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우리나라 영.유아용 조제식의 식품첨가물과 오염물질 기준 개선방안 연구
Study on the Amendment of Standard Regulations of Food Additives and Contaminants for Infant Formula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9, 2008년, pp.1214 - 1221  

문지혜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헌옥 (풀무원건강생활 주식회사) ,  심재영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인혜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신혜승 (한경대학교 한경분석센터) ,  원선임 (한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백민경 (한양대학교 안전법센터) ,  신형수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안전관리과) ,  엄애선 (한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영 유아용 조제식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회복하고 영 유아의 성장 및 발달에 도움이 되고자 우리나라, CODEX, EU, 호주 및 뉴질랜드의 영 유아용 조제식내 식품첨가물 및 오염물질 기준을 비교 분석하고 국내 영 유아용 조제식 기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영 유아용 조제식내 식품첨가물 기준은 영양품질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영양 강화제와 식품에 첨가물 용도로 사용되는 식품첨가물로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영양 강화제의 경우 CODEX, EU, 호주 및 뉴질랜드에서는 영양소 유형에 따라 분류하여 제시한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영양 강화제의 명칭을 종합적으로 나열하여 제시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영양 강화제에 대하여 영양소별로 구분하여 제시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첨가물 용도로 사용되는 식품첨가물의 경우 국내에서는 허용량이 규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허용 식품첨가물의 명칭 및 최대 허용량을 제시하여 국제 기준과의 조화를 고려하도록 한다. 오염물질기준의 경우 국내에서는 일부 위해 미생물(E. sakazakii, B. cereus)과 방사선 조사처리 기준만 설정되어 있으나, CODEX 및 EU는 농약 기준을, 호주 및 뉴질랜드는 위해 미생물(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sp.)과 중금속 중 납과 알루미늄의 최대 허용량에 대한 허용기준을 추가로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영 유아용 조제식의 안전성을 입증할 수 있는 과학적인 자료를 토대로 위해 미생물, 농약 및 기타 오염물질 기준을 정량적으로 추가 제시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pose suggestions for establishing Korean regulatory standards of infant formula. Accordingly, the regulatory standards for food contaminants and additives in Korean infant formula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ose in CODEX, EU, Australia and New Zealand. Several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CODEX, EU, 호주 및 뉴질랜드의 영·유아용조제식내 식품첨가물 및 오염물질에 대한 기준을 조사하여 우리나라의 기준과 비교 ·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영·유아용 조제식의 식품첨가물 및 오염물질 기준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용 조제식의 안전성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회복하고 영·유아의 성장 및 발달에 도움이 되고자 우리나라, CODEX, EU, 호주 및 뉴질랜드의 영·유아용 조제식내 식품첨가물 및 오염물질 기준을 비교·분석하고 국내 영·유아용 조제식 기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유아용 조제식이란 무엇인가? 영·유아용 조제식이란 모유수유가 불가능하거나 불충분한 영·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거의 유일한 영양급원이다(1). 세계 각국에서는 영·유아용 조제식을 특수영양식품으로 분류하여 품질 및 안전성 관리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2).
제외국에서는 영·유아용 조제식에 대한 식품첨가물 및 오염물질 기준으로 무엇을 제시하였는가? 이러한 영·유아용 식품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우리나라 및 제외국에서는 영·유아용 조제식에 대한 식품첨가물 및 오염물질 기준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영·유아용 조제식에서 사용되는 식품첨가물의 경우, CODEX, EU, 호주 및 뉴질랜드에서는 영양 보충용으로 사용되는 첨가물과 기타 용도로 사용되는 첨가물로 분류하여 허용 식품첨가물의 명칭을 제시하였으며, EU, 호주 및 뉴질랜드에서는 이들 첨가물에 대한 허용량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이러한 분류 기준 대신, 불용첨가물과 허용첨가물로 분류하여 각각 식품공전과 식품첨가물공전에 제시하였다.
무엇으로 인해 영·유아용 식품의 위해성 및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었는가? 세계 각국에서는 영·유아용 조제식을 특수영양식품으로 분류하여 품질 및 안전성 관리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2). 그러나 최근 국내에서는 영·유아용 식품에서 위해 미생물(Enterobacter sakazakii), 이물질과 같은 오염물질 검출 및 식품첨가물 또는 농약 사용 등으로 영·유아용 식품의 위해성 및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관련 업체의 막대한 경제적 손실과 소비자의 업체 및 정부에 대한 신뢰도 하락 등 영·유아용 식품으로 인한 사회에 미치는 파장이 증가되었다(3,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Kim HS. 2003. Meal solution for infants and toddlers: cook wise approach. Korean J Sci Food Cookery Sci 19: 110-121 

  2. Jin HS. 2005. Development of Korean dairy industry-infant formula. J Kor Dairy Technol Sci 23: 155-160 

  3. Kim AJ, Kim JH. 2003. Development of food program for infant. J Fut Early Child Edu 10: 147-166 

  4. Simon RA, Ishiwata H. 2003. Adverse reactions to food additives. In Food Safety: Contaminants and Toxins. D'Mello J.P.F. CAB International. Oxon, UK. p 235 

  5. Kwon GS. 2006. Micobiological risk assessment and prevention plan of infant formula. Enterobacter sakazakii management of infant formula. The 12th Forum of Food Safety.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p 25-47 

  6. KFDA. 2008. Korea Food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7. KFDA. 2006. Korea Food Additives Code.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8. CODEX. 1981. CODEX Standard for infant formula. CODEX STAN 72-1981.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9. CODEX. 2006. Draft revised standard for infant formula and formulas for special medical purpose intended for infants. In Codex 30th Session, ALINORM 07/30/26.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ChiagMai, Thailand. p 46-63 

  10. CODEX. 1991. Advisory lists of mineral salts and vitamin compounds for use in foods for infants and children. CAC/GL 10-1979 (amended 1983, 1991).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11. CODEX. 1979. Recommended international code of hygienic practice for foods for infants and children. CAC/RCP 21-1979.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12. EU. 2003. Commission Directive 2003/14/EC on infant formulae and follow-on formulae. European Commission. Brussel, Belgium 

  13. EU. 1995. Commission Directive 95/2/EC on food additives other than colours and sweeteners. European Commission. Brussel, Belgium 

  14. EU. 2006. Commission Directive 2006/52/EC on food additives other than colours. European Commission. Brussel, Belgium 

  15. EU. 2003. Commission Directive 2003/114/EC on food additives other than colours and sweeteners. European Commission. Brussel, Belgium 

  16. Australia and New Zealand. Standard 1.3.1 Food additives. Available from: http://www.foodstandards.gov.au/thecode/foodstandardscode.cfm Accessed date Nov. 9, 2006 

  17. Australia and New Zealand. Standard 1.6.1 Microbiological limits for food. Available from: http://www.foodstandards.gov.au/thecode/foodstandardscode.cfm Accessed date Nov.9, 2006 

  18. Lee MG, Lee SR, Lee TS, Jang YM, Hong KH, Park SK, Kwon YK, Han YJ. 2006. Comparison between use levels of food additives by Codex and Korea. J Fd Hyg Safety 21: 14-22 

  19. EU. 2005. Commission regulation (EC) No 2073/2005 on microbiological criteria for foodstuffs. European Commission. Brussel, Belgium 

  20. Kwon KS, Oh MH, Kang YS. 2006. Risk assessment and prevention of pathogenic microorganisms in powdered infant formula. Food Sci & Ind 39: 24-29 

  21. EFSA. 2004. Opinion of the scientific panel on biological hazards on the request from the Commission related to the microbiological risks in infant formulae and follow-on formulae. EFSA J 113: 1-34 

  22. Choi SH, Lee SB, Choi JW. 1997. Microbiological safety of infant formula and baby food. J Korean Dairy Technol 23: 65-71 

  23. CDC. 2002. Enterobacter sakazakii infections associated with the use of powdered infant formula-Tennessee. Morb Mortal Wkly Rep 51: 297-300 

  24. Yoo MK, Kim SS, Oh SS. 2005. Isolation and genotyping of Enterobacter sakazakii from powdered infant formula manufactured in Korea. Food Sci Biotechnol 14: 875-877 

  25. Lim JH, Kim YH, Ahn YT, Kim HU. 2000. Studies on the contamination and inhibition of Bacillus cereus in domestic raw milk and milk products. J Anim Sci Technol 42: 215-222 

  26. Shaheen R, Andersson MA, Apetroaie C, Schulz A, Ehling-Schulz M, Olliainen VEM, Salkinoja-Salonen MS. 2006. Potential of selected infant food formulas for production of Bacillus cereus emetic toxin, cereulide. Int J Food Micro 107: 287-294 

  27. Rowan NJ, Anderson JG. 1997. Maltodextrin stimulates growth of Bacillus cereus and synthesis of diarrhea enterotoxin in infant milk formulae. Appl Environ Microbiol 63: 1182-1184 

  28. Drudy D, Mullane NR, Quinn T, Wall PG, Janning S. 2006. Enterobacter sakazakii: An emerging pathogen in powdered infant formula. Food Safety 42: 996-1000 

  29. WHO. Enterobacter sakazakii and other microorganisms in powdered infant formula. Available from: http://www.fao.org/docrep/007/y5502e/y5502e0a.htm Accessed date Dev. 2, 2006 

  30. KFDA. 2005. MRLs for Pesticides in Foods.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31.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3. Pesticides in the diets of infants and children.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Washington DC, USA 

  32. Park GS, Im MH, Choi DM, Jung JY, Jang MI, Kwon KI, Hong MG, Lee CW. 2005. Pesticide content of foods available in Korea. Kor J Pest Sci 9: 51-59 

  33. Cressey PJ, Vannoort RW. 2003. Pesticide content of infant formulae and weaning foods available in New Zealand. Food Add & Cont 20: 57-64 

  34. Health Canada. Trace Metal Analysis-Infant Formula. Available from: http://www.hc-sc.gc.ca/fn-an/surveill/other-autre/infant-nourisson/index_e.html Accessed date Jan. 28,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