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직무특성모형에 의한 간호조직유효성 예측요인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the Nurs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4 no.2, 2008년, pp.107 - 117  

임지영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김미선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대학원) ,  김영희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testify effectiveness and adaptability of the job characteristics model in nursing organization.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0 nurses who were working in the 2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Metropolitan city area.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Hackman and Oldham(1975)의 직무특성모형에 근거하여 간호조직유효성을 설명하는 예측요인을 파악하고자 한 모형구축 및 검증연구이다.
  • 본 연구는 Hackman and Oldham(1975)의 직무특성이론에 근거하여 간호조직유효성을 설명하는 예측요인을 파악하고자 한 모형구축 및 검증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인 지역에 소재한 2개의 대학부속 3차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중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자료수집에의 참여를 허락한 자로 하였다.
  • 본 연구는 Hackman and Oldham(1975)의 직무특성이론을 개념틀로 하여 5개의 핵심직무특성요인이 간호사의 심리적 요인인 임파워먼트를 통해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으로 구성된 조직유효성 요인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답을 구하고자 한 것이다. 이는 조직행태론의 관점에서 개인이 선호하는 직무를 맡게 되면 동기부여도가 높아지고 결과적으로 개인 및 조직성과가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는 가정에 근거한 것이다(최상필, 2005).
  • 본 연구는 Hackman and Oldham(1975)이 개발한 직무특성 모형에 대한 간호 실무에의 적용 타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간호 실무 현장에서 조직유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행 가능한 관리 전략을 탐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가설모형이 실제 자료에 부합하는 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전반적 부합지수를 통한 부합도 검정을 실시하였다[Table 2]. 가설모형의 부합도 분석 결과 χ2는 110.
  • 따라서 이러한 선행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직무특성이론이 간호 현장에 접목되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성과관리 효과에 대한 타당성을 확보하고 이에 근거하여 실무적인 성과관리 전략 수립의 준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간호현장에서의 실증적 분석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Hackman and Oldham(1975)의 직무특성모형이 간호 실무에서도 조직 성과관리에 유효한 설명력을 가지는 지에 대한 검증과 그 결과에 따른 실무 적용 방안에 대하여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의 이론적 기틀은 Hackmana and Oldham(1975)의 직무특성이론에 근거하였다. 직무특성이론에서는 5개의 핵심 직무특성이 구성원의 중요 심리상태에 영향을 미치고 그 결과가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무다양성, 직무정체성, 직무중요성, 직무자율성 및 직무피드백의 핵심직무특성이 의미감, 역할수행능력, 자기결정력 및 영향력으로 구성되는 간호사의 임파워먼트를 증가시켜 그 결과 간호조직유효성인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이 향상된다는 모형을 수립하였다[Figure 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무특성이론의 가정은 무엇인가? 직무특성이론은 조직구성원의 내재적 직무동기 및 전반적 조직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직무특성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직무재설계를 위한 실행원리들을 도출하고자 한 것으로 여러 선행 연구들을 통하여 본 모형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가정이 검증되어 왔다(강문진, 2006; 김성용, 2005). 직무특성이론의 가정은 직무 자체에 조직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조정함으로서 조직성과를 높일 수 있다는 것으로, 직무다양성, 직무정체성, 직무중요성, 직무자율성과 직무피드백의 핵심직무특성 5개 요인이 임파워먼트와 같은 조직 구성원의 주요 심리상태에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동기부여 향상, 직무만족 증가, 조직몰입 상승, 이직율 저하와 같은 조직유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는 것이다(최병우와 장익환, 2004). 우리나라에서도 직무특성이론은 그 동안 산업체 근로자, 스포츠센터 종사자, 사회복지사, 방송인, 공무원 등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 이론의 적용과 검증이 이루어져 왔다.
직무특성이란? 직무특성이란 개인에게 내재적 만족과 동기를 제공하고 조직의 업무 성과와 관여도를 높이는 직무가 가지고 있는 특성을 의미한다(강문진, 2006). Hackman and Oldham(1975)이 개발한 핵심직무특성은 5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며 이는 각각 직무 수행자에게 요구되는 기술과 능력의 다양성 및 작업 활동의 복잡성 정도를 의미하는 직무다양성(skill variety), 직무 수행자가 직무의 전체 혹은 일부분의 시작부터 끝까지 전 과정을 완결함으로서 눈에 띌 수 있는 결과를 산출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하는 직무정체성(task identity), 직무가 다른 사람의 활동이나 작업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나타내는 직무중요성(task significance), 직무 수행자에게 직무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부여된 독립성과 재량권의 정도를 의미하는 직무자율성(autonomy), 직무 수행자가 직무 수행의 과정 및 그 결과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를 습득하는 정도를 의미하는 직무피드백(feedback)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