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면안대와 귀마개 적용이 중환자실 관상동맥질환자의 수면양상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ye Protective Device and Ear Protective Device Application on Sleep Disorder with Coronary Disease Patients in CCU 원문보기

대한간호학회지=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38 no.4, 2008년, pp.582 - 592  

구윤정 (안동과학대학 간호과) ,  고효정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an eye protective device and ear protective device application on sleep disorder with coronary disease patients in CCU. Methods: The research design was set up 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The subject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를 이용한 유사실 험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수면장애가 있는 중환자실 관상동맥 질환자에게 수면안대와 귀마개를 적용하여 수면 양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nonequivalent con­ 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를 이용한 유사실험 연 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일 종합병원 심혈관 중환자실에 입원한 관상동맥 질환자 중 수면안대군 20명, 귀마개군 18명, 수면안대와 귀마개 병용군 17명, 처치를 받지 않은 대조군 20명으로 총 75명이었다.
  • 본 연구는 심혈관 중환자실에 입원한 관상동맥 질환자를 대상으로 수면안대와 귀마개의 적용이 소음 및 과도한 조명으로 인한 수면장애에 효과적인 간호 중재가 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의 간호학적 의의는 심혈관 중환자실에 입원한 관상 동맥 질환자에게 수면안대와 귀마개를 적용한 결과 수면안대만 사용한 군과 수면안대와 귀마개를 함께 적용한 군에서 수면 양과 수면 질이 증가함으로써, 중환자실 관상동맥 질환자의 수면 장애를 감소시키는 효과적인 간호 중재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 의하면 중환자실 입원환자의 수면장애요인으로 소음보다 조명이 더 큰 비중으로 나타나 중환자실에 입원한 관상동맥 질환자에게 귀마개 착용보다는 수면 안대를 우선적으 로 간호 중재 방법으로 적용하기를 제안한다. 수면안대, 귀마 개, 수면안대와 귀마개의 병용 모두 수면 양과 수면 질의 향상에 있어 그 효과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으므로 중환자실 관상동맥 질환자의 수면 향상을 위하여 경제적이고 적용하기 간편한 수면안대와 귀마개를 개인의 특성과 기호에 맞추어 적극적으로 도입할 것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 수면의 양적 질적 특성을 나타내며, 수면 양은 총수면 양, 밤 수면 양, 낮 수면 양을 포함하며, 수면 질은 숙면 정도와 잠들기까지의 시간, 밤에 깨어난 횟수, 밤에 깬 후 다시 잠들기까지의 시간 등 수면 전반에 대한 주관적 평가를 포함한다(Kim, Cho, Lee, Jung, & Park, 1999). 본 연구에서는 관상동맥 질환자를 대상으로 수면 양과 수면 전반에 대한 주관적 평가, 숙면 정도 척도로 측정된 점수를 말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심혈관 중환자실에 입원한 관상동맥질환 자 중 수면장애를 호소하는 대상자에게 수면안대 귀마개를 적용, 각각의 수면 보조도구를 적용할 때와 이를 병행하여 적용할 때 수면 양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여 대상자의 수면장애의 구체적인 간호 중재법으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에 의하면 중환자실 입원환자의 수면장애요인으로 소음보다 조명이 더 큰 비중으로 나타나 중환자실에 입원한 관상동맥 질환자에게 귀마개 착용보다는 수면 안대를 우선적으 로 간호 중재 방법으로 적용하기를 제안한다. 수면안대, 귀마 개, 수면안대와 귀마개의 병용 모두 수면 양과 수면 질의 향상에 있어 그 효과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으므로 중환자실 관상동맥 질환자의 수면 향상을 위하여 경제적이고 적용하기 간편한 수면안대와 귀마개를 개인의 특성과 기호에 맞추어 적극적으로 도입할 것을 제안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자는 중환자실에 입원한 관상동맥 질환자에게 심장의 부담을 증가시킬 수 있는 수면장애에 대한 효과적인 간호 중재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조명에 대한 지각을 감소시키는 수면안대와 소음을 차단하는 귀마개를 각각 적용하고 수면 안대와 귀마개를 함께 적용하여 수면 양상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 여 연구를 실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수면안대군, 귀마개군, 수면안대와 귀마개 병용군과 처치를 받지 않은 대조군 간에는 시간 경과에 따른 수면 양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제1가설: '수면안대군, 귀마개군, 수면안대와 귀마개 병용군과 대조군 간에는 시간 경과에 따른 수면 양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 제1가설: 수면안대만 적용한 군(수면안대군), 귀마개만 적용 한 군(귀마개군), 수면안대와 귀마개를 함께 적용한 군(수면 안대와 귀마개 병용군)과 처치를 받지 않은 대조군(대조군) 간에는 시간경과에 따른 수면 양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제2가설: 수면안대군, 귀마개군, 수면안대와 귀마개 병용군과 대조군 간에는 시간 경과에 따른 수면 전반에 대한 주관적 평가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제3가설: 수면안대군, 귀마개군, 수면안대와 귀마개 병용군과 대조군 간에는 시간 경과에 따른 숙면 정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제3가설: 수면안대군, 귀마개군, 수면안대와 귀마개 병용군과 대조군 간에는 시간 경과에 따른 숙면 정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ently, S., Murphy, F., Ellis, B. W., & Dudley, D. (1977). Sleep deprivation in patients undergoing operation: A factor in stress of surgery. British Medical Journal, 10, 1521-1522 

  2. Beyerman, K. (1987). Etiologies of sleep pattern disturbance in hospitalized patients. Classifications of Nursing Diagnosis: Proceeding of the Seventh Conference. St. Louis: Mosby 

  3. Byers, J. F., & Smyth, K. A. (1997). Effect of a music intervention on noise annoyance, heart rate, and blood pressure in cardiac surgery patient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6, 183-191 

  4.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behavioral science. New York: Academic Press 

  5. Foreman, M. D., & Wykle, M. (1995). Nursing standard of practice protocol: Sleep disturbances in elderly patients. The NICHE Faculty. Geriatric Nursing, 16, 238-243 

  6. Fox, M. R. (1999). The importance of sleep. Nursing Standard, 13 (24), 44-47 

  7. Freedman, N. S., Kotzer, N., & Schwab, R. J. (1999). Patient perception of sleep quality and etiology of sleep disruption in the intensive care unit.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59(4, Pt 1), 1155-1162 

  8. Haddock, J. (1994). Reducing the effects of noise in hospital. Nursing Standard, 8(43), 25-28 

  9. Hwang, E. H. (2007). Effects of hand acupuncture therapy on sleep quality in sleep disrupted adults: Verification by polysomnography and cerebral blood flow tes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1108-1118 

  10. Jung, H. W. (2001). A comparative study on noise level and nurses' degree of noise perception in general hospital.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0, 174-182 

  11. Kahn, D. M., Cook, T. E., Carlisle, C. C., Nelson, D. L., Kramer, N., R. & Millman, R. P. (1998). Identification and modification of environmental noise in an ICU setting. Chesh, 114, 535-540 

  12. Kim, K. H. (2001). Quality of sleep and sleep disturbance factors of coronary artery disease patients in CCU. Unpublished master's thesis, Ehwa Womans University, Seoul 

  13. Kim, M. A. (1986). A study on the sleep amount of patient and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to the sleep amount in intensive care un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4. Kim, M. J. (2003). Effects of earplugs application on the noise-induced disturbed sleep patterns in ICU pati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15. Kim, M. Y., Cho, S. H., Lee, S. M., Jung, S. J., & Park, K. S. (1999). Elderly sleep pattern and disturbing factors before and after hospitaliz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9, 61-71 

  16. Korea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4. December 18). 2003's Mortality according to Cause of Death. Retrieved March 2, 2005, from http://kosis.nso.go.kr/juro/index.html 

  17. Lee, Y. H., & Kim, J. S. (1996). A study on sleep deprivation factors and its influence of patients that hospitalized in general ward. Central Medical Association, 61(12), 96 

  18. Masahiro, T. (2004). The lighting plan a patient peacefulness. Journal of Illuminating Engineering Institute of Japan, 88, 675-681 

  19. Oh, J. J., Song, M. S., & Kim, S. M. (199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sleep scale 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8, 563-572 

  20. Pacini, C. M., & Fitzpatrick, J. J. (1982). Sleep pattern of hospitalized and non-hospitalized aged individual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8, 327-332 

  21. Parish, J. M., & Shepard, J. W. Jr. (1990). Cardiovascular effects of sleep disorder. Chest, 97, 1220-1226 

  22. Park, E. J. (2007). The effect of auricular acupressure on sleep, serotonin, TNF- & IL-6 of hemodialysis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23. Redeker, N. S. (2000). Sleep in acute care setting: An integrative review. Image-Th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2, 31-38 

  24. Redeker, N. S., Tamburri, L., & Howland, C. L. (1998). Prehospital correlates of sleep in patients hospitalized with cardiac disease. Research in Nursing &Health, 21, 27-37 

  25. Schwab, R. J. (1994). Disturbances of sleep in the intensive care unit. Critical Care Clinics, 10, 681-694 

  26. Son, Y. J. (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noise and sleep pattern in intensive care un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7. Song, R. H. (2004). The effect of foot reflexo-massage on the sleep, depression and physiological index of elder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28. Southwell, M. T. (1995). In-patient sleep disturbance: The views of staff and pati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8, 521-529 

  29. Tae, Y. S., & Baek, J. H. (2003). Related factors of sleep of adult patients in hospital. Kosin Medical Journal, 18, 112-127 

  30. Topf, M., Bookman, M., & Arand, D. (1996). Effects of critical care unit noise on the subjective quality of sleep.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4, 545-5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