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악중재가 간이식 환자의 환경 스트레스와 수면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usic Intervention on Environmental Stress and Sleep Quality in Patients with Liver Transplantation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6 no.2, 2019년, pp.75 - 85  

이인선 (양산부산대학교병원 외과계중환자실) ,  박형숙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music intervention on environmental stress and sleep quality in liver transplant patients who are receiving care in one-person isolation rooms of an ICU. Methods: The study was a quasi-experimental design pre-and-post nonequivalent contr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음악중재 연구보조원의 사전교육을 위해 본 연구자가 직접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음악중재의 방법과 중재 제공시 유의해야 할 점을 교육하였다. 또한 음악중재 제공에 참여하지 않는 중환자실 간호사 중 석사학위를 가진 임상경력 5년 이상의 간호사 5인을 선정하여 본 연구자가 환경 스트레스와 수면의 질을 측정하는 설문지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하였다. 이때 본 연구자는 자료수집 연구보조원으로 하여금 대상자에게 설문지의 각 항목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하도록 교육하였으며, 대상자 스스로 생각하고 답변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하도록 교육하였다.
  • 본 연구는 간이식 수술 후 중환자실의 1인 격리실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음악중재가 환경 스트레스와 수면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 음악중재를 제공한 실험군이 기존의 안위중재를 유지한 대조군에 비해 환경 스트레스 정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수면의 질 변화에도 차이가 있었다.
  • 본 연구는 간이식 수술 후 중환자실의 1인 격리실에 입원한 환자의 안위증진을 위해 음악중재를 제공하여 환경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된 연구로써, 중환자실의 상황에 따라 소음, 조명과 같은 환경 자극이 변화되는 환경이 아닌 폐쇄된 1인 격리실이라는 동일한 환경에서 음악중재의 효과를 평가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첫째, 일 대학병원의 중환자실에 입원한 간이식 환자만을 대상으로 함으로써 모든 중환자나 이식 환자에게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 본 연구는 간이식 수술을 받은 후 중환자실의 1인 격리실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음악중재와 기존의 수면안대 및 귀마개를 제공하는 안위중재의 효과를 비교하여 간이식 환자의 환경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수면의 질을 향상시켜 간이식 환자의 안위증진을 위한 간호중재의 효과를 검정하고자 수행된 연구로써, 그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중재가 간이식 수술 직후 중환자실의 1인 격리실에 입원한 환자의 환경 스트레스와 수면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함이다.
  • 또한 음악중재 제공에 참여하지 않는 중환자실 간호사 중 석사학위를 가진 임상경력 5년 이상의 간호사 5인을 선정하여 본 연구자가 환경 스트레스와 수면의 질을 측정하는 설문지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하였다. 이때 본 연구자는 자료수집 연구보조원으로 하여금 대상자에게 설문지의 각 항목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하도록 교육하였으며, 대상자 스스로 생각하고 답변할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하도록 교육하였다. 또한 강압적인 말투와 행동을 하지 않으며, 조사자의 의견을 개입시키지 않도록 교육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간이식 환자가 중환자실 1인 격리실에서 머무는 동안 음악중재를 제공하여 환경 스트레스와 수면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여 향후 중환자실 간이식 환자의 안위증진을 위한 간호중재의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따라서 제 1가설 '음악중재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환경 스트레스 정도가 감소될 것이다.
  • 따라서 제 2가설 '음악중재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음악중재를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면의 질이 향상될 것이다.
  • • 가설 2. 음악중재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면의 질이 향상될 것이다.
  • • 가설 1. 음악중재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환경 스트레스가 감소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이식 환자가 중환자실의 1인 격리실에 입원하여 보호격리를 받는 이유는? 간이식 환자는 수술 직후 집중 치료와 고용량의 면역억제제 투약으로 인한 감염 예방을 위해 중환자실의 1인 격리실에 입원하여 보호격리를 받게 된다. 수술 후 약 1주간 철저한 보호격리와 모니터링을 위해 일대일 간호가 제공되고, 우수한 의료 서비스가 제공됨에도 불구하고 간이식 환자들은 자신의 신체와 환경을 조절할 수 없는 상황에 대한 부정적인 정서상태를 경험하며, 이는 간이식 환자의 치료경과 및 예후에 중요한 변인으로 보고되었다[3,4].
간이식이란? 간이식은 말기 간질환, 급성 간부전 및 간암 등에 우선적으로 고려되는 치료수단으로, 간암과 간암의 위험 요인인 원발 질환도 동시에 치료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인 치료법이라 할 수 있다[1]. 우리나라의 간이식은 1988년 윌슨병(Wilson’s disease)으로 간부전에 이른 환자에게 뇌사자 간이식이 최초로 시행되었고, 1994년 생체 부분 간이식이 시행된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2010년 1,290례, 2017년 1,472례로 매년 1,000례 이상의 간이식이 이루어지고 있다[2].
간호중재로써 음악감상을 시행할 때, 자신의 취향과 다른 음악의 효과는? 개인적인 음악선호도는 생리적 . 심리적인 면에 영향을 주어 본인이 선호하는 음악은 뇌의 변연계에 작용하여 마음을 안정시켜주는 효과가 있는 반면, 자신의 취향과 다른 음악은 소음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정신적인 스트레스로 작용하여 부정적인 신체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29]. 따라서 개인의 기호가 반영된 음악은 대상자로 하여금 쉽게 몰입하게 만들어 환경적, 상황적 위협으로부터 안정감을 갖게 하여 환경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hu CW. Necessity of liver transplantation program, establishment and activation. The 18th Annual Meeting of the KASL;2012 June 14-16; Sheraton Grand Walkerhill Hotel. Seoul: The Korean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the Liver. 2012. p. 245-248. 

  2. KONOS. Statistics [Internet]. Seoul: KONOS; 2018 [cited 2018 July 30]. Available from: https://www.konos.go.kr/konosis 

  3. Crawford I, Hogan T, Silverman MJ. Effects of music therapy on perception of stress, relaxation, mood, and side effects in patients on solid organ transplant unit: A randomized effectiveness study. The Arts in Psychotherapy. 2013;40(2):224-229. https://doi.org/10.1016/j.aip.2013.02.005 

  4. Kim HJ, Song KY, Park HR, Choi DW. Perceived anxiety and uncertainty in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recipients to and from isolation uni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06;13(3):428-436. 

  5. McGuire BE, Basten CJ, Ryan CJ, Gallagher J. Intensive care unit syndrome: a dangerous misnomer.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2000;160(7):906-909. https://doi.org/10.1001/archinte.160.7.906 

  6. Kim EM, Suh MJ. Adjustment experience of liver transplant recipient.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003;6(1):61-69. 

  7. Biancofiore G, Maria LB, Anna MR, Lucio U, Franco M, Franco F. Stress-inducing factor in ICUs: what liver transplantation recipients experience and what caregivers perceive. Liver Transplantation. 2005;11(8):967-972. https://doi.org/10.1002/lt.20515 

  8. Reilly-Spong M, Park T, Gross CR. Poor sleep in organ transplant recipients: self reports and actigraphy. Clinical Transplantation. 2013;27:901-913. https://doi.org/10.1111/ctr.12255 

  9. Lewis SR, Pritchard MW. Schofield-Robinson OJ. Alderson P. Smith AF. Melatonin for the promotion of sleep in adults in the intensive care unit.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 2018:5. https://doi.org/10.1002/14651858.CD012455.pub2 

  10. Park HR, Choi SE, Park HR, Moon YI, Park JH. Sleep disturbance and related variables during hospitalization for hemato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2005;5(2):126-135. 

  11. Kim JS, Moon H, Sun JJ, Lee ES. The effect of sleep improvement intervention on the patients' sleep quality in the intensive care unit. Chonnam Journal of Nursing Science. 2007;12(1):45-57. 

  12. Kim MY, Jeon SY, Song YH, Choi EJ, Kim JH, Kim MS, et al. The effects of head and neck massage on the sleep and anxiety of ICU 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6;11(2):49-60. 

  13. Park OK. Effect of musical listening on sleep and perceived environmental stress of intensive care unit patients-The patients with coronary angiography [master's thesis]. Seoul: Korea University;2008. p. 2-26. 

  14. Eliassen KM, Hopstock LA. Sleep promotion in the intensive care unit-a survey of nurses' interventions. Intensive and Critical Care Nursing. 2011;27(3):138-142. https://doi.org/10.1016/j.iccn.2011.03.001 

  15. Hu RF, Jiang XY, Hegadoren KM, Zhang YH. Effect of earplugs and eye masks combined with relaxing music on sleep, melatonin and cortisol levels in ICU patients: a randomized cotrolled trial. Critical Care. 2015;19:115-123. https://doi.org/10.1186/s13054-015-0855-3 

  16. Shin KM, Choi HR. Effects of prior information about intensive care unit environment on anxiety and environmental stress in patients undergoing open heart surger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5;21(1):28-35. https://doi.org/10.5977/jkasne.2015.21.1.28 

  17. Ryu MJ. The effects of sleep-inducing music on sleep patterns with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graphy patients in CCU [master's thesis]. Daegu: Keimyung University;2010. p. 3-22. 

  18. Lim SY, Park HJ. The effects of aroma inhalation therapy on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in coronary care unit pati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2016;16(3):1-10. https://doi.org/10.5392/JKCA.2016.16.03.001 

  19. Cassileth BR, Vickers AJ, Magill LA. Music therapy for mood disturbance during hospitalization for autologous stem cell transplantation. American Cancer Society. 2003;98(12):2723-2729. https://doi.org/10.1002/cncr.11842 

  20. Su CP, Lai HL, Chang ET, Yiin LM, Perng SJ, Chen PW.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he effects of listening to noncommercial music on quality of nocturnal sleep and relaxation indices in patients in medical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12;69(6):1377-1389. https://doi.org/10.1111/j.1365-2648.2012.06130.x 

  21. Madson AT, Silverman MJ.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relaxation, anxiety, pain perception, and nausea in adult solid organ transplant patients. Journal of Music Therapy. 2010;47(3):220-232. https://doi.org/10.1093/jmt/47.3.220 

  22. Kim SH.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outcome research literature. Korean Journal of Music Therapy. 2002;4(2):19-40. 

  23. Hwang JI. An analysis of literatures on the use of music in the ICU: from music therapy perspectives [master's thesis]. Seoul:Ewha Womans University; 2015. p. 11-45. 

  24. Ballard KS. Identification of environmental stressors for patients in a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Issues in Mental Health Nursing. 1981;3(1-2):89-108. https://doi.org/10.3109/01612848109140863 

  25. Cochran J, Ganong LH. A comparison of nurses' and patients' perceptions of intensive care unit stressor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89;14(12):1038-1043. https://doi.org/10.1111/j.1365-2648.1989.tb01515.x 

  26. Parrott AC, Hindmarch I. The Leeds Sleep Evaluation Questionnaire in psychopharmacological investigations. Psychopharmacology. 1980;71(2):173-179. 

  27. Kim IJ, Choi HJ, Kim BJ. Psychometric properties of Korean version of modified Leeds Sleep Evaluation Questionnaire (KMLSEQ).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014;17(1):10-17. https://doi.org/10.7587/kjrehn.2014.10 

  28. Hansen IP, Langhorn L, Dreyer P. Effects of music during daytime rest in the intensive care unit. Nursing in Critical Care. 2018;23(4):207-213. https://doi.org/10.1111/nicc.12324 

  29. Jeong HC.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status of women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ir preference of music.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008;20(2):136-14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