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소전 이산화탄소 포집을 위한 N-methyldiethanolamine과 Piperazine 혼합 수용액의 이산화탄소 흡수
Absorption of CO2 Using Mixed Aqueous Solution of N-methyldiethanolamine with Piperazine for Pre-combustion CO2 Capture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19 no.6, 2008년, pp.645 - 651  

장원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온실가스연구센터) ,  윤여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온실가스연구센터) ,  박상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이산화탄소저감및처리사업단) ,  이영우 (충남대학교 바이오응용화학부) ,  백일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온실가스연구센터)

초록

본 연구에서는 30, 40, 50 wt% MDEA (N-methyldiethanolamine) 수용액을 이용하여 0~50 bar, $40{\sim}80^{\circ}C$의 조업조건에서 이산화탄소 흡수평형실험을 수행하여 연소전 이산화탄소 포집에 적용 가능한 고압조건에 대한 정보를 알고자 하였다. 또한 MDEA의 반응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piperazine 5.0~10.0 wt%를 첨가한 후 이산화탄소 흡수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수용액 상 MDEA의 농도, 반응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평형 압력이 증가하였으며 반응온도가 높을수록 흡수속도가 증가하였다. Piperazine을 첨가한 MDEA 수용액은 MDEA 40 wt% 단독 흡수제에 비해 초기 반응에서 2.5배에 가까운 반응속도와 16% 가량 증대된 흡수능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new solubility data at high pressure condition applicable to pre-combustion $CO_2$ capture system were found. Experiments were conducted within the temperature range of $40{\sim}80^{\circ}C$ while increasing the pressure from 0 to 50 bar. The effect of MDE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0, 40, 50 wt% MDEA 수용액을 이용하여 0∼50 bar, 40∼80 ℃의 조업조건에서 이산화탄소 흡수평형실험을 수행하여 연소전 이산화탄소 포집에 적용 가능한 고압조건에 대한 정보를 알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소전 이산화 탄소 포집기술이란? 흡수법과 심냉법은 높은 처리 효율과 대용량 처리가 가능하며 현재 일부 상용화되어 가동 중에 있는 기술이다[5]. 석탄가스복합발전(IGCC)에 적용 가능한 연소전 이산화 탄소 포집기술은 가스화에 의해 얻어진 고온고압의 합성가스 내 CO를 수성가스전이반응을 거친 고농도의 CO2로 전환시킨 후 CO2/H2의 조성을 갖는 합성가스 중 CO2를 연소용 가스 터빈에 유입하기 전에 포집하는 기술이다. 이는 이산화탄소를 고압에서 포집하고 저압에서 회수하기 때문에 CO2 분리 시 에너지 소비가 낮아 CO2 분리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6-9].
이산화탄소 포집기술은 크게 어떻게 나눌 수 있나? 이 중 이산화탄소 처리 비용의 75% 이상을 차지하는 이산화탄소 포집기술은 크게 연소전 포집(pre-combustion), 연소후 포집(postcombustion), 순산소 연소(oxyfuel)의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 적용기술로는 흡수법, 흡착법, 막분리법, 심냉법 등을 들 수 있다.
MDEA의 반응 속도와 온도, 압력, 이산화탄소 흡수 속도간의 관계는? 0 wt%를 첨가한 후 이산화탄소 흡수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수용액 상 MDEA의 농도, 반응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평형 압력이 증가하였으며 반응온도가 높을수록 흡수속도가 증가하였다. Piperazine을 첨가한 MDEA 수용액은 MDEA 40 wt% 단독 흡수제에 비해 초기 반응에서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C. M. White, R. R. Strazisar, E. J. Granite, J. S. Hoffman, and H. W. Pennline, J. Air Waste Manage. Assoc., 53, 645 (2003). 

  2. H. K. Park, H. J. Park, and B. S. Kang, DCER Techinfo part I, 3, 100 (2004) 

  3. I. H. Lee, S. I. Kim, and J. Y. Park, Ind. Chem., 18, 239 (2007). 

  4. H. D. Hwang, H. Y. Shin, H. H. Kwak, and S. Y. Bae, Korean Chem. Eng. Res., 44, 588 (2006). 

  5. I. H. Beak, Korea Institute of Energy Research (KIER), KIER-973406 (1997). 

  6. P. Chiesa and S. Consonni, J. Eng. Gas Turbines Power, 121, 295 (1999). 

  7. R. Pruschek, G. Oeljeklaus, V. Brand, G. Haupt, G. Zimmermann, and J. S. Ribberink,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36, 797 (1995). 

  8. G. Ordorica-Garcia, P. Douglas, E. Croiset, and L. Zheng,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47, 2250 (2006). 

  9. M. Aineto, A. Acosta, J. Ma. Rincon, and M. Romero, Fuel, 85, 2352 (2006). 

  10. 2005 IPCC Special Report on 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available on http://www.ipcc.ch. 

  11. D. Heaven, J. Mak, D. Kubek, M. Clark, and C. Sharp, Gasification Technologies Conference, Washington D.C, USA (2004). 

  12. U. S. Department of Energy, National Energy Technology Laboratory 3rd Annual Conference, Alexandria, Virginia (2004) 

  13. M. Kanniche and C. Bouallou, Applied Thermal Engineering, 27, 2693 (2007). 

  14. U. S. Patent 4, 336, 233 (1982). 

  15. S. Bishnoi and G. T. Rochelle, AIChE Journal, 48, (2002). 

  16. G.-W. Xu, C.-F. Zhang, S.-J. Qin, and Y.-W. Wang, Ind. Eng. Chem. Res., 31, 921 (1992). 

  17. X. Zhang, C.-F. Zhang, G.-W. Xu, W.-H. Gao, and Y.-Q. Wu, Ind. Eng. Chem. Res., 40, 898 (2001). 

  18. X. Zhang, J. Wang, C.-F. Zhang, Y.-H. Yang, and J.-J. Xu, Ind. Eng. Chem. Res., 42, 118 (2003). 

  19. D. M. Austgen, G. T. Rochelle, and C. C. Chen, Ind. Eng. Chem. Res., 30, 543 (1991). 

  20. H. Liu, G. Xu, C. Zhan, and Y. Wu, J. East China Univ. Sci. Technol., 25, 242 (1999). 

  21. F. Y. Jou, J. J. Carroll, A. E. Mather, and F. D. Otto, Can. J. Chem. Eng., 71, 264 (1993). 

  22. B. Lemoine, Y.-F. Li, R. Cadours, C. Bouallou, and D. Richon, Fluid Phase Equilib., 172, 261 (2000). 

  23. M. K. Park and O. C. Sandall, J. Chem. Eng. Data, 46, 166 (2001). 

  24. S.-W. Rho, K.-P. Yoo, J. S. Lee, S. C. Nam, J. E. Son, and B.-M. Min, J. Chem. Eng. Data, 42, 1161 (1997). 

  25. W. J Rogers, J. A. Bullin, and R. R. Davison, AIChE J., 44, 2423 (1998). 

  26. G.-W. Xu, C.-F. Zhang, and S.-J. Qin, J. Chem. Eng. Chin. Univ., 44, 677 (1993). 

  27. G.-W. Xu, C.-F. Zhang, and S.-J. Qin, W.-H. Gao, H.-B. Liu, Ind. Eng. Chem. Res., 37, 1473 (1998). 

  28. S. H. Huang and H. J. Ng, GPA Rearch Report, RR-155, 8 (1998). 

  29. P. J. G. Huttenhuis, N. J. Agrawal, J. A. Hogendoorn, and G. F. Versteeg, Journal of Petroleum Science and Engineering, 55, 122 (2007). 

  30. C. Mathonat, V. Majer, A. E. Mather, and J.-P. E. Grolier, Fluid Phase Equilibria, 140, 171 (1997). 

  31. B. M. Min, Korea Institute of Energy Rearchb (KIER), KIER-943117 (1995) 

  32. Y. W. Wang, M.S. Thesis, East China University of Chemical Technology (1998). 

  33. D. J. Seo and W. H. Hong, Korean J. Chem. Eng., 37, 593 (1999). 

  34. T. Vall and R. Veldman, CEP, 67 (1991). 

  35. R. M. Davidson, Asia Clean Energy Forum, Manila (2007). 

  36. P. H. M. Feron, International Test Network for CO2 Capture: report in 3rd workshop, Apeldoorn, Netherlands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