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Polyethylene (PE, Asahi) 이차전지용 막의 표면불소화를 통해 기계적 강도열적 안정성과 고출력에서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전자주사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접촉각(contact angle)을 통하여 불소가스 노출시간에 따른 막의 표면과 구조의 변화를 관찰하고, 인장강도와 표면 친수성 실험을 통하여 막의 기계적 물성을 확인하였다. 제조된 막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충/방전 실험, 수명특성. 고율방전시험을 실시하여 고출력에서 온도에 대한 안정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research, the research for enhancing the stability at the mechanical strength and thermal stability and high power through the Direct Fluorination of the Polyethylene (PE, Asahi) for secondary battery was conducted. The surface of according to the fluorine gas exposure time and construction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충전과 방전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충전을 통해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이차전지의 경우 수명 (lifetime) 특성은 대표적으로 요구되어지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230-PE 격리 막을 적용한 전지의 경우 상용화된 PE 막을 사용한 전지와 비교하여 수명특성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Fig.
  • 본 연구에서는 격리막의 물리적 안정성 및 고출력 시안 정한 전기화학적 특성 향상을 위해 PE 격리막 표면 불소화를 실시하였으며 이에 따른 격리막의 열적, 기계적 안정성과 함께 충/방전 고율방전실험을 통하여 제조된 격리막의 특성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불소화에 따른 막 표면 불소도입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정접촉각(static contact angle) 즉정법을 이용하여 물에 대한 젖음도(wettability)를 확인하였다. 실험은 NRL C.
  • 무기화합물과 상온에서도 반응하며 막 표면을 고농도 불소로 표면 불소화 반응 시켰을 경우 반응이 급격히 진행되고 발열에 의해 막 표면에 균열이 발생한다[15]. 이에 본 실험 에서는 낮은 농도에서 짧은 시간동안 실험함으로써 막의 손상을 최소화 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Y. M. Lee and B. K. Oh, 'The Role of Microporous Separator in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Membr. J., 7(3), 123 (1997) 

  2. M. Hishinuma, T. Iwahori, H. Sugimoto, H. Sugawa, T. Tanaka, T. Yamamoto, Y. Yanagisawa, Y. Yoda, and S. Yoshida, 'Zinc-iodine secondary cell using 6-Nylon or poly(ether) based electrode basic research for industrial use of the secondary cell', Electrochim. Acta., 35(1), 255 (1990) 

  3. B. scrosati, 'Challenge of portable power', Nature, 373, 557 (1995) 

  4. T. Yamamoto, T. Hara, K. Segawa, K. Honda, and H. Akashi, '4.4 V lithium-ion polymer batteries with a chemical stable gel electrolyte', J. Power Sources, 174, 1036 (2007) 

  5. Y. M. Lee, J. W. Kim, N. S. Choi, J. A. Lee, W. H. Seol, and J. K. Parka, 'Novel porous separator based on PVdF and PE non-woven matrix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ies', J. Power Sources, 139, 235 (2005) 

  6. D. Ilic, P. Birke, K. Holl, T. Worle, P. Haug, and F. Birke-Salam, 'PoLiFlexTM, the innovative lithium-polymer battery', J. Power Sources, 129, 34 (2004) 

  7. C. R. Jarvis, A. J. Macklin, D. A. Teagle, J. Cullen, and W. J. Macklin, 'The use of novel PVDF-HFP-CTFE terpolymers in lithium-ion polymer cells', J. Power Sources, 119, 465 (2003) 

  8. F. G. Ooms, E. M. Kelder, J. Schoonman, N. Gerrits, J. Smedinga, and G. Calis, 'Performance of $solupor^{\circledR}$ separator materials in lithium ion batteries', J. Power Sources, 97, 598 (2001) 

  9. P. P. Prosini, P. Villano, and M. Carewska, 'A novel intrinsically porous separator for self-standing lithium-ion batteries', Electrochim. Acta., 48, 227 (2002) 

  10. P. Carten and B. Thompson, 'Improved and Novel Surface Fluorinated Products', J. Fluor. Chem., 104, 97 (2000) 

  11. F. J. du Toit and R. D. Sanderson, 'Surface Fluorination of polypropylene 1. Characterization of surface properties', J. Fluor. Chem., 98, 107 (1999) 

  12. A. Tressaud, E. Durand, C. Labrugere, A. P. Kharitonov, and L. N. Kharitonova, 'Modification of surface properties of carbon-based and polymeric materials through fluorination routes: From fundamental research to industrial applications', J. Fluor. Chem., Sci., 128, 378 (2007) 

  13. A. P. Kharitonov, R. Taege, G. Ferrier, V. V. Teplyakov, D. A. Syrtsova, and G. H. Koops, 'Direct fluorination-Useful tool to enhance commercial properties of polymer articles', J. Fluor. Chem. Sci., 126, 251 (2005) 

  14. W. H. Seol, Y. M. Lee, and J. K. Park, 'Preparation and chracterization of new microporous streched membrane for lithium rechargeable battery', J. Power Sources, 163, 247 (2006) 

  15. J. D. Le Roux, D. R. Paul, J. Kampa, and R. J. Lagw, 'Modification of Asymmetric Polysulfone Membrane by Mild Surface Fluorination, Part 1. Transport properties', J. Membr. Sci., 94, 121 (1994) 

  16. N. Hara, H. Fukmoto, and M. Watanabe, 'In-site Kinetic Studies on Direct Fluorination of Tin Polyethylene Films with OCM', Bulletin Chem. Soc. Japan, 68, 1232 (1995) 

  17. P. A. B. Carstens, S. A. Marais, and C. J. Thompson, 'Improved and Novel Surface Fluorinated Products', J. Fluor. Chem., 104, 97 (2000) 

  18. J. D. Le Roux, D. R. Paul, J. Kampa, and R. J. Lagw, 'Modification of Asymmetric Polysulfone Membrane by Mild Surface Fluorination, Part 1. Transport properties', J. Membr. Sci., 94, 121 (1994) 

  19. F. J. du Toit and R. D. Sanderson, 'The Effect of Surface Fluorination on the Wettability of High Density Polyethylene.', J. Fluor. Chem., 74, 73,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