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미료의 종류가 깍두기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weeteners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Kakdugi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2 no.3, 2009년, pp.443 - 448  

박희옥 (가천의과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손춘영 (동남보건대학 식품영양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weeteners on the quality of Kakdugi through the addition of 1.8% sugar, 0.006% sodium saccharin or 0.006% stevioside using a physicochemical test and sensory evaluation during fermentation at $20^{\circ}C$. The addition of sugar to Kakdugi 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아직까지는 김치류나 절임류의 단맛에는 설탕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다른 당류를 이용한 김치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로는 설탕, 포도당의 첨가(Jung 등 1985; Park & Kim 1991), sorbitol 첨가(Ku 등 1999), sorbitol 과 stevioside를 첨가(Kwon 등 1999), 감초 정제물을 첨가(Ko & Lee 2006)한 연구가 있으나, 깍두기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깍두기를 제조할 때 첨가 하는 감미료로 천연감미료인 설탕과 스테비오사이드, 그리고 인공감미료인 사카린나트륨을 각각 첨가하여 숙성하면서 이들 감미료가 깍두기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깍두기란? 김치는 배추, 무 등의 여러 가지 채소류를 소금에 절인 다음 고추, 마늘, 젓갈류 등으로 양념하여 발효시키는 것으로 적숙기에는 신맛과 감칠맛, 매운맛 그리고 독특한 향미를 지니는 전통 발효 절임식품 중의 하나이다(Lee 등 1994). 깍두기는 무를 주원료로 하여 마늘, 생강, 고춧가루, 새우젓, 설탕 등과 같은 부재료와 함께 버무려 발효시켜 먹는 김치류 중의 하나로 제조하는 방법이 김치류 중에서 가장 간단하면서도 선호도가 높아(Kim 등 2000; Park & Lee 2000; Kim & Jeong 2004; Hong 등 2006) 소비량이 배추김치 다음으로 많다. 보통 깍두기를 담글 때는 깍두기에 단맛도 부여하고 발효도 빠르게 하기 위하여 설탕을 첨가하게 되는데, 설탕 첨가시의 단점으로는 발효 촉진으로 인해 빨리 변질되고 점성이 생성되어 조직이 연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김치란? 김치는 배추, 무 등의 여러 가지 채소류를 소금에 절인 다음 고추, 마늘, 젓갈류 등으로 양념하여 발효시키는 것으로 적숙기에는 신맛과 감칠맛, 매운맛 그리고 독특한 향미를 지니는 전통 발효 절임식품 중의 하나이다(Lee 등 1994). 깍두기는 무를 주원료로 하여 마늘, 생강, 고춧가루, 새우젓, 설탕 등과 같은 부재료와 함께 버무려 발효시켜 먹는 김치류 중의 하나로 제조하는 방법이 김치류 중에서 가장 간단하면서도 선호도가 높아(Kim 등 2000; Park & Lee 2000; Kim & Jeong 2004; Hong 등 2006) 소비량이 배추김치 다음으로 많다.
절임류의 사카린나트륨 함량을 조사한 결과는? 2 g/㎏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KFDA 2009). Kim 등(2004)은 절임식품류의 사카린나트륨 함량을 조사한 결과, 단무지는 37건 중 30건 (81.1%)에서 검출되었으며, 검출량은 0.48 g/㎏, 오이지는 5건중 5건(100%) 모두에서 검출되었고 검출량은 0.33 g/㎏, 깍두기의 경우 4건 중 2건으로 검출율 50% 검출량 0.11 g/㎏으로 식품의약품안정청의 식품첨가물 기준에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소비자들은 여전히 인공감미료인 사카린나트륨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코카콜라, '천연감미료'로 건강기업 발돋움. 2008. 메디칼투데이. http://www.mdtoday.co.kr. 2009.7.13 방문 

  2. AOAC. 200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7th ed. pp.31-32.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ommunities. Gaithersburg, MD, USA 

  3. Hong HO, Kim JY, Lee JS. 2006. Survey on Korean food preference of college students in Seoul-Focused on side dishes-. Korean J Nutr 39:707-713 

  4. Jung HS, Ko YT, Lim SJ. 1985. Effects of sugars on Kimchi fermentation and on the stability of ascorbic acid. Korean J Nutr 18:36-45 

  5. Kim HY, Yoon HJ, Hong KH, Choi DJ, Park SK, Park HO, Jin MS, Choi WJ, Park SY, Lee KJ, Lee CW. 2004. Estimated dietary intake of sodium saccharin and acesulfame potassium in Koreans. Korea Food Sci Technol 36:804-811 

  6. Kim JH, Park WP, Kim JS, Park JH, Ryu JD, Lee HG, Song YO. 2000. A survey on the actual state in Kimchi in Kyungnam (I) -The study of the preference of Kimchi and actual amounts of Kimchi intake-. Korean J Dietary Culture 15:139-145 

  7. Kim JS, Jeong SH. 2004. A study on food behaviors and food preferences of the tourism transportation business managers in Daegu areas by ag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4:529-541 

  8. Kim MS, Oh SH, Oh PS. 1997. Current industrial application of natural sweetener stevioside. Food Ind Nutr 2:48-55 

  9. Kim YS, Lee SK, Jeong DY, Yang EJ, Shin DH. 2007. Effect of powder of Stevia rebaudiana leaves against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salting of rice bran Danmooji. Korean J Food Preserv 14:497-503 

  10. Ko YT, Lee SH. 2006. Quality characterstics of Kimchi with added purified Licorice(Glycyrrhiza uralensis) extract. Korean J Food Cookery Sci 23:609-616 

  11. Korea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9. Food Standards Codex. Korean Foods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12. Ku KH, Cho JS, Park WS, Nam YJ. 1999. Effects sorbitols and sugar sources on the fermentation and sensory properties of Baechu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1:794-801 

  13. Kwon DJ, Chang YS, Jo KS, Kang YH. 1999. Effects of sugars addition on phys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of Kimchi. Korean J Food & Nutr 12:608-614 

  14. Lee IS, Park WS, Koo YJ, Kang KH. 1994. Comparison of fall cultivars chinese cabbage for Kimchi prepar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6:226-230 

  15. Lee IS. 1997. Current safety status of stevioside. Food Ind Nutr 2:42-47 

  16. Park ES, Lee KH. 2000. The intake, preference, and utilization of Kimchi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5:598-607 

  17. Park WP, Kim ZU. 1991. The effect of seasonings and saltedfermentated fish on Kimchi fermentation(in Korean). J Korean Agric Chem Soc 34:235-2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