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과 중국의 블렌디드 러닝 분야의 연구동향 비교
Comparison of Research Trends in Blended Learning in Korea and China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9, 2022년, pp.339 - 348  

현진용 (영남대학교 디지털융합비즈니스대학원) ,  박한우 (영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디지털융합비즈니스대학원 동아시아문화학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블렌디드 러닝은 능동적 학습을 촉진하고 학생의 학습 효과를 향상하기 위해 교육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의 하나로 꼽히며 대학이 학습자를 유치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의 하나로 간주한다. 이 논문은 문화차원 이론을 바탕으로 문화적으로 유사하면서도 차이점을 보유하고 있는 한중 양국에서 블렌디드 러닝이 이루어지는 연구 동향을 분석한다. 연구 방법은 키워드 분석 및 시각화를 이용하였고 데이터는 WoS, KISS, CNKI에서 1990년부터 2022년 6월까지 게재된 블렌디드 러닝 관련 논문을 수집하여 분석을 진행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보편화된 연구주제였던 블렌디드 러닝이 코로나 발생 이후부터 다양한 연구 분야 클러스터가 형성되어 세분되고 있다. 한국과 중국도 글로벌 연구 동향과 흡사하면서 각자 색다른 연구 동향이 보인다. 문화차원이론으로 분석하면 특히 절제와 장기지향적인 공통된 패턴이 보인다. 이 연구의 기대효과는 국가 문화가 교육과 연구의 패턴을 형성하는데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다문화 교육환경 속에서 효과적인 학습효과를 지닌 블렌디드 러닝을 개발하는데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lended Learning is one of the most popular methods in education for encouraging active learning and improving student learning effectiveness, and it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effective methods for universities to attract students. Based on the cultural dimension theory, this paper examined ble...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키워드 분석과 시각화 방법으로 한국과 중국의 BL 연구 패턴을 살펴봤다. 이는 다양한 문화적 배경에서 새로운 학습 모델과 지식 혁신의 심층 원인을 파악하고, 향후 효과적인 BL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M. A. Ashraf, M. J. Yang, Y. R. Zhang, M. Denden, A. Tlili, J. Y. Liu, R. H. Huang, and D. Burgos, "A Systematic Review of Systematic Reviews on Blended Learning: Trends, Gaps and Future Directions," J. of Psycholgy Research and Behavior Management, Vol.14, pp.1525-1541, 2021. 

  2. B. Tulasi and R. Suchithra, "Personalized Learning Environment in Higher Education through Big Data and Blended Learning Analytics," J. of International Journal of Recent Technology and Engineering, Vol.8, No.3, pp.6236-6239, 2019. 

  3. UNESCO and ILO, Supporting Teachers in Back-to-school Efforts - Guidance for Policy-makers, International Task Force on Teachers for Education 2030, 2020. 

  4. M. A. Ashraf, M. J. Yang, Y. F. Zhang, M. Denden, A. Tlili, J. Y. Liu, R. H. Huang, and D. Burgos, "A Systematic Review of Systematic Reviews on Blended Learning: Trends, Gaps and Future Directions," J. of Psychology Research and Behavior Management, Vol.14, pp.1525-41, 2021. 

  5. A. G. Picciano, "Big Data and Learning Analytics in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Benefits and Concerns," J. of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active Multimedi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Vol.2, No.7, pp.35-43, 2014. 

  6. D. S. Zhang and J. F. Nunamaker, "Powering E-learning in the New Millennium: An Overview of E-learning and Enabling Technology," J. of Information Systems Frontiers, Vol.5, No.2, pp.207-218, 2003. 

  7. K. K. Ng, C. H. Luk, and W. M. Lam, "The Influence of Culture on the Use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Learning in Hong Kong's Higher Education," J. of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Vol.10949, pp.126-135, 2018. 

  8. 조규락, 김찬희, "국내 교육공학 학문공동체의 지식 구조의 모습과 특성 탐색: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통한 교육공학연구와 교육정보미디어연구의 비교를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제32권, 제3호, pp.571-609, 2016. 

  9. 박혜진, 김한성, 박한우, "COVID-19 팬데믹과 온라인 개학: 트위터 담화 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22권, 제6호, pp.2535-2549, 2020. 

  10. K. Alhasan, L. M. Chen, and F. Chen, Mining Learning Styles for Personalised eLearning, IEEE Smart World, 2018. 

  11. M. Cantabella, M. E. Raquel, A. Belen, A. Y. Juan, and M. Andres, "Analysis of Student Behavior in Learning Management Systems through a Big Data Framework," J. of Future Generation Computer Systems, Vol.90, pp.262-272, 2019. 

  12. R. M. Grant, "Toward a Knowledge-based Theory of the Firm," J. of Strategic Management, Vol.17, pp.109-122, 1996. 

  13. Hans de Wit, Interna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 of America and Europe: A Historical, Comparative, and Conceptual Analysis, Greenwood Press, 2002. 

  14. 박종빈, "디지털리터러시를 통한 Z세대를 위한 미래의 직업 준비 연구," 조형미디어학, 제22권, 제3호, pp.288-296, 2019. 

  15. P. Shao and X. Cui, "Analysis of the Research Situation and Frontier Evolution in the Field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Higher Education," J. of Nanchang Normal University, Vol.42, No.4, pp.107-112, 2021. 

  16. C. R. Graham, Blended Learning Systems: Definition, Current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Handbook of Blended Learning: Global Perspectives, Local Designs, Pfeiffer Publishing, 2006. 

  17. J. E. Rooney, "Knowledge infusion: Blending Learning Opportunities to Enhance Educational Programming and Meetings," J. of Management Association, Vol.55, No.5, pp.26-32, 2003. 

  18. 남정권, 블렌디드 : 수업 설계 전략, 한국학술정보출판사, 2008. 

  19. R. T. Osguthorpe and C. R. Graham,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Definitions and Directions," Quarterly Review of Distance Education, Vol.4, No.3, pp.227-233, 2003. 

  20. 홍효정, 이재경,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을 위한 대학 교수자의 교수역량 도출," 한국교육공학회, 제32권, 제2호, pp.391-425, 2016. 

  21. J. Stein and C. R. Graham, Essentials for Blended Learning: A Standards-based Guide, Routledge Taylor & Francis Group, 2014. 

  22. G. Hofstede, "Cultural Dimensions in Management and Planning," J. of Asia Pacific Journal of Management, Vol.1, No.2, pp.81-99, 1984. 

  23. G. Hofstede, "Dimensionalizing Cultures: The Hofstede Model in Context," J. of Online Readings in Psychology and Culture, Vol.2, No.1, 2011. 

  24. J. Q. Kang and N. Yu, "Hofstede's View of Chinese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al Dimension Theory-Analysis Based on the Game Chinese Parents," J. of Education and Teaching Research, Vol.35, No.11, 2021. 

  25. M. Minkov, "Predictors of Differences in Subjective Well-Being Across 97 Nations," J. of Cross-Cultural Research, Vol.43, No.2, pp.152-179, 2009. 

  26. 정선자, "Hofstede의 문화 차원 이론에 근거한 무슬림관광객의 가치와 장기지향성의 관계연구: 체험경제 이론(4Es)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마이스관광학회, 제21권, 제1호, pp.135-156, 2021. 

  27. M. Minkov, M. H. Bond, P. Dutt, M. Schachner, O. Morales, C. Sanchez, J. Jandosova, Y. Khassenbekov, and B. Mudd, "A Reconsideration of Hofstede's Fifth Dimension: New Flexibility Versus Monumentalism Data From 54 Countries," J. of Cross-Cultural Research, Vol.52, No.3, pp.309-333, 2017. 

  28. J. C. Cronje, "Using Hofstede's Cultural Dimensions to Interpret Cross-cultural Blended Teaching and Learning," J. of Computers & Education, Vol.56, No.3, pp.596-603, 2011. 

  29. https://www.hofstede-insights.com/, 2021.06.07 

  30. 김선태, "연구데이터와 관련된 OpenURL의 학술서비스 유형 메타태그의 확장에 대한 연구," J. of Information Management, Vol.42, No.4, pp.39-58, 2011. 

  31. https://slidesplayer.org/slide/11042444/, 2021. 06.07. 

  32. H. Koichi, KH Coder 3 Reference Manual, 2017. 

  33. W. M. K. Trochim, "An Introduction to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J. of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Vol.12, No.1, pp.1-16, 1989. 

  34. Y. P. Zhu, H. J. Park, and H. W. Park, "Sino-Globalization Network of Chinese Migrants, Students, and Travellers," J.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21, No.9, pp.509-517, 20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