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품질기능전개(QFD)를 이용한 의류제품 디자인 설계요소 연구 -중.노년층여성정장의 의류제품품질을 중심으로-
A Study on Apparel Product Design Elements Applied to Quality Function Deployment -Focused on Middle-Aged and Aged Women's Formal Wear-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2 no.10, 2008년, pp.1509 - 1521  

노영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  박재옥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iddle-aged women in their 40s$\sim$50s and older women aged 60 and over who were living in Seoul and Kyonggi-do, Korea. Through studying the participants' responses to the questions regarding the attributes of apparel quality in terms of the levels of sati...

주제어

참고문헌 (25)

  1. 김경훈. (2003). 고객지향적 품질향상을 위한 전략적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QFD(품질기능전개) 기법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민수. (2002). 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품질평가기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 김연성, 박상찬, 서영호, 유한주, 이동규. (2004). 품질경영론. 서울: 박영사 

  4. 김일분. (1998). 의복이미지 유형과 디자인 요소와의 관계.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5. 김정화, 이선영, 홍경희. (2000). 중년 여성의 감성 Brassiere 개발 (제1보)-소비자 요구분석을 기초로 한 제품 디자인 요소 추출-. 한국의류학회지, 24(5), 714?723 

  6. 김지연, 이은영. (2004). 의류점포와 서비스품질, 제품품질과 가격이 점포애고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8(1), 12?21 

  7. 류숙희, 최재란, 박종희. (2000). 의복색채에 관한 시각적 평가. 계명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과학논집, 26, 105?117 

  8. 류은정. (1997). 수단-목표 이론에 의한 의류제품 평가과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박정순, 이경희, 윤경혜. (1990). 원피스 드레스 줄무늬 시각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4(4), 72?81 

  10. 오현정. (1997). 의복품질의 개념구조와 평가경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1. 이경림. (2003). 신체인지도 및 신체만족도에 따른 선호스타일과 착용스타일 비교.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이경림, 박숙현. (2004). 신체만족도와 신체인지도에 따른의복맞음성(Apparel Fit) 만족도. 복식, 54(1), 69?81 

  13. 이은영. (2003). 복식디자인론. 서울: 교문사 

  14. 이정주. (2002). 패션 디자인 요소로서의 소재질감. 혜전대학 논문집, 20, 259?278 

  15. 이종철. (2001). 제화의 고객지향적 품질창조에 관한 실증적 연구: Kano의 모형과 QFD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6. 홍경희. (2002). 감성공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한 최적 브래지어 설계. 생활환경학회지, 9(3), 226?237 

  17. 홍금희. (1992). 의복만족과 의복불만족의 비교연구. 신라대학교 논문집, 33(1), 249?269 

  18. Abraham-Murlai, L. & Littrell, M. A. (1995). Consumers' conceptualization of apparel attribute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3(2), 65?74 

  19. Eckman, M., Damhorst, M. L., & Kadolph, S. J. (1990). Toward a model of the in-store purchase decision process: Consumer use of criteria for evaluation women's apparel.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8(2), 13?22 

  20. Horn, M. J. & Gurel, L. M. (1981). The second skin (3rd ed.).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21. Kim, J. H., Hong, K. H., & Scheurell, D. M. (2004). Applying QFD in the development of sensible brassiere for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12), 1596?1604 

  22. Lennon, S. J. & Fairhurst, A. E. (1995). Categorization of the quality concept.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23(3), 267?285 

  23. Lymann, D. (2001). An introduction to statistical methods and data analysis. CA: Duxbury 

  24. Scheurell, D. M. (1999). Applying quality function deployment in the apparel industry.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Culture, 2(2), 108?124 

  25. Scheurell, D. M. (2001). Creating protective clothing in the context of the product development process. J. Korean. Soc. Living. Environ. Sys., 8(2), 119?12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