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와송(Orostachys japonicus) 잎, 줄기 및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열 및 pH 안정성
Antioxidant Activity of Leaf, Stem and Root Extracts from Orostachys japonicus and Their Heat and pH Stabiliti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11, 2009년, pp.1571 - 1579  

이소정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송유진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소영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꽃봉우리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서진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윤소영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청조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안동현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와송의 부위별 에탄올 및 물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알아보고 열 및 pH 처리가 와송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식품산업에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와송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잎, 줄기 및 뿌리 순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rancimat에 의한 지질산화 억제능은 4 mg/mL 농도에서 에탄올 추출물의 산화안정지수가 잎 및 뿌리에서 1.92 및 2.00의 값을 보여 1.28의 값을 보인 줄기에 비해 높은 억제능을 보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잎, 줄기 및 뿌리 에탄올 추출물이 0.4 mg/mL 농도에서 92-96%의 값을 보여 천연항산화제인 tocopherol과 유사한 소거능을 보였으며 물 추출물은 잎, 줄기 및 뿌리 순으로 높은 소거능을 보였다. 환원력도 잎, 줄기 및 뿌리 순으로 높은 값을 나타냈다. 반면, 금속봉쇄력은 에탄올 추출물은 잎에서 높은 금속봉쇄 효과를 보였으나 물 추출물에서는 잎, 줄기 및 뿌리 모두 4 mg/mL 농도에서 90%에 가까운 금속봉쇄력을 보여 킬레이트제인 EDTA와 유사한 활성을 보였다. 이를 통해 와송의 잎, 줄기 및 뿌리 모두 DPPH 라디칼 소거능, 금속봉쇄력을 통해 높은 항산화활성을 가지며, 그중 특히 잎 에탄올 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와송잎 에탄올 추출물을 열 및 pH 처리한 결과 라디칼 소거능이 무처리구와 유사한 값을 보여 와송잎 추출물이 열 및 pH에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와송잎 추출물은 열 및 pH에 안정하며 높은 항산화활성을 가져 천연항산화제로서 식품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tioxidant activities of ethanol and water extracts from Orostachys japonicus leaf, stem, and root were determined by rancimat method,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chelating effect, and reducing power analysis. The highest total phenolic compound (TPC) as 14.6 mg/g of dry sample and the strong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천연 항산화 소재로서 와송의 부위별 사용 효율의 증대 및 기능성 향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와송을 잎, 줄기 및 뿌리로 나누어 에탄올과 물로 추출하여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높은 활성을 나타낸 부위의 열 및 pH에 대한 항산화 능의 안정성을 확인하여 천연항산화제로서 식품산업 에의이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 하지만 Lee 등(28)에 따르면 식물류의 항산화 활성이 부위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보인다고 하여 와송의 부위에 따른 활성을 비교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위별 와송의 항산화 활성 차이를 알아보고자 먼저 와송 부위별 추출물의 페놀 화합물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Table 2), 잎, 줄기 및 뿌리 에서 각각 14.
  • 와송의 항산화효과에 대한 연구 현황을 살펴보면 재배조건이나 채취시기에 따른 결과는 보고(16, 17)되고 있으나 와송 부위별 활성을 비교한 연구 결과는 아직 보고된 적이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천연 항산화 소재로서 와송의 부위별 사용 효율의 증대 및 기능성 향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와송을 잎, 줄기 및 뿌리로 나누어 에탄올과 물로 추출하여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높은 활성을 나타낸 부위의 열 및 pH에 대한 항산화 능의 안정성을 확인하여 천연항산화제로서 식품산업 에의이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 합성항산화제로 널리 이용되어온 BHT, BHA 등은 열에 불안정하여 생리활성이 감소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열에 안정한 천연물 유래 항산화 물질의 탐색이 요구되고 있다(51). 이에 와송잎 에탄올 추출물이 뛰어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어 이를 천연항산화제로써 사용하기 위해 식품 제조 공정상 중요한 열처리 조건이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와송잎 에탄올 추출물을 60oC에서 10, 30 및 60분, 80oC와 100oC에서 각각 10 및 20분, 121oC에서 15분간 열처리 한 후 항산화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총 페놀 화합물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Ames B.N, Saul R.L. 1987. Oxidative DNA damage, cancer and aging. Oxygen and human disease. Ann Inter Med 107: 536-539 

  2. Choe S.Y, Yang K.H. 1982. Toxicological studies of antioxidants buthylated hydroxytoluene (BHT) and buthylated hydroxy anisole (BHA). Korean J Soc Food Sci Technol 14: 283-288 

  3. Bae E.A, Moon G.S. 1997. A study on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Korean soybea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203-208 

  4. Cha B.C, Lee S.K, Lee H.W, Lee E, Choi M.Y, Rhim T.J, Park H.J. 1997. Antioxidant effect of domestic plants. Korean J Pharmacogn 28: 15-20 

  5. Choi U, Shin D.H, Chang Y.S, Shin J.I. 1992. Screening of natural antioxidant from plant and their antioxidative effect.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142-148 

  6. Kim K.T, Kim J.O, Lee G.D, Kwon J.H. 2005.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Polygonatum odoratum root extracts with different steaming and roasting conditions. Korean J Food Pres 12: 166-172 

  7. Park H.J, Choi J.S, Chung H.Y. 1998. The antioxidant activity in extracts of Symphyocladia latiuscula. J Korean Fish Soc 31: 927-932 

  8. Lee B.H, Choi B.W, Chun J.H, Yu B.S. 1996. Extraction of water soluble antioxidants from seaweeds. J Korean Ind Eng Chem 7: 1069-1077 

  9. Kang Y.H, Park Y.K, Oh S.R, Moon K.D. 1995.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978-984 

  10. Lee S.J, Sung N.J, Jeong H.G, Shin J.H, Chung Y.C, Seo J.K. 2008.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Prunella vulgar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535- 1541 

  11. Lee Y.S. 2007.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Ailanthus altissim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389-394 

  12. Choi M.R, Yoo E.J, Song S.H, Kang D.S, Park J.C, Lim H.S. 2001. Comparison of physiological activity in different parts of Dolsan leaf mustar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721-725 

  13. 정보섭. 1990. 향약대사전. 영림사, 서울. p 600 

  14. Kwon J, Han K.S. 2004. Effects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on the immune system.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 315-320 

  15. Choi S.Y, Kim J.G, Sung N.J. 2008.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NDMA formation of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1: 148-156 

  16. Yu E.A, Lee S.J, Lee S.G, Kang J.H, Shin S.C. 2006. Total 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grown under various cultivation condition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4: 234-238 

  17. Choi S.Y, Chung M.J, Sung N.J. 2008. Studies on the antioxidative ability of methanol and water extracts from Orostachys japonicus A. Berger according to harvest times. Korean J Food & Nutr 21: 157-164 

  18. Swain T, Hillis W.E. 1959. The phenolic constituents of Prunus domestica. I-The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 63-68 

  19.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r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990-2100 

  20. Shimada K, Fujikawa K, Yahara K, Nakamura T. 1992. Antioxidative properties of xanthan on the autoxidation of soybean oil in cyclodextrin emulsion. J Agric Food Chem 40: 945-948 

  21. Oyaizu M. 1986. Studies on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s:Antioxidative activities of products of browning reaction prepared from glucosamine. Jpn J Nutr 44: 307-315. 

  22. Lim S.I. 2000.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otease produces by Aspergillus wentti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Meju.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61-167 

  23. Jin T.Y, Lee W.G, Lee I.S, Wang M.H. 2008. Changes of physicochemical, sensory and antioxidant activity characteristics in rice wine, Yakju added with different ratios of Codonopsis lanceolata.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201-206 

  24. Kim J.Y, Lee J.A, Park S.Y. 2007. Antibacterial activities of Oenothera laciniat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255-261 

  25. Kim H.J, Jun B.S, Kim S.K, Cha J.Y, Cho Y.S. 2000. Polyphenolic compound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by extracts from seed, sprout and flower of safflower (Carthamus tinctiorius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1127-1132 

  26. Choi S.Y, Kim S.Y, Hur J.M, Choi H.G, Sung N.J. 2006.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s from Sargassum thunbergi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39-144 

  27. Choi Y.M, Chung B.H, Lee J.S, Cho Y.G. 2006.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Artemisia spp. collections. Korean J Crop Sci 51: 209-214 

  28. Lee S.H, Jin Y.S, Heo S.I, Shim T.H, Sa J.H, Choi D.S, Wang M.H. 2006. Composition analysis and antioxidative activity from different organs of Cirsium setidens Nakai.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71-576 

  29. Lee S.E, Lee S.W, Bang J.K, Yu Y.J, Seong N.S. 2004. Antioxidant activities of leaf, stem and root of Panax ginseng C.A. Meyer. Korean Medicinal J Crop Sci 12: 237-242 

  30. Moo J.S, Kim S.J, Park Y.M, Hwang I.S, Kim E.H, Park J.W, Park I.B, Kim S.W, Kang S.G. 2004. Antimicrobial effect of methanol extracts from some medicinal herbs and th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Pres 11: 207-213 

  31. Lee S.O, Lee H.J, Yu M.H, Im H.G, Lee I.S. 2005.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lung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33-240 

  32. Kim N.S, Lee K.T. 2007.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functional oils produced using red yeast-rice ethanol extracts and diacylglycerol oi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201-208 

  33. Lim D.K, Choi U, Shin D.H. 1996.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83-89 

  34. Kim M.J, Song E.J, Lee S.Y, Kim K.B.W.R, Kim S.J, Lee S.J, Yoon S.Y, Kim A.R, Jeon Y.J, Park J.G, Choi J.I, Lee J.W, Byun M.W, Ahn D.H. 2008. Effect of γ-irradiation on antioxidant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Ishige okamurai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485-1490 

  35. Woo N.R.Y, Kim T.S, Park C.G, Seong H.J, Ko S.B, Kang M.H. 2005.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Crotalaria sessiflora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948-952 

  36. Ames B.N, Shigenaga M.K, Hagen T.M. 1993. Oxidants, antioxidants, and the degenerative diseases of aging. Proc Natl Acad Sci USA 90: 7915-7922 

  37. Lee B.B, Park S.R, Han C.S, Han D.Y, Park E.J, Park H.R, Lee S.C.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activity against α-amylase and α-glucosidase of Viola mandshuric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405-409 

  38. Huang D, Ou B, Prior R.L. 2005. The chemistry behind antioxidant capacity assays. J Agric Food Chem 53: 1841- 1856 

  39. Kim H.K, Kim Y.E, Do J.R, Lee Y.C, Lee B.Y. 1995.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ome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80-85 

  40. Joung Y.M, Park S.J, Lee K.Y, Lee J.Y, Suh J.K, Hwang S.Y, Park K.E, Kang M.H. 2007.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Lilium species extracts prepared from different aerial par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452-457 

  41. Park Y.K, Choi S.H, Kim S.H, Jang Y.S, Han J.Y, Chung H.G. 2008. Func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from the fruits of Rubus coreanus according to cultivars. Mokchae Konghak 36: 102-109 

  42. Frankel E.N, Kanner J, German J.B, Parks E, Kinsella J.E. 1993. Inhibition of oxidation of human low-density lipoprotein by phenolic substances in red wine. Lancet 341: 454-457 

  43. Gordon M.H. 1990. The mechanism of antioxidant action in vitro. In Food antioxidants. Hudson BJF, ed. , +. p 1-18 

  44. Arabshahi-Delouee S, Urooj A. 2007. Antioxidant properties of various solvent extracts of mulberry (Morus indica L.) leaves. Food Chem 102: 1233-1240 

  45. Lee H.R, Jung B.R, Park J.Y, Hwang I.W, Kim S.K, Choi J.U, Lee S.H, Chung S.K.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grape juice products in the Korean market. Korean J Food Pres 15: 445-449 

  46. Cho M.Z, Hahn T.S, Kwon T.B, Oh S.K. 1989. Antioxidant effect of some chelating agents on soybean oil. J Korean Agric Chem Soc 32: 30-36 

  47. Kanatt S.R, Chander R, Sharma A. 2007. Antioxidant potential of mint (Mentha spicata L.) in radiation-processed lamb meat. Food Chem 100: 451-458 

  48. Lee Y.L, Huang G.W, Liang Z.C, Mau J.L. 2007. Antioxidant properties of three extracts from Pleurotus citrinopileatus. LWT 40: 823-833 

  49. Feng T, Du Y, Li J, Hu Y, Kennedy J.F. 2008.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y of chitosan by irradiation. Carbohyd Polym 73: 126-132 

  50. Gazzani G, Papetti A, Massolini G, Daglia M. 1998. Antioxidative and pro-oxidant activity of water soluble components of some common diet vegetables and the effects of thermal treatment. Food Chem 6: 4118-4122 

  51. Sanhueza J, Nieto S, Valenzuela A. 2000. Thermal stability of some commercial synthetic antioxidants. JAOCS 77: 933-936 

  52. Kim S.J, Kweon D.H, Lee J.H. 2006. Investig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stability of ethanol extracts of licorice root (Glycyrrhiza glabra).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84-588 

  53. Kim M.J, Choi J.S, Song E.J, Lee S.Y, Kim K.B.W.R, Lee S.J, Kim S.J, Yoon S.Y, Jeon Y.J, Ahn D.H. 2009. Effects of heat and pH treatments on antioxidant properties of Ishige okamurai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41: 50-56 

  54. Lee O.H, Lee H.B, Lee J.S, Lee B.Y. 2005. Optimization of extraction condition and stability of olive leaf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78-182 

  55. Azizah A.H, Nik Ruslawati N.M, Tee T.S. 1999. Extra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nt from cocoa by-products. Food Chem 64: 199-2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