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과 연계성 강화를 위한 학습주제 중심의 통합 정보활용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Thematically Integrated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for Strengthening its Relationship with Curricula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25 no.3 = no.69, 2008년, pp.41 - 64  

송기호 (영신고등학교) ,  김태수 (연세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학습주제의 연결망 구조와 스캔 및 클러스터 분석을 통해서 추출한 정보활용교육의 표준 학습주제를 가지고, 교과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갖춘 통합 정보활용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개발한 통합 정보활용교육과정의 실제 운영을 위한 교수-학습모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활용교육과 교과 교육과정의 공통성 분석을 위해서 간학문적 성격을 갖는 정보활용교육의 학습주제를 분석기준으로 활용하였다. 공통성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발견하였다. 첫째, 제1학습주제(기초 학습기술과 인성 영역)가 속한 정보사회, 도서관, 정보기술, 협력기술 영역은 교과 교육과정과 연계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정보활용교육의 핵심 영역인 제2학습주제(정보문제 해결능력 영역)는 교과 연계성이 낮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ought to develop an integrated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um that would have a strong relationship with curricula through the standard themes abstracted from theme network structures, scan and cluster analyses of the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a. In addition, this study also attempte...

주제어

참고문헌 (75)

  1. 교대학교도서관학연구회. 1994. "학교도서관". 서울: 박문사 

  2. 김용철, 박현주, 송기호, 이병기, 함명식, 1995. "고등학교 정보와 매체". 서울: 대한교과서 

  3. 김용철, 노진영, 이춘택, 김영애, 이미아, 이상훈. 2001a. "초등학교 정보와 도서관". 서울: 대한교과서 

  4. 김용철, 이춘택, 변우열, 김경주, 이경화, 2001b. "중학교 정보와 도서관". 서울: 대한교과서 

  5. 김용철, 김현태, 남채현, 송기후, 오재익, 이병기, 정문상, 황선희, 2001c. "고등학교 정보와 도서관". 서울: 대한교과서 

  6. 김용철, 노진영, 이춘택, 변우열, 함명식, 송기호, 오재익, 이은경, 임선영, 홍정윤, 2003. "정보와 도서관 교과 교육학: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공통". 대구: 태일사 

  7. 김용학. 2004. "사회연결망 이론". 개정판. 서울: 박영사 

  8. 김용학. 2007. "사회연결망 분석". 개정판. 서울: 박영사 

  9. 김하늬. 2007. "학교도서관활용수업 모형 개발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 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10. 김효정 1997. 한국 학교도서관 기준설정을 위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1(1): 71­-104 

  11. 나장함. 2005. 통합 교육과정에 대한 관점: 간학 문적 접근의 영재 및 범재 교육에 대한 시사점. "영재와영재교육". 4(1): 25-45 

  12. 명지원. 2006. 기존 통합 교육과정의 한계와 그 극복으로서 흘리스틱 통합 교육과정. "한국흘리스틱교육학회지". 10(1): 17-32 

  13. 문순홍. 2006. "생태학의 담론". 서울: 아르케 

  14. 박금희. 1998. "학교도서관 매체센터의 협동수업 프로그램 모형개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문헌정보학과 

  15. 박명규. 2004. "학교도서관 중심의 정보교과 교육과정 모형".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16. 박순경. 1998. 메타 교육과정으로서의 crosscurricula에 대한 一考 "교육과정연구". 16(2): 165-184 

  17. 박순경,1999. 범교과 학습에 대한 이해 "초등 우리교육". 108: 76-80 

  18. 박정희. 2003. 주제중심 통합 교육과정 실행 및 디중지능 발달 측면에서의 효과분석. "열린교육연구". 11(1): 101-128 

  19. 박현주. 2005. "교육과정 개발의 모형과 실제". 서울:교육과학사 

  20. 박효정, 성용구, 신명희, 유승희, 이영만, 정재걸, 정종진, 정태희, 하대현. 2006. "다중지능 이론과 수업". 서울: 양서원 

  21. 서경화. 2002.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교육과정 통합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열린교육연구". 10(1): 115-130 

  22. 송기호. 2007a. 교과 학습과 연계한 학습독서의 실제.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1) : 423-441 

  23. 송기호. 2007b. 학교도서관 교육 활성화 전략으로서 통합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4): 87-116 

  24. 송기호. 2007c.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신장을 위한 학교도서관활용수업 모형 개발. 서울: 서울상록과학학술재단(서울상록과학학술재단 연구비 지원 보고서) 

  25. 송기호. 이승길. 이상훈. 이수경. 2005. "독서를 통한 정보활용능력 가이드 개발: 초등학생용". 서울: (사)국민독서문화진흥회 

  26. 유네스코 21세기 세계교육위원회. 1997. "21세 기 교육을 위한 새로운 관점과 전망: 유네스코 21세기 세계교육위원회 종합보고서". 김용주, 김제웅, 정두용, 천세영 옮김. 서울: 오름 

  27. 유소영. 1994. 정보교육과 학교도서관에 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26: 53-74 

  28. 유소영. 1997. 정보교과목과 타 교과목의 통합적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 학회지". 32(4): 53-81 

  29. 유소영. 2002. 초등학교 도서관교육과 그 과제. "한국도서관.정보학회". 33(1): 1-21 

  30. 유소영. 2004a. 정보이용능력교육과 학교 수업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8(1): 247-261 

  31. 유소영. 2004b. 정보이용능력 기준과 정보처리 학습모형에 관한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5(4): 251-269 

  32. 이병기. 2003. 다중지능이론에 의한 학교도서관 정보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 정보학회지" 37(1): 43-60 

  33. 이병기. 2005. 학교도서관과 교육과정의 통합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2): 85-105 

  34. 이병기. 2006. "정보활용교육론" 고양: 조은 글터 

  35. 이병기. 2007. 국가수준의 교육과정과 연계한 정보 활용교육과 도서관활용수업의 제도화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1): 443-462 

  36. 이석재. 2003. "생애능력 측정도구 개발연구: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7. 이영만. 2001. "통합 교육과정". 서울: 학지사 

  38. 이영준. 정귀남. 2003. 주제중심 통합학습이 아동의 자기주도적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집". 5: 291-301 

  39. 이영희. 2004.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신장을 위한 학교도서관활용수업에 관한 연구: N 중학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40. 이지희. 2003. "협동수업을 통한 학교도서관 활성화 방안 연구: D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문헌정보학과 

  41. 장언효. 1998. 고차적 사고능력 신장을 위한 학교 학습과 수업 "교육논총" 8(1): 59-72 

  42. 전숙자. 1993. 사회과와 사회과학 영역의 교육: 1946-1990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 분석. "이화여대한국문화연구원논총". 62(3): 121-151 

  43. 최 웅. 2006. "학교도서관활용수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과 

  44. 최은혜. 2007. "정보활용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습능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45. 한국교육인적자원부, 서울특별시교육청. 2003. "학교도서관 운영 편람".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청 

  46. 한성원. 2002.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에 나타난 의미의 연결망 구조와 분석".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사회생활학과 

  47. 한윤옥. 1995. 학교도서관의 협동교수프로그램에 관한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29: 257-279 

  48. 함명식. 2002. 학교도서관의 교수-학습 이론적 기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 13(2): 197-219 

  49. 함명식. 2003a. "문헌정보교육학개론". 대구: 태일사 

  50. 함명식. 2003b. 사서교사 협동교수 모형 개발과 과정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0(1): 121-144 

  51. Brodie. Carolyn S. 2006. "Collaboration Practices." School Library Media Activities Monthly. 23(2): 27-30 

  52. Buzzeo. Toni. 2002. Collaborating to Meet Standards: Teacher/Librarian Partnerships for 7-12. Worthington. Ohio: Linworth Publishing 

  53. Callison, Daniel and Leslie Preddy. 2006. The Blue Book: On Infonnation Age Inquiry, Instruction and Literacy. Westport: Libraries Unlimited 

  54. Carletti. Silvana. Suzanne Girard, and Kathlene Willing. 1991. The Library/Classroom Connection. Ontario: Pembroke Publishers 

  55. Chartered Institute of Library and Information Professionals(CILIP). 2006. Defining information literacy for the UK. [cited 2008.1.15]. 

  56. Dickinson, Gail. 2006. Achieving National Board Certification for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s.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57. Doll, Carol A. 2005. Collaboration and the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 Maryland: The Scarecrow Press 

  58. Drake, Susan M., and Rebecca C. Burns. 2006. Integrated Curriculum. 통합교육과정. 박영무. 강현석. 김인숙. 허영식 공역. 서울: 원미사 

  59. Everhart. Nancy. 2003. Controversial Issues in School Librarianship: Divergent Perspectives. Suit L Worthington: Linworth Publishing 

  60. Farwell, Sybil. 1998. "Successful Models for Collaborative Planning." Knowledge Quest, 26(2): 24-30 

  61. Fogarty, Robin. 1999. The Mindful School: How to Integrate the Curricila. 교사를 위한 교육과정 통합의 방법. 구자역. 구원희 옮김. 서울: 원미사 

  62. Ingram, James B. 1995. Curriculum Integration and Lifelong Education. 교육과정 통합과 평생교육. 배진수. 이영만 옮김. 서울: 학지사 

  63. Johnson, Doug. 2001. "It's Good to Be Inflexible: Are flexible library schedules better than fixed ones? Not Necessarily." School Library Journal. 47(1l): 39 

  64. Kearney, Carol A. 2000. Curriculum Parter: Redefining the Role of the Library Media Specialist. London: Green Wood Press 

  65. Logan, Debra Kay. 2000. Information Skills Toolkit: Collaborative Integrated Instruction for the middle Grades. Worthington. Ohio: Linworth Publishing 

  66. Milbury. Peter. 2005. "Collaboration: Ten Important Reasons to Talk It Seriously." Knowledge Quest. 33(5): 30-32 

  67. Miller. Donna P. 2004. The Standards-Based Integrated Library: A Collaborative Approach for Aligning the Library Program with the Classroom Curriculum. Worthington. Ohio: Linworth Publishing 

  68. Montiel-Overall. Patricia. 2005. "A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eacher and Librarian Librarian Collaboration (TLC)". School Libraries Worldwide. 11(2): 24-48 

  69. Moore. Penny. 2002. Information Literacy: Whats it all about?. Wellington: New Zealand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70. Russell. Shayne. 2002. "Teachers and Librarians: Collaborative Relationships." Teacher Librarian. 29(5): 35-38 

  71. Silva. Rufus De. Alison Turriff. 1993. Developing the Secondary School Library Resources Centre. London: Kongan Page 

  72. Stanley. Deborah B. 2001. Practical Step to the Research Process for Elementary School. Englewood: Libraries Unlimited 

  73. Taylor. Joie. 2006. Information Literacy and the School Library Media Center. Wesport. CT: Libraries Unlimited 

  74. Thomas. Nancy Pickering. 2004. Information Literacy and Information Skills Instruction. 2nd ed. Westport: Libraries Unlimited 

  75. Wolfinger, Donna M. and James W. Stockard Jr. 2003. Elementary Methods: An Integrated Curriculum. 통합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강현석. 박현무. 조영남. 허영식. 이종원 공역. 서울: 양서원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