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골밀도 분류에 의한 정상군과 골감소증군 여대생의 식사관련 요인 비교
Comparison of the Dietary Factors between Normal and Osteopenia Groups by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7, 2008년, pp.869 - 878  

최지희 (홍성병원 영양과) ,  김순경 (순천향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대골질량에 근접할 수 있는 20대 여성들의 골격건강 상태는 중년기 이후 급증하는 골절이나 골다공증 발병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하여 청년층의 식사지침 설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20대 여대생들의 골밀도를 측정하여 정상군과 골질환군으로 분류한 후, 신체계측과 식사섭취 상태 등을 조사 비교하고, 골밀도와 관련된 제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대상자들의 골밀도는 WHO에서 분류한 T-score값에 따라 정상군 59명($-0.42{\pm}0.45$), 골감소증군(골다공증 2명+골감소증 41명, $-1.52{\pm}0.41$) 43명이었으며, 골다공증과 골감소증을 나타낸 대상자는 전체 대상자의 약 42%로 나타났다. 평균 연령은 21.43세, 신장, 체중 및 체질량지수(BMI)는 각각 $161.25{\pm}4.77\;cm$, $56.05{\pm}9.20\;kg$과 21.5($kg/m^2$)이었으며 전체 대상자 중 60명(58.8%)만이 정상체중군에 속하였고 골감소증군에서 저체중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정상군과 골감소증군의 신체계측치를 비교했을 때, 체중, 체단백질(protein mass), 무기질(mineral mass), 골격근량(skeletal muscle mass), 제지방량(fat free mass) 및 체수분(total body water) 함량 등이 골감소증군에서 유의적으로(p<0.05) 낮게 나타났다. 영양소 섭취 상태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한국인영양섭취기준(KDRIs)의 75% 이하로 섭취하고 있는 영양소에는 비타민 C(73%), 엽산(49%), 칼슘(66%)과 칼륨(45%) 등이었고, 영양섭취기준에 비해 높게 섭취하고 있는 영양소에는 단백질(136%), 비타민B6(120%), 인(122%) 및 나트륨(충분섭취량의 256%) 등이었다. 체중 1 kg당 영양소섭취량을 분석 비교한 결과에서는 두 군간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정상군에 비해 골감소증군에서 에너지섭취량이 다소 높았고, 칼슘은 섭취량자체는 많았지만 동물성칼슘의 비율이 낮게 나타났고, 마그네슘(Mg)의 섭취량도 적게 나타났다. 식품군별 섭취량과 섭취빈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정상군과 골질환군에서 섭취량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우유와 유제품의 섭취빈도가 골감소증군에서 다소 낮게 나타났다. Tscore와 관련성을 보인 신체계측지수는 체중(p<0.01), PIBW(p<0.05), 신장(p<0.01), 체단백질(p<0.001), 체지방량(plt;0.05), 무기질(p<0.001), 체수분(p<0.001), 근육량(p<0.001), 제지방량(p<0.001), BMI(p<0.05), 골격근량(p<0.001), 허리둘레(plt;0.05) 및 엉덩이둘레(plt;0.05) 등이었으며, 체중 1 kg당 영양소섭취량과의 관련성에서는 에너지, 단백질, 지질, 당질, 인, 나트륨 및 칼륨이 유의적으로($p<0.05{\sim}p<0.01$) 음(-)의 관련성을 나타내었고, 섭취빈도와의 관련성에서는 우유 및 유제품의 섭취빈도는 양(+)의, 버섯류의 섭취빈도는 음(-)의 유의적인(p<0.05) 관련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최대의 골질량에 근접해야하는 20대 여대생의 골격건강상태는 약 42%의 대상자가 골감소증군으로 나타나, 중년층의 골질환 발병율과 거의 같은 수준을 보였다. 따라서 이에 대한 예방대책이 조속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골격건강 상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적정 체중유지가 중요한데, 전체 대상자의 약 59%만이 적정체중 범위에 있었고, 골감소증군에서 저체중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건강체중유지에 대한 교육도 강조되어져야 할 것이다. 식사관련요인에서는 각 영양소의 섭취량 자체도 중요하지만 특히 칼슘, 인, 나트륨, 칼륨 및 마그네슘등의 경우 각 영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baseline data on nutritional management of women's bone health. We examined the bone mineral density (BMD) by ultrasound bone densitometer, anthropometric measurement and dietary intake to assess the nutrient intakes. The subjects were 102 Korean female colle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최대골질량에 근접할 수 있는 20대 여성들의 골밀도, 신체계측 및 식사섭취 상태 등을 조사한 후, 정상군과 골감소증군으로 분류하여, 식생활과 관련된 요인들을 비교 · 분석함으로써 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청년층의 식사지침을 설정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 최대골질량에 근접할 수 있는 20대 여성들의 골격건강 상태는 중년기 이후 급증하는 골절이나 골다공증 발병과 밀접 한 관련이 있다. 본 연구는 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하여 청년 층의 식사지침 설정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20대 여대 생들의 골밀도를 측정하여 정상군과 골질환군으로 분류한 후, 신체계측과 식사섭취 상태 등을 조사․비교하고, 골밀도와 관련된 제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대상자들의 골밀도는 WHO에서 분류한 T-score값에 따라 정상군 59명(-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격의 역할은? 골격은 신체를 지탱하고 형태를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하며, 연령이 증가하면서 매일 조금씩 소실되고 소실된 만큼 새로 만들어지는 골 흡수(bone resorption)와 골 형성(bone formation) 과정이 반복되는 기관이다(1). 이러한 골격은 성장기를 시작으로 사춘기에 급성장하며, 성장이 끝나는 30세 정도까지 매년 약 5~10% 정도씩 증가하여 최대골질량 (peak bone mass)에 도달한다.
2005년 국민 건강영양조사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칼슘섭취 상태는 어떠한가? 특히 식이 인자 중 칼슘의 섭취부족은 골질량의 감소와 골다공증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9,10). 그런데 우리나라 2005년 국 민건강영양조사에 의하면(11), 1일 1인당 평균 칼슘섭취량 은 1975년 이래로 완만한 증가를 보이고는 있지만 한국인 영양섭취기준(KDRIs: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이하 KDRIs)의(12) 700 mg을 넘지 못하고 있으며, KDRIs에 의한 권장량(성인권장량 700 mg/day)의 76.3%인 553 mg 정도를 섭취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권장량의 75%미만을 섭취하는 가구도 조사대상의 63.1%나 되어 전반 적으로 칼슘의 섭취상태는 매우 취약한 것으로 보고하였다. 특히 20대 여성의 칼슘 섭취량은 482.2 mg으로 평균섭취량에 비해서 매우 부족한 상태였으며, 다른 연령대의 여성들에 비해서도 섭취량이 낮았다.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20대 는 여성에서 최대 골질량에 도달하는 시기로, 이와 같이 취약한 칼슘섭취 상태는 중년기 이후 급증하는 골감소증이나 골다공증을 나타나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사료된 다.
골밀도에 영향을 주는 환경적 요인으로 무엇이 있는가? 한편 골밀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크게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이 있으며, 환경적 요인으로는 생활양식, 신체 활동량 및 식이인자 등을 보고하고 있다(8). 특히 식이 인자 중 칼슘의 섭취부족은 골질량의 감소와 골다공증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9,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Heaney RP, Gallagher JC, Johnston CC, Neer R, Parfitt AM, Bchir MB, Whedon GD. 1982. Calcium nutrition and bone health in the elderly. Am J Clin Nutr 36: 986-1013 

  2. Riggs BL, Melton LJ. 1986. Involutional osteoporosis. N Engl J Med 314: 1676-1686 

  3.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6. Life Table 

  4. Seo MS. 2002. Woman's health problem in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 2: 115-118 

  5. Melton LJ, Chrischilles EA, Cooper C. 1992. How many women have osteoporosis? J Bone Mineral Research 7: 1005-1010 

  6. Lee WS. 2003. Prevalence of osteoporosis in Korean women. M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Korea 

  7. Barnard ND, Sclalli AR, Hurlock D, Bertron P. 2000. Diet and sex-hormone binding globulin, dysmenorrhea, and premenopausal symptoms. Obest Gynecol 95: 245-250 

  8. Metz JA, Anderson JB, Gallagher Jr PN. 1993. Intakes of calcium, phosphorus, and protein and physical activity level are related to radial bone mass in young adult women. Am J Clin Nutr 58: 537-542 

  9. Arnold JS. 1973. Amount and quality of trabecular bone in osteoporotic vertebral fractures. Clin Endo Meta 2: 221-238 

  10. Heaney RP, Recker RR, Saville PD. 1977. Calcium balance and calcium requirements in middle-aged women. Am J Clin Nutr 30: 1603-1611 

  11.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6 

  12. Korean Nutrition Society. 200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13. Kim KW, Lee MJ, Kim JH, Shim YH. 1998. A study on weight control attempt and related factors among college femal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3: 21-33 

  14. Kim EM. 2002. Diet and nutrition problem of Korean women. J Korean Soc Study Obes 11: 257-262 

  15.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4. Assessment of fracture risk and its application screening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Technical Report series 843 

  16. Rural Resourced Development Institute. 2001. Food Composition Table. 6th reversion 

  17. Souci SW, Fachmann W, Kraut H. 1994. Food composition and nutrition tables. CRC Press, Bone, Germany 

  18. Choi EM, Kim JY, Bai SW, Park KH. 1997.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parameters by QUS (Quantitative Ultrasound) and bone mineral density by DEXA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J Korean Soc Menopause 3: 171-177 

  19. Jung NY, Choi SN. 2004. Bone density and related factor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Seoul area. J Korean Soc Food & Cookery Sci 20: 468-479 

  20. Kim JM. 2005. An analysis of related factors and nutrients intake affecting bone mineral density of college women in Daegu area. J Korean Diet Assoc 11: 86-94 

  21. Kim MS, Koo JO. 2007.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bone mineral density with different age among adult women in Seoul,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2: 559-568 

  22. Baek SK, Sung CJ. 2003. A study of soy isoflavone supplementation effect on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metabo lism markers in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low bone mass. Korean J Nutr 36: 154-166 

  23. Choi SN, Song CH, Kim SR, Chung NY. 2006. Bone density and related factors of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rea. Korean J Food Culture 21: 596-605 

  24. Kim MS, Koo JO. 2008. Comparative analysis of food habits and bone density risk factors between normal and risk women living in the Seou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3: 125-133 

  25. Edelstein SL, Barrett-Corner E. 1993. Relation between body size and bone mineral density in elderly men and women. Am J Epidemiol 138: 160-169 

  26. Reid IR, Ames RW, Evans MC, Gamble GD, Sharpe SJ. 1993. Effect of calcium supplementation on bone loss in postmenopausal women. Engl J Med 328: 460-464 

  27. Choi UJ. 1996. Influencing factors on the bone status of rural menopausal women. Korean J Nutr 29: 1013-1020 

  28. Youk JI. 2004. Female bone mineral density in an urban area and its relation with contributing factors. M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rsity 

  29. Korean Nutrition Society. 200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p 31 

  30. Yu CH, Lee YS, Lee JS. 1998. Some factors affecting bone density of Korean college women. Korean J Nutr 31: 36-45 

  31. Lee YS. 2005. Effects of nutrient intake of college women in the Daegu area on body content and bone mineral density.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5: 655-662 

  32. Choi YJ, Lim R, La SH, Choi MK. 2006. Correlation between nutrient intake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carpu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12: 10-17 

  3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survey reports in Korea 

  3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2.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survey reports in Korea 

  35. Choi MK, Sung CJ, Kim MH. 2000. Relation among calcium intake, bone metabolism parameters, serum protein and lipids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Chungnam. J Korean Diet Assoc 6: 108-116 

  36. Shils ME, Olson JA, Shihe M, Ross AC. 1999. Modern nutrition in health and disease . 9th ed.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New York. p 141-167 

  37. Darper HH, Scythes CA. 1981. Calcium, phosphorus and osteoprosis. Fed Proc 40: 2434-2438 

  38. Matkovic V, Kostial K, Simonovic I, Buzina R, Brodarec A, Nordin BEC. 1987. Bone status and fracture rates in two regions of Yugoslabvia. Am J Clin Nutr 32: 540-549 

  39. Jung HK, Kim JY, Lee HS, Kim JY. 1977. The effect of dietary calcium and phosphate levels on calcium and bone metabolism in rats. Korean J Nutr 30: 813-824 

  40. Son SM, Park YS, Lim HJ, Kim SB, Jung YS. 2007. Sodium intakes of Korean adults with 24-hr urine analysis and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and comparison of sodium intakes according to the regional area and dish group.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2: 545-558 

  41. Kim YA, Sung CJ. 1987. The effect of dietary sodium on calcium metabolism in healthy. Korean J Nutr 20: 246-257 

  42. Whelton PK, He J, Cutler JA, Brancaati FL, Apple LJ, Follmann D, Klag MJ. 1997. Effects of oral potassium on blood pressure.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s. J Am Med Assoc 277: 1624-1632 

  43. Wylie-Rosett J, Wassertheil-Smoller S, Blaufox MD, Davis BR, Langford HG, Oberman A, Jennings S, Hataway H, Stern J, Zimbaldi N. 1993. Trial of antihypertensive intervention and management: greater efficacy with weight reduction than with a sodium-potassium intervention. J Am Diet Assoc 93: 408-415 

  44. Baek SK, Sung CJ. 2003. A study of soy isoflavone supplementation effect on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metabolism markers in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low bone mass. Korean J Nutr 36: 154-166 

  45. Anderson JJB, Ira W, Dorothy KT. 1996. Diet and osteoporosis. Nutritional concerns of women. CRC Press, New York 

  46. Soika JE, Weaver CM. 1995. Magnesium supplementation and osteoporosis. Nutr Rev 53: 71-74 

  47. Martini LA. 1999. Magnesium supplementation and bone turnover. Nutr Rev 57: 227-229 

  48. Yu CH, Lee JS, Lee LH, Kim SH, Lee SS, Kang SA. 2004. Nutritional factors related to bone mineral density in the different age group of Korean men. Korean J Nutr 37: 132-142 

  49. Kim HS, Jung GH, Jang DM, Kim SH, Lee BK. 2005. Increased calcium intake through milk consump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of elderly women living in Asia. J Korean Dietetic Assoc 11: 242-250 

  50. Recker RR, Heaney RP. 1985. The effect of milk supplements on calcium metabolism, bone metabolism and calcium balance. Am J Clin Nutr 41: 254-250 

  51. Katzrnan DK, Bachrach LK, Carter DR, Marcus R. 1991. Clinical and anthropometric correlates of bone mineral acquisition in healthy adolescent girls. J Clin Endocrinol Metab 73: 1332-1339 

  52. Lanyon LE. 1992. Control of bone architecture by functional load bearing. J Bone Miner Res 7: S369-375 

  53. Ahn HS, Kim SH, Lee SS. 2005. A study of factors affecting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adolescent: anthropometric measurement, life style, and other environmental factors. Korean J Nutr 38: 242-250 

  54. Kim MH, Kim JS.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college women. J Korean Soc Nurse Sci 33: 312-320 

  55. Yun HY, Lim KW.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composition, bone mineral density and resting metabolic rate in young female. Korean J Soc Exercise Nutr 8: 119-123 

  56. Ilich-Ernst J, Brownbill RA, Ludemann MA, Fu R. 2002. Critical factors for bone health in women across the age span: How important is muscle mass? Medscape Womens Health 7(3): 2 

  57. Lee KS, Kim MJ. 2003. Comparison of nutrients intake, bone density, total cholesterol and blood glucose in women living in Tague city. J Korean Diet Assoc 9: 81-93 

  58. Song YJ, Baik HY. 2002. Effect of dietary factors on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college women. Korean J Nutr 35: 464-472 

  59. Lee CS, Yu CH, Chung CE. 2006. Relation between milk consump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Korea. Korean J Nutr 39: 451-459 

  60. Lee HJ, Choi MJ. 1996. The effect of nutrient intake and energy expenditure on bone mineral density. Korean J Nutr 29: 622-6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