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추씨 첨가 된장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Added with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Seed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11, 2009년, pp.1587 - 1594  

구경형 (한국식품연구원) ,  최은정 (한국식품연구원) ,  박완수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고추씨가 첨가된 된장의 이화학 및 관능적 품질을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은 된장 제조 직후 52.03-53.79%에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고, 염도는 13.28-14.05%에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pH는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고추씨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적성산도는 발효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고, 고추씨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높은 적정 산도를 보였다. 된장의 색도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L값과 b값은 약간 감소하고 a값은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전반적으로 고추씨 첨가량이 많을수록 적색도(+)를 나타내는 a와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과 밝기를 나타내는 L값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또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된장 제조 초기에 497-623 mg%에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여 발효 120일에 대조구는 1,000 mg%이상, 고추씨 첨가구는 756-896 mg%로 증가하였다. 총 균수의 경우 제조 직후부터 발효 120일까지 고추씨 첨가에 관계없이 제조 직후에는 $10^7{\sim}10^8$ CFU/g의 총 균수에서 발효 진행되면서도 $10^7$ CFU/g을 유지한 반면 효모와 곰팡이 수는 $10^5$ CFU/g에서 $10^3{\sim}10^4$ CFU/g으로 감소하였다. 한편 된장의 관능검사 결과 고추씨의 첨가량에 관계없이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된장의 고유 향미가 증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y of Doenjang added with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seed. The initial moisture content and salt content of Doenjang were 52.03-53.79% and 13.28-14.05%, respectively. The moisture and salt contents of Doenjang slightly decreased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추씨에 관한 연구는 Lee 등(17)의 고추씨 기름의 조성 조사, Kim과 Rhee(18)의 고추씨 기름의 정제와 분석에 관한 연구, 고추씨 기름 대체 향미유 개발 등 기름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으나, 최근 고추씨에 항돌연변이와 항암 효과가 있다는 연구 (19-21) 와 함께 품종 별고 추 씨의 화학적 성분 분석, 고추씨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 등이 보고되었으나(22, 23), 고추씨가 첨가된 재래식 된장의 품질 특성에 관한 보고는 없다. 연구는 고추종합처리장에서 부산물로 생산되는 고추씨의 활용도 개발을 위하여 고추씨를 재래식 된장에 첨가하여 제조한 후 고추씨 첨가량에 따른 된장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 이 연구는 고추씨가 첨가된 된장의 이화학 및 관능적 품질을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은 된장 제조 직후 5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Kim M.J, Rhee H.S. 1990. Studies on the changes of taste compounds during soy paste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Sci 6: 1-8 

  2. Park J.S, Lee M.Y, Kim J.S, Lee T.S. 1994. Compositions of nitrogen compound and amino acid in soybean paste (Doen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icrobial sourc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609-615 

  3. Park S.K, Seo K.I, Shon M.Y, Moon J.S, Lee Y.H. 2000. Quality characteristics of home-made Doenjang, a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 Korean J Soc Food Sci 16: 121-127 

  4. Park K.Y, Hwang K.M, Jung K.O, Lee K.B. 2002. Studies on the standardization of Doenjang (Korean soybean paste) 1. Standardization of manufacturing method of Doenjang by literatur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343-350 

  5. Kwak E.J, Park W.S, Lim S.I. 2003. Color and quality properties of Doenjang added with citric acid and phytic acid.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455-460 

  6. Lee W.J, Cho D.H. 1970. Microbiological studies of Korean native soy sauce fermentation. A study on the microflora changes during Korean native soy-sauce fermentation. J Korean Agric Chem Soc 13: 35-42 

  7. Yoon I.S, Kim H.O, Yoon S.E, Lee K.S. 1997. Studies on the changes of N-compounds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of the Korean Deon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9: 131-137 

  8. Park J.S, Lee M.Y, Kim K.S, Lee T.S. 1994.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soybean paste (Doenjang) prepared from different types of strai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255-260 

  9. Lee D.H, Kim, J.H, Yoon B.H, Lee G.S, Choi S.Y. Lee J.S. 2003. Changes of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during the fermentation of medicinal herbs Doenjang. Korean J Food Preserv 10: 213-218 

  10. Kim M.H, Im S.S, Yoo Y.B, Kim G.E, Lee J.H. 1994. Antioxidative materials in domestic meju and Doenjang. 4. Separation of phenolic compound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y. J Korean Soc Food Nutr 23: 792-798 

  11. Hong S.S, Chung K.S, Yoon K.D, Cho Y.J. 1996. Antimutagenic effect of solvent extracts of Korean fermented soybean products. Food Biotechnol 5: 263-267 

  12. Shin Z.I, Ahn C.W, Nam H.S, Lee H.J, Lee H.J, Moon T.H. 1995. Fractionation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ory peptides from soybean paste.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230-234 

  13. Kim Y.T, Kim W.K, Oh H.I. 1995. Screening and identification of the fibinolytic bacterial strain from Chungkook- jang.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3: 1-5 

  14. Lee S.J, Ahan B. 2008. Thermal changes of aroma components in soybean paste (Daen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271-276 

  15. Yoon H.S, Kwon J.H, Bae M.J, Hwang J.H. 1983.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food resources from waste seeds. IV. Chemical composition of red pepper seed. Korean J Food Nutr 12: 46-50 

  16. Park J.B, Park W.S, Kim D.M, Kim J.H, Kwon K.H. 1999. Development of automation system for red pepper milling factory. KFRI. GA0129 

  17. Lee J, Lee M.H, Kwon J.H. 2000. Effects of electron beam irradiation on physicochemical qualities of red pepper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271-276 

  18. Kim J.C, Rhee J.S. 1980. Studies on processing and analysis of red pepper seed oil. Korean J Food Sci Technol 12: 126-132 

  19. Sim K.H, Han Y.S. 2007. The antimutagenic and antioxidant effects of red pepper and red pepper pericarp (Capsicum annum L.). J Food Sci Nutr 12: 273-278 

  20. Park J.S, Park K.Y, Yu R. 1998. Inhibition of nitrosation by capsaicin and its metabolism.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1015-1018 

  21. Choi S.M, Jeon Y.S, Park K.Y, Jung K.O. 2001. Antimutagenic effects of different kinds and parts of red pepper powder on the N-methyl-N'-nitrosoguanidine (MNNG)-induced mutagenicities. J Korean Cancer Prev 6: 108-115 

  22. Ku K.H, Choi E.J, Park J.B. 2008. Chemical component analysis of red pepper (Capsicum annum L.) seeds with various cultiv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084-1089 

  23. Ku K.H, Choi E.J, Park W.S. 2008. Functional activity of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see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357-1362 

  24. AOAC. 1986.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3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876 

  25.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26. Standardization of Korea traditional food. 2008. T015 

  27. Hutchings J.S. 1994. Instrumental specificaton. In Food colour and appearance. Blackie Academic & Professional, Bedford, UK. p 217-223 

  28. Meilgaard M, Civile G.V, Carr B.T. 1991. Sensory evaluation techniques. 2nd ed. CRC press, Boston, USA. p 53-54 

  29. Chung D.H, Sim S.K. 1994. Soybean Doenjang. In Fermented soybean foods. Jisungjisaem Co., Seoul, Korea. p 632-652 

  30. Lee S.K, Kim N.D, Kim H.J, Park J.S. 2002. Development of traditional Doenjang improved in color.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400-406 

  31. Kum J.S, Han O. 1997. Changes I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chujang and Doenjang prepared with extrudated wheat flour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601-605 

  32. Kim E.Y, Rhyu M.R. 2000. The chemical properties of Doenjang prepared by Monascus koji.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114-1121 

  33. Lee S.C, Kim S.K, Lee S.G, Hwang Y.I. 1997. Production of soy sauce with Monascus sp. Agric Chem Biotechnol 40: 361-363 

  34. Kwak E.J, Park W.S, Lim S.I. 2003. Color and quality properties of Doenjang added with citric acid and phytic acid.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455-460 

  35. Kim J.S, Choi S.H, Lee S.D, Lee G.H, Oh M.J. 1999. Quality changes of sterilized soybean paste during it's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069-1075 

  36. Choi K.K, Cui C.B, Ham S.H, Lee D.S. 2003.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main strain related to Meju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818-824 

  37. Cho J.S. 1980. Fermented soybean products. In Survey on Korea Fermented Foods. Kijeon Pub. Ltd., Chunju, Korea. p 47-90 

  38. Lee N.S, Oh N.S. 1996. Characteristics of yeast flora and gas generation during fermentation of Doenjang. Agric Chem Biotechnol 39: 255-25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