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장산과 완도산 건 다시마의 무기성분 및 생리활성 분석
Mineral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Dried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Collected from Gijang and Wando in Korea.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8 no.4 = no.96, 2008년, pp.474 - 481  

최재석 (신라대 RIS사업단) ,  신수화 (신라대 RIS사업단) ,  하유미 (신라대 RIS사업단) ,  김양춘 (기장물산(주)) ,  김태봉 (기장영어조합법인) ,  박선미 (신라대학교 생물학과) ,  최인순 (신라대학교 생물학과) ,  송효주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영주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판되는 기장 및 완도 다시마 완제품(건 다시마)의 일반성분, 미량금속, 유리아미노산 함량, 알긴산 함량, 항산화 효과와 항염증 효과를 조사하여 산지별 다시마의 생리활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일반성분 중, 기장 다시마와 완도 다시마 간의 수분, 회분, 조지방, 탄수화물, 열량의 값은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조단백의 경우, 기장 다시마가 8.41%, 완도 다시마가 7.25%로 나타나 기장 다시마의 조단백 함량이 완도 다시마의 조단백 함량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lanine, proline 및 hydroxyproline이었으며,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비교한 결과, threonine, valine, 그리고 lysine 경우는 기장 다시마에서 더 높은 함량을 보였고, methionine, leucine, phenylalanine 및 histidine은 완도 다시마에서 더 높은 함량을 보였다. 비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기장 다시마의 함량이 완도 다시마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4종류의 주요 금속원소(Na, K, Ca, Mg)와 3종류의 미량금속원소(Fe, Zn, P)의 농도를 비교한 결과, Fe의 함량은 완도 다시마가 높게 나타났으며, Na, K, Ca, Zn, Mg 그리고 P의 함량은 기장 다시마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 알긴산의 함량은 기장 다시마의 알긴산 함량(19.8%)이 완도 다시마(17.9%)보다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DPPH radical scavenging 활성은 완도 다시마의 전자공여능이 기장 다시마의 전자 공여능보다 약 17.8% 정도 높은 것으로 났다. SOD 유사활성은 완도 다시마(49.7%)가 기장 다시마(46.2%)보다 다소 높은 SOD 유사활성을 나타냈다. LPS에 의하여 유도된 NO 합성은 다시마 methanol 추출물을 처리함으로서 NO 합성이 $200\;{\mu}g/ml$농도에서 기장 및 완도 다시마의 NO 합성저해활성은 각각 21.4%와 32.6%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시마 methanol 추출물이 면역기능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proximate compositions, mineral contents, alginic acid,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amino acids of sea tangles collected from Gijang and Wando area. Crude protein and ash contents were higher in Gijang sea tangle, whereas carbohydrate and moisture were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전자공여능 측정은 Blois의 방법 1에 따라 in vitro에서 각 추출물의 DPPH (l,Ldiphenyl-2-picrylhydrazyl)에 대한 수소공여 효과로 측정하였다. 해조류 1 g당 에탄올 10 ml의 비율로 추출한 시료를 DMSO에 녹여 각각 4, 20, 40 μl와 1.5X10"4 M DPPH용액 160 M을 섞은 다음, 최종 volume이 200 μl이 되도록 증류수를 첨가하여 37℃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Electron donation ability: EDA)은 EDA(%)=(대조구 흡광도-시료 첨가구 흡광도)/대조구 흡광 도X100으로 계산하였다.
  • 시료 10 g에 70% EtOH 50 ml을 혼합하여 초음파 추출하였다. 2z000x g로 20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취하여 감압 상태에서 완전히 건조시킨 후 0.5 ml loading buffer에 녹여 여과한 다음, 적량을 아미노산 자동 분석기(Biochrom 30, Biochrom, England)로 분석하였다.
  • coli)에 의하여 생성된 bacterial lipopolysacharise (LPS)를 대식세포에 처리하여 NO를 유도시킨 다음, 다시마 추출물을 처리하여 NO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Table 7). LPS에 의하여 유도된 NO 합성은 다시마 methanol 추출물을 처리함으로서 NO 합성이 200 μg/ml농도에서 기장 및 완도 다시마의 NO 합성을 각각 21.4%와 32.6%로 저해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다시마 methanol 추출물이 면역기능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 본 실험에 사용한 건 다시마는 2006년 1M2월 사이에 완제품 형태로 대형 할인점과 백화점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구입한 건 다시마는 원산지에 따라 기장 및 완도 다시마로 구분하였으며, 기장 지역 4개사(G사 S사, C사, N사)와 완도 지역 3개사(C사, S사, K사)의 다시마제품을 사용하여 무기성분과 생 리활성을 분석하였다. 다시마는 구입 후, grinder 로 분쇄한 다음 60 mesh를 통과한 분말을 사용하였으며, 실험 전까지 -20℃에 보관하였다.
  • 대장균(E. coli)에 의하여 생성된 bacterial lipopolysacharise (LPS)를 대식세포에 처리하여 NO를 유도시킨 다음, 다시마 추출물을 처리하여 NO 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Table 7). LPS에 의하여 유도된 NO 합성은 다시마 methanol 추출물을 처리함으로서 NO 합성이 200 μg/ml농도에서 기장 및 완도 다시마의 NO 합성을 각각 21.
  • 본 연구에서는 시판되는 기장 및 완도 다시마제품을 구입하여 산지별 다시마의 일반성분, 무기성분, 유리아미노산, 알긴산 함량, 항산화력 및 RAW264.7 cell을 이용하여 nitric oxide 합성 저해 등의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 수분, 회분, 조단백질, 조지방, 탄수화물, 열량은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의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19 . 수분은 상압가열건조법에 따라 양을 측정하였고, 조회분은 회화로(F6010, Thermolyne, USA)에 옮겨 550℃에서 8시간 가열하여 얻은 회화의 양을 측정하였다. 조단백질과 조지방은 세미마이크로킬달법을 적용한 분석기기인 Auto kjeldahl system (K-370/424/414, Buchiz Switzerland)과 에테르 추출법을 적용한 분석기기, Auto Soxhl아 System (B-811/ B411, Buchi, Switzerland)를 각각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전자공여능(Electron donation ability: EDA)은 EDA(%)=(대조구 흡광도-시료 첨가구 흡광도)/대조구 흡광 도X100으로 계산하였다.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그룹과 흡광도차를 비교하여 프리라디칼의 제거활성을 백분율로 계 산하였다.
  • NO의 생성은 비색법으로 세포 상등액에 축적되는 nitrite 양을 측정하였다, RAW 264.7 celldmf 24-well plate에 5xl05 cells/w아!의 세포가 되도록 재부유하여, 최종농도가 200 μg/ ml가 되도록 추출물을 처리한 다음, 1 hr 후에 LPS의 자극 하에 24시간 배양하고 그 배양 상등액 내의 NO를 Griess 시약과 반응시켜 측정하였다. 100 μl의 세포배양 상등액을 취하여 동량의 Griess 시약(1% sulfanilamide (30% acetic acid)와 0.
  • 5X10"4 M DPPH용액 160 M을 섞은 다음, 최종 volume이 200 μl이 되도록 증류수를 첨가하여 37℃에서 30분 동안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Electron donation ability: EDA)은 EDA(%)=(대조구 흡광도-시료 첨가구 흡광도)/대조구 흡광 도X100으로 계산하였다.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그룹과 흡광도차를 비교하여 프리라디칼의 제거활성을 백분율로 계 산하였다.
  • 혼합물을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등 액에 95% 메탄올을 가하여 침전시킨 후, 다시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회수하였다. 침전물을 중류수로 용해한 다음 메탄올을 가하여 침전시키는 조작을 2회 반복하여 정제한 후, 동결 건조하여 얻어진 알긴산 분말의 무게를 측정하여 알긴산 함량을 구하였다.
  • 이러한 항산화 물질들은 활성산소를 비롯한 다른 라디칼에 대한 소거활성을 기대할 수 있으며, 인체 내에서 free radical 에 의한 노화를 억제하는 척도로 이용할 수 있다. 항산화 활성은 DPPH radical scavenging 활성을 측정하여 기장 및 완도 다시마 제품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분석하였다 (Table 5). 기장 및 완도 다시마의 메탄올 추출물 40 pg/ml 농도에서 각각 34.

대상 데이터

  • 구입한 건 다시마는 원산지에 따라 기장 및 완도 다시마로 구분하였으며, 기장 지역 4개사(G사 S사, C사, N사)와 완도 지역 3개사(C사, S사, K사)의 다시마제품을 사용하여 무기성분과 생 리활성을 분석하였다. 다시마는 구입 후, grinder 로 분쇄한 다음 60 mesh를 통과한 분말을 사용하였으며, 실험 전까지 -20℃에 보관하였다.
  • 본 실험에 사용한 건 다시마는 2006년 1M2월 사이에 완제품 형태로 대형 할인점과 백화점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구입한 건 다시마는 원산지에 따라 기장 및 완도 다시마로 구분하였으며, 기장 지역 4개사(G사 S사, C사, N사)와 완도 지역 3개사(C사, S사, K사)의 다시마제품을 사용하여 무기성분과 생 리활성을 분석하였다.

이론/모형

  • KFDA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 전처리는 제조사의 manual에 따라 조제하였다. 시료 10 g에 70% EtOH 50 ml을 혼합하여 초음파 추출하였다.
  • You 등 29의 방법에 따라 다시마의 알긴산 함량을 측정하였다. 분쇄한 시료 10.
  • 무기 염류 중, Na, K, Ca, Fe, Zn, Mg 그리고 P는 KFDA의 미량영양성분시험법의 건식분해법 19 에 따라 시료 5 g를 회화용기에 취하여 예비 탄화시킨 후 55℃의 온도에서 가열하여 얻은 회백색의 회분을 시험용액으로 만들어 ICP (Optima 5300 DVZ Perkin Elmer, England)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 세포독성은 MTT assay법으로 측정하였다 24 . 24-well microtiter plate (Nunc, Vangaard, Neptune, NJ)에 RAW 264.
  • 수분, 회분, 조단백질, 조지방, 탄수화물, 열량은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FDA)의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19 . 수분은 상압가열건조법에 따라 양을 측정하였고, 조회분은 회화로(F6010, Thermolyne, USA)에 옮겨 550℃에서 8시간 가열하여 얻은 회화의 양을 측정하였다.
  • 전자공여능 측정은 Blois의 방법 1에 따라 in vitro에서 각 추출물의 DPPH (l,Ldiphenyl-2-picrylhydrazyl)에 대한 수소공여 효과로 측정하였다. 해조류 1 g당 에탄올 10 ml의 비율로 추출한 시료를 DMSO에 녹여 각각 4, 20, 40 μl와 1.
  • 수분은 상압가열건조법에 따라 양을 측정하였고, 조회분은 회화로(F6010, Thermolyne, USA)에 옮겨 550℃에서 8시간 가열하여 얻은 회화의 양을 측정하였다. 조단백질과 조지방은 세미마이크로킬달법을 적용한 분석기기인 Auto kjeldahl system (K-370/424/414, Buchiz Switzerland)과 에테르 추출법을 적용한 분석기기, Auto Soxhl아 System (B-811/ B411, Buchi, Switzerland)를 각각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탄수화물은 시료 100 g 중에서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섬유 및 회분의 양을 감하여 얻은 양으로서 표시하고 일반성분의 시험 결과는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은 Markhind와 Marklund의 방법 2이에 따라 과산화수소(H2O2)로 전환시키는 반응을 촉매 하는 pyrogallol의 생성량을 측정하여 SOD 유사활성으로 나타내었다. 각 추출시료를 DMSO에 녹여 농도별로 희석하여, 시료 1, 5/ 10 μl에 Tris-HCl buffer (50mM Tris hydroxymethyl aminomethane, 10 mM EDTA, pH 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 Bojakowski, K., P. Abramczyk, M. Bojakowska, A. Zwolinska, J. Przybylski and Z. Gaciong. 2001. Fucoidan improves the renal blood flow in the early stage of renal ischemia/ reperfusion injury in the rat. J. Physiol. Pharmacol. 52, 137-143 

  3. Cho, D. M., D. S. Kim, D. S. Lee, H. R. Kim and J. H. Pyeun. 1995. Trace components and functional saccharides in seaweed-1. Bull. Korean Fish Soc. 28, 49-59 

  4. Ciofani, G., V. Raffa, A. Menciassi, S. Micera and P. Dario. 2007. A drug delivery system based on alginate microspheres: mass-transport test and in vivo validation. Biomed. Microdevices 9, 395-403 

  5. Dawczynski, C., R. Schubert and G. Jahreis. 2007. Amino acids, fatty acids, and dietary fiber in edible seaweed products. Food Chem. 103, 891-899 

  6. Farias-Eisner, R., M. P. Sherman, E. Aeberhard and G. Chaudhuri. 1994. Nitric oxide is an important mediator for tumoricidal activity in vivo. Proc. Natl. Acad. Sci. 91, 9407-9411 

  7. Green, L. C., D. A. Wagner, J. Glogowski, P. L. Skipper, J. S. Wishnok and S. R. Tannenbaum. 1982. Analysis of nitrate, nitrite, and [ ^{15}N$ ] nitrate in biological fluids. Anal. Biochem. 126, 131-138 

  8. Haroun-Boihedja, F., M. Ellouali, C. Sinquin and C. Boisson-Vidal. 2000. Relationship between sulfate group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fucans. Thrombosis Research 100, 453-459 

  9. Hong, H. D., N. Kang and S. S. Kim. 1998.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of apple juice mixed with some fruits and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484-1487 

  10. Ignarro, L. J., J. M. Fukutto, J. M. Griscavage, N. E. Rogers and R. E. Byrns. 1993. Oxidation of nitric oxide in aqueous solution to nitrite but not nitrite: Comparison with enzymatically formed nitric oxide form L-arginine. Proc. Natl. Acad. Sci. 90, 8103-8107 

  11. Im, Y. G., J. S. Choi and D. S. Kim. 2006. Mineral contents of edible seaweeds collected from Gijang and Wando in Korea. J. Korean Fish Soc. 39, 16-22 

  12. Jimenez-Escrig, A. and I. Goni Cambrodon. 1999. Nutritional evaluation and physiological effects of edible seaweeds. Arch. Latinoam. Nutr. 49, 114-120 

  13. Jin, D. Q., G. Li, J. S. Lim, C. S. Young, J. A. Kim and K. Hun. 2004. Preventive effects of Laminaria japonica aqueous extract on the oxidative stress and xanthine oxidase activity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liver. Biol. Pharm. Bull. 27, 1037-1040 

  14. Kang, J. W. and N. P. Ko. 1997. Seaweed Aquaculture pp. 199-202, Taewha Publication, Busan. Korea 

  15. Kim, D. S., D. S. Lee, D. M. Cho, H. R. Kim and J. H. Pyeun. 1995. Trace components and functional saccharides in marine algae. 2. Dietary fiber contents and distribution of the algal polysaccharides. J. Korean Fish Soc. 28, 270-278 

  16. Kim, J. A. and J. M. Lee. 2004. The change of biologically functional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Hizikia fusiformis with drying methods. Korean J. Food Culture 19, 200-208 

  17. Kim, K. H., Y. W. Kim, H. B. Kim, B. J. Lee and D. S. Lee. 2006. Anti-apoptotic of laminarion polysaccharides and their enzymatically hydrolyzed oligosaccharides from Laminarin japonica. Biotechnol. Letters 28, 439-446 

  18. Kim, S. H., M. Y. Kang and S. H. Nam. 2005. Modulatory effects of 21 kinds of medicinal herbs including herba pogostemi (Agastache rugosa) on nitric oxide production in macrophage cell line RAW 264.7 cell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411-417 

  19.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5. Food Standards Codex. Korean Foods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p. 1267 

  20. Lee, B. H., B. W. Choi, J. H. Chun and B. S. Yu. 1996. Extraction of water soluble antioxidants from seaweeds. J. Korean Ind. F Eng. Chemistry 7, 1069-1077 

  21. Lee, D. S., H. R. Kim, D. M. Cho, T. J. Nam and J. H. Pyeun. 1998. Uronate compositions of alginates from the edible brown algae. J. Korean Fish Soc. 31, 1-7 

  22. Lee, J. H. and N. J. Sung. 1980. The content of minerals in algae. J. Korean Soc. Food & Nutr. 9, 51-58 

  23. Marklund, S. and G. Marklund. 1975. Involvement of superoxide amino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8-474 

  24. Mosmann, T. 1983. Rapid ca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ods 65, 55-63 

  25. Nathan, C. 1992. Nitric oxide as a secretary product of mammalian cells. FASEB J. 6, 3051-3064 

  26. Nice, D. J., D. S. Robinson and M. A. Jolden. 1995. Characterization of a heat-stable antioxidant co-purified with the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from dried peas. Food Chem. 52, 393-397 

  27. Sosulski, F. W. and A. M. Cadden. 1982. Composition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of several sources of dietary fiber. J. Food Sci. 47, 1472-1477 

  28. Torel, J., J. Gillard and P. Gillard. 1986. Antioxidant activity of flavonoids and reactivity with peroxy radical. Phytochemistry 25, 383-385 

  29. You, B. J., Y. S. Im, I. H. Jeong and K. H. Lee. 1997. Effect extraction conditions on bile acids binding capacity in vitro of alginate extracted from sea tangle (Laminaria spp.). J. Korean Fish Soc. 30, 31-38 

  30. van der Veen, R. C. 2001. Nitric oxide and T cell immunity. Int. Immunophamacol. 1, 1491-1500 

  31. Wang, J., Q. Zhang, Z. Zhang and Z. Li. 2008. Antioxidant activity of sulfated polysaccharides fractions extracted from Laminaria Japonica. J. Biological Macromol. 42, 127-13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