994). Science Teaching: the role of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Philosophy of education research library. New York, London: Routledge 

  27. Matthews, M. R. (1994). Science teaching: The role of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New York: Routledge 

  28. Mead, M., & Metraux, R. (1957). Image of the scientist among high-school students. Science, 126, 384-390 

  29. Miller, R., & Osborne, J. F. (1998). Beyond 2000: Science education for the future. London: King's college London 

  30. Monahan, M. E. (2001). Raising Voice: How sixth grades construct authority and knowledge in argumentative essays. The stats of university of New Jersey 

  31. Munby, H. & Russell, T. (1994). The authority of experience in learning to teach: Messages form a physics methods clas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5(2), 86-95 

  32. Nash, P. (1966). Authority and freedom in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 philosophy of education. New York, London, Sydney: John Wiley & Sons, INC 

  33.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34. Peter, R. S.(1973). Authority, responsibility and education, (3rd Ed.), London: George Allen and Unwin 

  35. Peters, R. S. (1966). Ethics and education. London: George Allen & Unwin 

  36. Raz, J. (1979). A theory of law: Essays on law and morality. Oxford: clarendon Press 

  37. Russell, T. L. (1983). Analyzing arguments in science classroom discourse: Can Teachers' questions distort scientific authority? Journal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0(1), 27-45 

  38. Ryder, J., Leach, J., & Driver, R. (1997, Sep.). The interaction between undergraduate science students' images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their experiences of learning science.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European Science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Rome 

  39. Ryder, J., Leach, J., & Driver, R. (1999). Undergraduate science students' images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2), 201-219 

  40. Scharmann, L. C., & Smith, M. U. (2001). Further thoughts on defining versus describing the nature of science: A response to Niaz. Science Education, 85(6), 691-693 

  41. Schibeci, R. A. (1986). Images of science and scientists and science education. Science Education, 70, 139-149 

  42. She, H. C. (1995)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mage of science and scientists related to current science textbooks in Taiw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4(4), 283-294 

  43. Simonson, I., & Tversky, A. (1992). Choice in context: Tradeoff contrast and extremeness avers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9, 281-295 

  44. Solomon, J., Duveen. J., & Scott, L. (1994). Pupil's images of scientific epistemology. International Journals of Science Education, 16(3), 361-373 

  45. Solomon, J., Scott, L. & Duveen. J. (1996). Large-scale exploration of pupil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80(5), 493-508 

  46. Song, J. & Kim, K. (1999) How Korean students see scientists: the images of the scientist. International Journals of Science Education, 21(9), 957-977 

  47. Suchting, W. A. (1995). The nature of scientific thought. Science and Education, 4(1), 1-22 

  48. Tversky, A., & Kahneman, D. (1981). The Framing of decisions and the psychology of choice. Science, 211, 453-458 

  49. Weber, Max (1947). The theory of social and economic organization, In A. M. Henderson and Talcott Parsons (E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50. Weber, Max (1968). Economy and society. In G. Roth and C. Wittich (E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51. Welzel, M. & Roth, W-M. (1998). Do interviews really assess students' knowledge? International Journals of Science Education, 20, 25-44 

  52. Yore, L. D., Hand, B. M., & Florence, M. K. (2003). Scientists' Views of Science, Models of Writing, and Science Writing Practic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4), 338-3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