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공동주택 사용부문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추정모델 연구
Estimation Model of the Carbon Dioxide Emission in the Apartment Housing During the Maintenance period 원문보기

生態環境建築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v.8 no.4, 2008년, pp.19 - 27  

이강희 (안동대학교 건축공학과) ,  채창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arbon dioxide is brought from the energy consumption and regarded as a criteria material to estimate the Global Warming Potential. Building shares about 30% in national energy consumption and affects to environment as much as the energy consumption. But there is not enough data to forecast the ...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들어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기상이변 가운데 많은 부분은 어디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는가? 최근 들어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기상이변 가운데 많은 부분은 지구 온난화로부터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지구 온난화의 원인은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기체중에서 인간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이산화탄소이다.
지구 온난화의 원인은 무엇인가? 최근 들어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기상이변 가운데 많은 부분은 지구 온난화로부터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지구 온난화의 원인은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기체중에서 인간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이산화탄소이다. 이산화탄소는 화석에너지 사용을 통해서 가장 많이 배출된다.
건축물에서 에너지 소비는 주로 어디서 일어나는가? 건축물의 사용부문의 에너지 사용은 조리, 조명, 냉난방 등에서 이루어진다. 국가전체 에너지 소비 가운데 약⅓수준이 건축부문에서 차지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성민기(1998), '사무소 건물에너지 소비인자의 영향력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p.4-7 

  2. 이강희, 채창우(2002),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공공건축물의 에너지소비량과 이산화탄소 배출량 산출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8권5호, pp.99-107 

  3. 이강희(2000), '공동주택 유지관리단계의 건축자재와 재료의 에너지 소비량과 이산화탄소 배출량 추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6권9호, pp.1-8 

  4. 이강희(2000), '공동주택 유지관리단계의 에너지 소비량 소비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6권12호, pp.185-192 

  5. 이강희(2000), '공동주택 건설단계의 건축공사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과 이산화탄소 배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6권4호, pp.125-132 

  6. 홍성희외 3(2002)인, '사무소건물의 에너지 소비원단위 설정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8권9호 pp.237-244 

  7. 홍성희외 3인(2001), '공동주택의 에너지 소비원단위 설정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7권12호, pp.151-160 

  8. 조두상외 2인(2002), '학교건축물의 에너지 소비원단위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8권8호, pp.209-216 

  9. 김주영외 2인(2006), '대구광역시 종합병원건축물의 에너지 소비특성 분석 및 원단위 작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2권11호, pp.329-336 

  10. 김선식외 3인(2008), '에너지 소비량과 이산화탄소 배출량 저감을 위한 건축물 내부 벽체 컴포넌크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24권1호 pp.95-103 

  11. (財)建築環境.省エネルギ?機構(2003), CASBEE Manual, pp.16-45 

  12. (財)建築環境.省エネルギ?機構(2003), '建築物の環境性能評價', IBEC, Vol.23-5, pp.5-30 

  13. Ralph B D'Agostino and Michael A Stephens(1986), Goodness-of-Fit Techniques, Marcel Dekker, Inc. 

  14. Douglas C. Montgomery and Elizabeth A. Peck(1982), Introduction to Linear Regression Analysis, John Wiley & Sons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