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흡연.금연 관련 연구동향 분석 - 국민건강증진기금 연구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rends in Smoking-Related Research 원문보기

韓國保健看護學會誌 =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22 no.2, 2008년, pp.255 - 265  

양숙자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topics and research methods of smoking-related research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direction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moking research articles supported by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Funds from 1998 to 2007.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1998년부터 2007년 까지 국민건강증진 기금에 의해 지원된 건강증진연구사업 중 흡연·금연 관련 연구논문 41편을 선정하여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의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앞으로 흡연 관련 연구의 방향 등을 검토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증진기금에 의해 수행된 흡연·금연 관련 연구의 주제와 방법에 대한 동향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흡연·금연 관련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흡연 현황분석 연구에서 중고생과 임부를 대상으로 흡연율, 흡연행위, 흡연지식 및 태도 등 직접 흡연 실태를 조사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주었다. 그러나 정부에서 3년 마다 실시하는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통해 12세 이상 인구집단의 전국적인 흡연실태는 파악할 수 있으나 유치원생 및 초등학생에 대한 전국 흡연실태는 파악할 수 없는 실정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98년부터 2007년까지 국민건강증진기금에 의해 지원된 건강증진 연구과제 중 금연정책, 흡연 예방 및 금연 사업을 뒷받침하는 흡연·금연 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추후 연구의 방향 등을 제시함으로써 간호학문 분야에서 흡연예방 및 금연 관련 정책 및 일반 연구과제에 활발하게 참여하기 위한 효과적인 연구전략 개발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 세계 성인의 흡연인구는? 오늘날 전 세계 성인의 1/3에 달하는 13억 명이 흡연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 20세 이상 성인 남자의 흡연율은 1980년 79.
흡연이 암, 심혈관질환, 만성폐쇄성폐질환 사망에 얼마나 기여하는가? 흡연은 10대 주요 사망원인인 심혈관질환, 암 등에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위험요인으로 밝혀져 있다 (Mokdad, Marks, Stroup, & Gerberding, 2004). 흡연은 암으로 인한 사망의 32%,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의 13%, 만성폐쇄성폐질환으로 인한 사망의 88%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Choi et al., 2003).
국민건강증진기금에 의해 수행된 흡연․금연 관련 연구에 따른 결과는 어떠한가? 1. 1999년부터 2002년까지 총 30편(73.2%)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2003년 이후는 2005년을 제외하고 매년 1편~2편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2. 연구주제는 흡연 예방 및 금연 사업수행 및 평가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아 14편(34.1%), 다음은 흡연 현황분석에 관한 연구 12편(29.3%), 금연정책에 관한 연구 8편(19.5%), 그리고 흡연예방 및 금연 사업계획에 관한 연구 3편(7.3%)순으로 수행되었다. 3. 연구대상은 20세 이상 성인대상 연구가 가장 많아 34 편(53.1%)를 차지하였으며, 다음은 고등학생과 중학생 등 청소년 대상연구 23편(35.9%) 등 이었다. 4. 연구의 자료수집이 이루어진 연구현장은 지역사회가 가장 많아 19편(46.3%), 학교 12편(29.3%), 병원 6편(14.6%), 사업장 3편(7.3%), 인터넷 1 편(3.3%) 순이었다. 연구대상 지역은 전국규모로 한 연구가 전체의 13편(31.7%),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28편(68.3%)을 차지하였다. 5. 연구설계는 질적 연구는 1편도 없었으며, 비실험연 구가 가장 많아 21편(51.2%), 실험연구가 14편 (34.1%), 그리고 기존자료 분석연구 등 기타 연구 6편(14.6%)이 수행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