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파트 거주자의 주거환경 스트레스 - 광주시를 중심으로 -
Residential Environmental Stress of Multi-Family Housing Dwellers - Focus on the Gwangju City - 원문보기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v.19 no.3, 2008년, pp.1 - 10  

노세희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  김미희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en environmental elements such as heat, light, air, and sound conditions were suited for the human life, it makes for the welfare and comfortableness of dwellers. This study about residential environmental stress based on environmental psychology very importance because dwellers' background charac...

주제어

참고문헌 (17)

  1. 강인호.백혜선(2003), 초고층 아파트 거주자의 건강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주택공사 

  2. 고경필(1997), 주거환경 스트레스와 주거이동 성향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지, 8(2), 71-84 

  3. 곽인숙(1992), 주거환경 스트레스가 주거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4. 김남길.하재명(1996), 주거지에서 환경 스트레스의 자각이 거주자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초적 연구, 한국주거학회지, 7(2), 9-17 

  5. 김미정.윤정숙(2000), 재개발아파트 단지의 주거환경평가, Yonsei Journal of Human Ecology, 14, 27-35 

  6. 김용경.정경애.조봉진(1999), 아파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아파트 속성평가, 계명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경영경제, 32(1), 13-33 

  7. 김주현(1999), 초고층 아파트 거주자의 주거환경 스트레스와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심순희(1994), 초고층 아파트 거주자의 주거환경 스트레스와 건강, 건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 윤재웅.신혜정.황보임주(2000), 아파트 거주자의 근린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지, 11(4), 65-75 

  10. 장지혜(2005), 새집증후군에 대한 아파트 거주자의 자각증상 및 반응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1. 제해성.윤효원.황기현.정영신.권민영(1993), 지역특성별 인구 및 주택계획지표 연구, 한국토지개발공사 

  12. 차재호.이진환.홍기원.정영숙(1997), 환경심리학, 학지사 

  13. 한국심리학회(2000), 현대심리학의 이해, 학문사 

  14. Baum, A., Singer, J.E., & Baum, C.S. (1981), Stress and the Environment. Journal of Social Issues, 37, 4-35 

  15. Evans, G.W. & Cohen, S. (1987), Environmental stress. In D. Stokols & I. Altman (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psychology (Vol. 1, pp. 571-610). New York: Wiley-Interscience 

  16. Paul A. Bell, Thomas C. Greene, Jeffrey D. Fisher & Andrew Baum (2002), 환경심리학, 시그마프레스 

  17. William H. Ittelson, Harold M. Proshansky, Leanne G. Rivlin & Gary H. Winkel (1995), 윤홍섭 역, 환경심리학, 성원사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