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방규격작성 방법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orean Defense Specification Practice Standard Development Initiative 원문보기

韓國軍事科學技術學會誌 = Journal of the KIMST, v.11 no.6, 2008년, pp.90 - 101  

송재용 (국방기술품질원) ,  손승현 (국방기술품질원) ,  성인철 (국방기술품질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n defense specifications are the technical criteria of military products and major factor of acquisition system. Weapon systems and acquisition technique have been advanced dramatically after 1990's, but Korean defense specification practice standard has stayed after early 1980's except embed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획득 수명주기에서 국방규격의 비중과 현행 국방규격작성표준의 현황과 구성 및 적용상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국방규격의 작성 및 활용과 관련된 획득기법, 설계 및 생산기술 등 관련 기술의 발전추세를 파악하여, 이에 부합하는 국방규격작성 방법의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 발전도 수반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현행 작성기준의 현황 및 문제점과 관련된 기술 등의 발전추세 등을 살펴본 후, 국방규격작성방법의 발전방안으로 우선 국방규격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문서 중심에서 제품중심으로 전환 및 기술문서의 형식을 수정과정보체계에서 활용이 편리한 형태로 전환하고, M&S, SBA 등 최신 획득기법 지원과 설계 효율 향상을 위하여 도면 형태에서 디지털 제품모델 형태로 전환하며, 첨단화 하는 장비의 기술수준에 맞추어 국방규격기술문서의 구성 체계 변경 등을 제시하였다.
  • 도면은 도면과 디지털제품모델 중 1가지를 선택하며, 자료목록은 제품구성표(E-BOM)로, 포장제원표는 해당 장비 국방규격에 포함하는 형태로 변경하였다. 여기서 특기할 사항은 제품정의문서와 제품구성표로 국방규격의 구성을 기술문서 중심에서 제품중심으로 전환하고, 규격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추가하였다. 즉 그림 5와 같이 규격화 대상 장비의 제품의 구성형태와 각 구성부품의 특성을 중심으로 타 기술문서와의 관계를 체계화 하는 것이다.
  • 개념을 도입하여야 한다. 즉 각 기술문서와 부품별로 각자가 적용되는 타입과 대상에 대한 정보관리를 위한 수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각 기술문서의 개정, 펴)지, 대체 방법을 현재의 양식설명 수준에서 미국의 ASME Y1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방위사업청 훈령 제79호 방위사업관리규정, 2008 

  2. 표준화교범(도면작성과 관리), 국방과학연구소, 1977 

  3. 표준화교범(기술자료작성과 관리), 국방과학연구소, AMDC-4-81-0076, 1981 

  4. 장기덕, 한철희, 국방규격 전문화 관리방안 연구, 한국국방연구원, p. 70, 1987 

  5. 방위사업청 지침 제2006-36호, 국방규격작성표준 지침, 2006 

  6. 방위사업청 지침 제2008-25호, 국방규격의 서식 및 작성에 관한 지침, 2008 

  7. ASME Y14.35M-1997, Revision of Engineering Drawings and Associated Documents, ASME, 1997 

  8. MIL-STD-499A, Engineering Management, DoD, pp. 3-18, 1974 

  9. Defense Acquisition University, Systems Engineering Fundamentals, pp. 73-75, 2001 

  10. 법률 제5535호 민.군겸용기술사업 촉진법, 1998 

  11. ASME Y14.100-2004, Engineering Drawing Practices, ASME, p. iv, 2004 

  12. Def Stan 00-00 Part 2, Management and Production of Defence Standards, MoD, p. 10, 2008 

  13. Ministry of Defence, Selection of Standards for Use in Defence Acquisition Version 6, 2008 

  14. Defense Acquisition University, Systems Engineering Fundamentals, pp. 117-123, 2001 

  15. 송찬호 외 8인, 획득프로세스 혁신을 위한 모의기반획득(SBA)체계 발전방안, 국방과학연구소, DMSC-415-070428, pp. 5-33, 2006 

  16. '기술 중심의 선진 방위사업' 구현을 위한 중. 장기 방위사업정책 발전방향, 방위사업청, p. 101, 2007 

  17. 2010-2024 국방과학기술진흥계획, 국방부, p. 22, 2007 

  18. 노상도 외 3인, CAD 디지털 가상생산과 PLM, pp. 63-103, $\Sigma$ 시그마프레스, 2006 

  19. MIL-DTL-3100C, Technical Data Packages, DoD, pp. 4-7, 2001 

  20. Def Stan 05-10 Part 2, Digital Product Definition Information, MoD, pp. 3-8, 2006 

  21. Watts, Engineering Documentation Control Handbook - Configuration Management in Industry, William Andrew Publishing, pp. 108-111, 2000 

  22. 김은 외 3인, Enterprise Solutions, 어람출판사, pp. 38-39, 2005 

  23. Blanchard, 군수공학 및 관리, 학연문화사, pp. 5-14,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