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영재교육에서 소집단 탐구활동에 대한 인식 분석
Analyzing Perceptions of Small Group Inquiry Activity in the Gifted Education of Korea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29 no.2, 2008년, pp.151 - 162  

정현철 (한국과학기술원 과학영재교육연구원) ,  박영신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BK21 미래과학교육) ,  황동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우리나라 영재교육에서의 소그룹 탐구활동에서의 실태 및 인식을 정량적으로 조사한 것이다. 임의 표본으로 전국의 16개 도시의 영재담당 교사 614명, 수학에서는 1,670명, 과학에서는 1,732의 영재학생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본 연구의 연구자들은 기존의 관련 문헌을 바탕으로 협동학습 형태의 소그룹활동 및 탐구활동에 대한 설문지를 개발하여 실태 및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1) 현 한국의 영재교육에서의 소그룹 탐구활동은 교실 내에서 효과적인 학습 및 교수법으로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었다. 또한 한국영재교육에서의 소그룹 탐구활동에 대해 교사 및 영재학생들은 인지적 및 정의적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2) 실질적으로 학생간의 상호작용을 활발하게 도모하기 위한 교수법이나 효과적인 조구성을 위한 교수법은 사용하지 않았다. 이는 영재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소그룹 탐구활동은 단순한 전통적인 그룹 활동에 불과하다는 것을 지적하며, (3) 이는 영재담당 교사들의 소집단 탐구활동, 특히 협동학습 관련 이해 및 지식이 충분하지 않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교수법의 부족에서 오는 것이라 할 수 있겠다. 한국영재교육에서의 효과적인 소그룹 탐구활동의 적용을 위해서는 영재담당 교사연수를 통해 소그룹 탐구활동에 대한 이해도 및 지식을 반성하고 개발하며 또한,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관련된 교수법 및 교수 모델을 창안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quantitatively investigated the actual situations and perceptions of gifted students and their teachers during small group inquiry activities in Korea. Some 1,670 gifted math students and 1,732 gifted science students as well as 614 of their teachers were selected through random sampl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1)에서 영재학생들이나 학업성취도가 높은 학생들만의 동질 집단 형태의 협동학습이 개인학습보다 더 효과적인지를 조사하였다. 또한 영재아들이 이질적인 집단에서는 과연 어떠한 효과의 협동학습을 보여주는지도 보고하였다. 결과는 연구 방법적인 제한점, 참여한 영재학생들의 능력과 성취도를 알아보는 제한점, 그리고 협동학습의 효과를 과정보다는 학업성취의 결과만을 중시하는 연구의 제한점으로 인해 위의 연구문제에 결론을 내리기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고 하였지만, 전반적으로 영재학생과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협동학습이 필수적인 요소임을 강조하고 있다.
  •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 우선 현 영재교육에서 실행되고 있는 수학 및 과학영역의 소집단 탐구 활동의 실태를 조사하여 학교에서 영재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 문제는 우리나라 영재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소집단탐구 활동의 실태 및 인식을 교사와 학생들의 관점에서 파악하여 수학 및 과학 영역간의 비교에서 유사점 및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영재교육의 중요한 수업형태인 소집단탐구 활동을 영재학생들이 보다 효율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 교사가 지원해 줄 수 있는 수업전략을 기술하며, 또한 이러한 교사의 전문성을 위해서 향후 어떠한 영재연구와 교사연수가 이루어져야 하는지 제언하고자 한다. 따라서 영재교육 현장에서 소집단 탐구 활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전통적인 소집단 활동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교수 전략이 필요하다.
  • 소집단 탐구활동이 영재교육 현장에서 얼마나 많이 활용되는 수업방법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지난 1학기 동안 영재교육 수업시간에 소집단 탐구활동을 실시한 회수를 조사해 보았다. 전체적으로 2회(27.
  • 영재교육에서 소집단 탐구활동이 주로 어떤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지 살펴보았다. 전체적으로 교사들은 다양한 측면에서 생각을 필요로 하는 주제를 다룰 때(43.
  • 이 연구는 한국 영재교육의 소집단 탐구활동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인식은 학생들과 교사들의 설문지를 통해서 파악을 하였을 뿐 이 연구가 전체적인 한국영재교육의 소집단 탐구활동 실태를 대변하기에는 제한점이 따른다.
  • 이 연구를 통해 수학 과학 영재교실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소집단 탐구활동을 영재학생들에게 경험하게 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제언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 우선 현 영재교육에서 실행되고 있는 수학 및 과학영역의 소집단 탐구 활동의 실태를 조사하여 학교에서 영재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서 우선 현 영재교육에서 실행되고 있는 수학 및 과학영역의 소집단 탐구 활동의 실태를 조사하여 학교에서 영재들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 문제는 우리나라 영재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소집단탐구 활동의 실태 및 인식을 교사와 학생들의 관점에서 파악하여 수학 및 과학 영역간의 비교에서 유사점 및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 한편 교사들이 소집단 탐구활동 수업에서 어떤 학습 목표 하에 수업을 계획하는지 살펴보았다. 전체적으로 교사들은 소집단 탐구활동의 주요 학습 목표로 탐구기능 습득(2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박성익, 조석희, 1996, 과학영재교수법. 한국과학재단, 234 p 

  2. 박수경, 2005, 과학영재학교 교수활동에 관한 학생인식 및 과학수업에서의 상호작용 유형. 한국지구과학회지, 26, 30-40 

  3. 박수경, 2006, 집단 보상과 협동기술 훈련이 초등학생의 과 학성취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7, 121-129 

  4. 서혜애, 손연아, 김경진, 2003, 영재교육기관 교수-학습 실 태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302 p 

  5. 양일호, 정진우, 김영신, 김민경, 조현준, 2006, 중등학교 과학 실험 수업에 대한 실험 목적-상호작용-탐구 과정의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7, 509-520 

  6. 윤초희, 정현철, 2006, 과학영재의 과학탐구능력 관련 변인 에 대한 경로분석: 숙달목표, 자기효능감, 자기조절전략 및 탐구수업을 중심으로. 교육심리학회, 20, 321-339 

  7. 이양락, 1997, 협동학습이 중학생의 과학 지식, 탐구 능력 및 학습 환경 인식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8 p 

  8. 한재영, 2003, 소집단 과학 학습에서 유화성에 따른 집단 구성의 교수 효과 및 언어적 상호작용. 서울대학교 대 학원 박사논문, 183 p 

  9.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3, Benchmarks for science literacy. Oxford University Press, NY, USA, 418 p 

  10. Bybee, R.W., 2000, Teaching science as inquiry. In Minstrell, J. and van Zee, E.H., Inquiry into inquiry learning and teaching in scienc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Washington, DC., USA, 21-46 

  11. Chinn, C.A. and Malhotra, B.A., 2002, Epistemologically authentic inquiry in school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evaluating inquiry tasks. Science Education, 86, 175-218 

  12. Crawford, B.A., 2000, Embracing the essence of inquiry: New roles for science teach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 916-937 

  13. Crawford, T., Kelly, G.J., and Brown, C., 2000, Ways of knowing beyond facts and laws of science: An ethnographic investigation of student engagement in scientific practic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 237-258 

  14. Davidson, N. and Worksham, T., 1992, Enhancing thinking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Teachers Colleage Press, NY, USA, 287 p 

  15. Elmore, R. and Zenus, V., 1994, Enhancing social-emotional development of middle school gifted students. Roeper Review, 16, 182-185 

  16. Flick, L.B., 1997, Focusing research on teaching practice in support of inquiry. A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Oak Brook, IL, USA, In Press 

  17. Gallagher, J.J. and Tobin, K., 1987, Teacher management and student engagement in high school science. Science Education, 71, 535-555 

  18. Johnson, D.W. and Johnson, F., 1994, Learning together and alone: Cooperative, competitive, and individualistic learning. Allyn and Bacon, Boston, USA, 292 p 

  19. Kamina, P.A.O., 2003,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s of inquiry-based instruction: A case study of fifth grade investigations curriculum in an urban school. Doctoral Dissertation in Syracuse University. 229 p 

  20. Kenny, D.A., Archambault, F.X.Jr., and Hallmark, B.W., 1995, The effects of group composition on gifted and non-gifted elementary students in cooperative learning groups (Research Monograph 95116). The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eted, University of Connecticut, CT, USA 

  21. Keys, C.W. and Kennedy, W., 1999, Understanding inquiry science teaching in context: A case study of an elementary teacher.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0, 315-333 

  22. Krajcik, K., Blumenfeld, P.C., Marx, R.W., Bass, K.M., Fredricks, J., and Soloway, E., 1998, Inquiry in projectbased science classroom: Initial attempts by middle students.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7, 313-350 

  23. Kuhn, D., Amsel, E., and O'Loughlin, M., 1988,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hinking skills. Academic Press, San Diego, USA, 249 p 

  24.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96,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Virginia, USA, 402 p 

  25.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USA, 262 p 

  26.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USA, 202 p 

  27. Neber, H., Finsterwald, M., and Urban, N., 2001, Cooperative learning with gifted and high-achieving students: A review and meta-analysis of 12 studies. High Ability Studies, 12, 199-214 

  28. Salomon, G. and Globerson, T., 1989, When teams do not function the way they ought to.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3, 89-99 

  29. Sharan, S., 1990, Cooperative learning: Theory and research. Praeger Publishers, London, UK, 314 p 

  30. Slavin, R.E., 1983, Cooperative learning. Longman, NY, USA, 147 p 

  31. Stahl, R.J., 1996, Cooperative learning in science: A Handbook for teachers. Arizona State University, Tempe, USA, 433 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