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함초 분말 첨가가 식빵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alicornia herbacea L.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9, 2008년, pp.1196 - 1201  

배종윤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외식산업학부) ,  박나영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외식산업학부) ,  이신호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외식산업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함초 분말을 이용한 식빵의 품질에 대해 검토하였다. 함초분말 첨가에 의해 식빵의 조섬유, 칼슘 그리고 철분함량이 뚜렷하게 증가하였으며, pH는 함초 첨가 식빵이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함초 분말을 0.6%에서 2.4%까지 첨가한 식빵의 염도는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함초분말 첨가 식빵의 표면 색도는 대조구에 비해 L값과 b값은 감소하였으나 a값은 증가하였고, 빵 내부의 색도는 함초 분말 첨가량 1.8%까지는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함초를 첨가한 식빵의 조직감(hardness, spinginess, chewiness, cohesiveness)은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함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식빵의 전자공여능을 조사한 결과, 함초 분말 0.6, 1.2 1.8, 2.4 및 6.0% 첨가구 각각 30.42, 33.91, 39.51, 41.17 및 63.82%로 대조구의 27.95%보다 높았으며, 함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식빵의 지방산패 억제 활성은 증가하였고 폴리페놀 함량도 증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alicornia herbacea L. powder (SHP) on white bread quality. Crude fiber, crude ash, Fe and Ca contents of bread with SHP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and increased with increasing SHP concentration. The pH of bread with SHP was higher t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함초는 풍부한 영양성분과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함초를 식품에 적용한 예로는 김(13), 새우젓(14), 유산발효유(15), 설기떡(16), 찜케이크(17)가 있을 뿐 그 적용 예가 드물며, 또한 식빵에 함초를 적용한 예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저자는 함초의 영양학적, 기능적 특성을 활용하여 빵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여 전보(18)에서 함초 첨가 식빵을 제조하여 제빵적성을 검토하였으며, 전보의 실험을 토대로 함초를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 함초 분말을 이용한 식빵의 품질에 대해 검토하였다. 함초 분말 첨가에 의해 식빵의 조섬유, 칼슘 그리고 철분함량이 뚜렷하게 증가하였으며, pH는 함초 첨가 식빵이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황해도 지방에서는 함초를 무엇으로 사용하였는가? 함초는 갯벌과 염전 등 고농도의 염류 토양에서 자라는 내염성 식물이기 때문에 염분을 체내에 축적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닷물 속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미네랄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2) 특히, 칼륨, 마그네슘, 칼슘 등의 미네랄이 다른 생물에 비해 풍부하고 필수지방산인 리놀렌산도 전체 지방산 중 약 50% 함유되어 있으며, 식이섬유도 풍부하여 건강 기능성 식품소재로 매우 유용하다. 우리나라에서는 바닷가에 사는 사람들이 드물게 나물로 무쳐 먹고 봄철 몸이 나른하고 밥맛이 없을 때 함초 나물을 먹으면 눈이 맑아지고 밥맛이 좋아진다는 얘기가 전해지며, 황해도 지방에서는 함초를 소화불량, 위장병, 간염 및 신장병 등의 약으로 사용하였다(3). 최근 연구에 의하면 함초는 항당뇨(4,5), 항고지혈증(6),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7) 및 항산화작용(8-10), 지질대사 개선작용(11)이 있다고 보고되었으며, 장 기능 개선과 변비 해소 효과도 있다고 알려져 있다(12).
최근 연구에 의하면 함초는 어떤 효과가 있는가? 우리나라에서는 바닷가에 사는 사람들이 드물게 나물로 무쳐 먹고 봄철 몸이 나른하고 밥맛이 없을 때 함초 나물을 먹으면 눈이 맑아지고 밥맛이 좋아진다는 얘기가 전해지며, 황해도 지방에서는 함초를 소화불량, 위장병, 간염 및 신장병 등의 약으로 사용하였다(3). 최근 연구에 의하면 함초는 항당뇨(4,5), 항고지혈증(6),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7) 및 항산화작용(8-10), 지질대사 개선작용(11)이 있다고 보고되었으며, 장 기능 개선과 변비 해소 효과도 있다고 알려져 있다(12). 함초는 풍부한 영양성분과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함초를 식품에 적용한 예로는 김(13), 새우젓(14), 유산발효유(15), 설기떡(16), 찜케이크(17)가 있을 뿐 그 적용 예가 드물며, 또한 식빵에 함초를 적용한 예는 전무한 실정이다.
함초 분말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제조한 빵의 염도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빵의 염도는 대조구가 1.7%, 함초 2.4% 첨가구는 1.9%, 6.0% 첨가구는 2.2%를 나타내어 함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염도도 증가하였으나, 대조구와 함초 2.4% 첨가구의 염도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함초 첨가량에 따라서 소금 첨가량을 감소시킨 식빵의 염도는 대조구와 유사하거나 다소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제빵 시 소금 대용으로 함초를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는데, 소금대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소금 대신 첨가할 함초의 적정 첨가량을 검토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im MW. 2007. Effects of Salicornia herbaea L. supplementation on blood glucose and lipid metabolites in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Nutr 40: 5-13 

  2. Attia FM, Alsobayel AA, Kriadees MS, Alsaiady MY, Bayoumi MS. 1997. Nutrient composition and feeding walue of Salicornia bifelovii Torr meal in broiler diets. Animal Feed Sci Tech 65: 257-263 

  3. Lee JY. 2005. Effect of glasswort (Salicorina heibacea L.) on the Yulmoo Mul-kimchi during fermentation. MS Thesis. Dankook University, Seoul, Korea 

  4. Bang MA, Kim HA, Cho YJ. 2002. Hypoglycemic and antioxidant effect of dietary hamcho powder in streptozotocin-indued diabetic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1: 840-846 

  5. Kim SH, Ryu DS, Lee MY, Kim KH, Kim YH, Lee DS. 2008. Anti-diabetic activity of polysaccharide from Salicornia herbacea. Kor J Microbiol Biotechnol 36: 43-48 

  6. Park SH, Ko SK, Choi JG, Chung SH. 2006. Salicomia herbacea prevents high fat diet-induced hyperglycemia and hyperlipidemia in ICR mice. Arch Pharm Res 29: 256-264 

  7. Cha JY, Jeon BS, Park JW, Kim BK, Jeong CY, Byu JS, Choi CK, Cho YS. 2004.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yogurt supplemented Salicornia herbacea extract in cholesterol-fed rats. J Life Sci 14: 747-751 

  8. Han Sk. 2004. Antioxidative effect of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on the lipid oxidation of pork. Korean J Nutr 36: 981-989 

  9. Han SK, Kim SM. 2003. Anitoxidative effect of Salicornia herbacea L. grown in closed sea beach.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207-210 

  10. Han SK. 2004. Antioxidant effect of fermented Salicornia herbacea L. liquid with EM (effective microorganism) on pork.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4: 298-302 

  11. Kim KR, Jang MJ, Choi SW, Woo MH, Choi JH. 2006.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enzymic-treated Hamcho (Salicornia herbacea) on lipid metabolism in the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55-60 

  12. Cho YS, Kim SI, Han YS. 2008. Effects of slander glasswort (Salicornia herbacea L.) extract on improvements in bowel function and constipation felief.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326-331 

  13. Seo HY, Jung BM. 2007. Comparative study of food components and sensory properties of common Porphyra yezoensis and functional Porphyra yezoens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314-1319 

  14. Lee KD, Choi CR, Cho JY, Kim HL, Han KS. 2008.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salt-fermented shrimp prepared with various sal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53-59 

  15. Jeong CY, Ryu JS, Choi CK, Jeon BS, Park JW, Shin GG, Kim BK, Bae DW, Cha JY. 2004. Supplemented effect of Salicornia herbacea extract powder on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milk product. J Life Sci 14: 788-793 

  16. Jang MS, Park JE. 2006. Optimization of ingredient mixing ratio for preparation of Sulgidduk with saltwort (Salicornia herbacea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641-648 

  17. Kim YS, Kwak SH, Jang MS. 2006. Optimization of ingredient mixing ratio for preparation of steamed foam cake with added saltwort (Salicornia herbacea L.).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666-380 

  18. Bae JY, Park LY, Lee SH. 2008. Effects of Salicorina herbacea L. powder on making wheat flour brea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908-913 

  19.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cal, Washington, DC, USA 

  20.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00. Handbook of experiments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Hyoil, Seoul, Korea. p 230-231 

  21. Kim HY, Oh MS. 2001. Comparisons of bread baking properties using domestic and imported flour and quality changes during storage. Korean J Dietary Culture 16: 27-32 

  22. Yu JS, Shin YM, Kim MR. 2006.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read substituted with green barley. Chungnam J Human Ecology 19: 64-71 

  2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4. Buege JA, Aust SD. 1978.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Method in Enzymol 105: 302-310 

  25. Cho MH. 2007. Effect of chitosan treatment on growth and quality of sunflower sprout. MS Thesis. Daegucatholic University, Daegu, Korea. p 8-9 

  26. Shin KS, Boo HO, Jeon MW, Ko JY. 2002. Chemical components of native plant, Salicornia herbacea L.. Korean J Plant Res 15: 216-220 

  27. Kim YS, Ha TY, Lee SH, Lee HY. 1997. Properties of dietary fiber extract from rice bran and application in breadmak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02-508 

  28. Marconi E, Graziano M, Cubadda R. 2000. Composition and utilization of barley pearling by-product for making functional pastas rich in dietary fiber and $\beta$ -glucans. Cereal Chem 77: 133-139 

  29. Choi UK. 2005. Effect of barley bran flour addition on the quality of brea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746-750 

  30. Lee JT, An BJ. 2002. Detection of physical activity of Salicornia herbacea. Kor J Herbology 17: 61-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