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국, 산국 및 구절초꽃 분말 차의 항산화활성과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hrysanthemum indicum L., Chrysanthemum boreale M. and Chrysanthemum zawadskii K. Powdered Tea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7, 2009년, pp.824 - 831  

이상훈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황인국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노진우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장영득 (충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이철희 (충북대학교 원예과학과) ,  우관식 (국립식량과학원) ,  정헌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감국, 산국 및 구절초꽃 열수추출물에 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 부형제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분말차를 제조하고 이의 품질특성과 관능특성을 평가하였다. 국화차 분말의 흡습성은 국화 품종별 덱스트린 단독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부형제의 종류 및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용해도는 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을 8:2로 혼합한 처리구에서 당도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국화 분말차의 색도는 부형제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을 9:1로 혼합한 첨가구에서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국화 분말차의 pH는 $5.33{\sim}5.63$ 범위를 보였다. 갈변도와 탁도는 품종, 부형제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환원당 함량은 국화 품종별로 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을 8:2로 혼합한 처리구에서 높았다. 총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총 항산화력은 산국 분말차가 각각 $6.47{\sim}6.75$, $1.95{\sim}1.99$$4.37{\sim}4.55\;mg/g$ 범위로 감국과 구절초 분말차보다 높았고 전자공여능은 감국 분말차가 $24.85{\sim}27.93%$로 산국과 구절초 분말차보다 높았다. 관능평가에서 색과 향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산국의 경우 쓴맛에 대한 낮은 평가로 인하여 전반적으로 기호도가 낮게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wdered teas using Compositae species flower, the samples of Chrysanthemum indicum L. (CI),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CB), and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CZ) were extracted with hot water and concentrated, and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들 중 분말 형태는 휴대가 간편하고 용해성이 우수하며, 물에 용해시키면 전통적 차 형태의 식미와 유사성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원료의 제품이 제조되고 있다(13). 그러므로 국화과 식물을 이용한 제품 개발을 위해 현재까지 연구가 많이 진행된 잎차나 주류 이외의 형태를 고려하였고, 그 중 분말차로 개발하고자 하였다. 액상추출물을 분말화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열풍건조 방법, 분무건조 방법과 동결건조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14).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화과 식물의 이용범위를 증대시키고, 보다 다양한 가공 제품 개발의 일환으로 감국, 산국 및 구절초 꽃을 이용한 분말차를 제조하고 부형제의 혼합비율에 따른 분말차의 품질특성과 항산화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3)The concentrations of extracts and powder teas are 1 and 10 mg/mL, respectivel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국과 산국에서 분리한 성분에 의한 기능성에는 무엇이 있는가? 감국은 산국에 비해 꽃이 약간 크지만생육 시기나 식물의 형태가 유사하고 식품용이나 한방에서도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한방이나 민간처방으로서 강심, 중추신경 억제, 혈압강하, 빈혈, 현기증 및 두통 완화를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2,3). 또한 감국과 산국에서 분리한 성분에 의한 기능성으로는 항암효과, aldose reductase 저해효과 및 nitric oxide 생성 저해효과(4-7) 등이 보고되어 있다. 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var.
감국, 산국 및 구절초꽃 열수추출물에 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 부형제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분말차를 제조하고 이의 품질특성과 관능특성을 평가한 연구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감국, 산국 및 구절초꽃 열수추출물에 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 부형제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분말차를 제조하고 이의 품질특성과 관능특성을 평가하였다. 국화차 분말의 흡습성은 국화 품종별 덱스트린 단독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으며,부형제의 종류 및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용해도는 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을 8:2로 혼합한 처리구에서 당도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국화 분말차의 색도는 부형제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을9:1로 혼합한 첨가구에서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국화 분말차의 pH는 5.33~5.63 범위를 보였다. 갈변도와 탁도는 품종, 부형제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환원당 함량은 국화 품종별로 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을 8:2로 혼합한 처리구에서 높았다. 총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총 항산화력은 산국 분말차가 각각 6.47~6.75, 1.95~1.99 및 4.37~4.55 mg/g 범위로감국과 구절초 분말차보다 높았고 전자공여능은 감국 분말차가 24.85~27.93%로 산국과 구절초 분말차보다 높았다. 관능평가에서 색과 향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산국의 경우 쓴맛에 대한 낮은 평가로 인하여 전반적으로 기호도가 낮게 평가되었다.
감국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가? )과 산국(Chrysanthemum boreale Makino)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류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중부 이남의 산간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야생국화이다. 감국은 산국에 비해 꽃이 약간 크지만생육 시기나 식물의 형태가 유사하고 식품용이나 한방에서도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한방이나 민간처방으로서 강심, 중추신경 억제, 혈압강하, 빈혈, 현기증 및 두통 완화를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2,3). 또한 감국과 산국에서 분리한 성분에 의한 기능성으로는 항암효과, aldose reductase 저해효과 및 nitric oxide 생성 저해효과(4-7) 등이 보고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i SH, Im SI, Bae JE. 2006. Analysis of aroma components from flower tea of German chamomile and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768-773 

  2. Hong UC. 2002. Essential oil compositions Chrysanthemum boreale and Chrysanthemum indicum.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5: 108-113 

  3. Jang DS, Park KH, Lee JR, Ha TJ, Park YB, Nam SH, Yang MS. 1999.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esquiterpene lactones isolated from Hemisteptia lyrata, Chrysanthemum zawadskii and Chrysanthemum boreale.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4: 137-142 

  4. Nam SH, Choi SD, Choi JS, Jang DS, Choi SU, Yang MS. 1997. Effects of sesquiterpene lactones isolated from Chrysanthemum boreale M. against sarcoma 180 implanted in ICR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144-147 

  5. Shin KH, Kang SS, Seo EA, Shin SW. 1995. Isolation of aldose reductase inhibitors from the flowers of Chrysanthemum boreale. Arch Pharm Res 18: 65-68 

  6. Yoshikawa M, Morikawa T, Murakami T, Toguchida I, Harima S, Matsuda H. 1999. Medicinal flowers. I. Aldose reductase inhibitors and three new eudesmane-type sesquiterpenes, kikanols A, B, and C, from the flowers of Chrysanthemum indicum L. Chem Pharm Res 18: 65-68 

  7. Yoshikawa M, Morikawa T, Toguchida I, Harima S, Matsuda H. 2002. Medicinal flowers. II. Inhibitors of nitric oxide production and absolute stereostructures of five new germacrane-type sesquiterpenes, kikkanols D, D monoacetate, E, F and F monoacetate from the flowers of Chrysanthemum indicum L. Chem Pharm Bull 48: 651-656 

  8. Woo JH, Lee CH. 2008. Effects of harvest date on anti oxidant of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and D. zawadskii var. yezoense (Maek) Y.M. Lee & H.J. Choi. Korean J Plant Res 21: 128-133 

  9. Son JC, Park NK, Hur HS, Bang MH, Baek NI. 2000. Examination and isolation of natural antioxidants from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Med Crop Sci 8: 94-101 

  10. Lee SH, Lee JS. 2007. Production and characteristics of antidandruffy compound from Chrysanthemum zawadskii. Korean J Microbial Biotechnol 35: 220-225 

  11. Park NY, Lee KD, Jeong YJ, Kwon JH. 1998.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s f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Chrysanthemum boreal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585-590 

  12. Yu JS, Hwang IG, Woo KS, Chang YD, Lee CH, Jeong JH, Jeong HS. 200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hrysanthemum indicum L. flower tea according to different pan-firing tim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297-302 

  13. Chung HS, Hong JH, Youn KS.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anule prepared by protein-bound polysaccharide isolated from Agaricus blazei and selected forming agent. Korean J Food Preserv 12: 247-251 

  14. Tan LH, Chan LW, Heng PWS. 2005. Effect of oil loading on microspheres produced by spray drying. J Microencapsul 22: 253-259 

  15. Rhee C, Cho SY. 1991. Effect of dextrin on sorption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vacuum frying dried carrot.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241-247 

  16. Kim WJ, Ku KH. 1994. Optimization of heating and addition of water, oil and dextrin for uncompressed SPI tofu prepar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7-43 

  17. Hwang SH, Hong JH, Jeong YJ, Youn KS. 2002. Effects of the proportions of wall materials on the characteristics of spray dried vinegar. Korean J Food Preserv 9: 189-193 

  18. Nam HW, Hyun YH. 2003. Drying of citron juice from by-product of citron tea manufacturing. Korean J Food & Nutr 16: 334-339 

  19.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 426-428 

  20. Dewanto V, Xianzhong W,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4959-4964 

  21. Choi Y, Kim MH, Shin JJ, Park JM, Lee J. 2003.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23-727 

  2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3 

  23. Park SJ, Hong JH, Youn KS, Choi YH. 2006. Form manufacturing and quality characteristics using extracts from Hericium erinaceus. Korean J Food Preserv 13: 569-573 

  24. Sung JY, Joe WA, Kim YH, Cheon SJ, Jang MJ, Lee JS, Choi EY, Lee HS, Kim DI, Kim JO, An BJ, Lee JT. 2007.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the Chrysanthemum indicum L. J Appl Orien Med 7: 1-5 

  25. Hwang IG, Woo KS, Kim TM, Kim DJ, Yang MH, Jeong HS. 2006. Change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pear (Pyrus pyrifolia Nskai) juice with heat treatment condi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342-347 

  26. Woo KS, Jang KI, Kim KY, Lee HB, Jeong HS.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heat treated licorice (Glycyrrhiz uralensis Fisch)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355-360 

  27. Yang SJ, Woo KS, Yoo JS, Kang TS, Noh YH, Lee JS, Jeong HS. 2006. Change of Korean ginseng components with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treat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21-525 

  28. Kwon OC, Woo KS, Kim TM, Kim DJ, Hong JT, Jeong HS. 2006.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garlic (Allium sativum L.) on the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treat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331-336 

  29. Kim HY, Woo KS, Hwang IG, Lee YR, Jeong HS. 2008. Effects of heat treatments on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fruits and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166-170 

  30. Lee SH, Hwang IG, Lee YR, Joung EM, Jeong HS, Lee HB. 2009.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heated radish (Raphanus sativus L.)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490-49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