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괴화((槐花), Flos Sophora japonica Linne)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in the Extract of Flos Sophora japonica L.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1, 2009년, pp.9 - 13  

박성진 (한림성심대학 관광외식조리과) ,  신언환 (울산과학대학 호텔조리과) ,  함태식 (한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괴화추출물은 DPPH free radical 소거법에 의한 항산화 활성 실험에서는 ethyl acetate 분획($RC_{50}=3.13{\mu}g/mL$), butanol 분획($RC_{50}=6.25{\mu}g/mL$)에서 강한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alpha}$-tocopherol이나 BHA보다 유사하거나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Linoleic acid에 대한 항지질과산화 활성 실험은 15일째에 물층을 제외한 추출물, 분획물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박테리아에 대한 항균실험은 Staphylococcus aureus에서만 활성을 보이지 않았을 뿐 다른 피검균에서는 높은 활성을 보였다. 다만, fungi strain인 Candida albicands에 대해 각각 $250{\mu}g/mL$, $500{\mu}g/mL$의 생육 억제 농도를 나타내었다. 항보체 활성화능을 측정한 결과 물층 21%를 제외한 다른 분획물은 10% 이하의 낮은 억제효과를 보이거나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괴화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 항지질과산화 활성, 항미생물 활성이 우수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괴화 추출물을 이용하여 식품 및 음료 등과 같은 기능성식품으로서의 다양한 산업적 응용분야에 널리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los Sophora japonica L. (Leguminosae), commonly called scholar tree, is a well-known traditional medicine used for the treatment of bleeding and as an antihemorrhagic agen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determine biofunctional activities of Flos Sophora japonica extract. Methanolic extract from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괴화 추출물에 대한 생리활성 검정을 목적으로 항산화 활성, 항지질과산화 활성, 항미생물 활성, 항보체 활성을 실험하여 식품 및 음료 등과 같은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다양한 산업적 응용분야에 널리 이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괴화는 무엇인가? 괴화(槐花, Flos Sophora japonica L.)는 두과 Leguminosae에 속하는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L.)에 속하는 콩과식물의 꽃송이 혹은 꽃봉우리로서 괴각(槐角)과 함께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는 상품(上品)으로 수재되어 있다. 한국, 중국 및 일본의 전역에서 생산되나 중국의 하강성(河北省)에서 생산되는 것이 가장 품질이 양호하며 꽃이 피는 시기는 7~8월경이다(5).
괴화는 어디에서 생산되며 개화시기는 언제인가? )에 속하는 콩과식물의 꽃송이 혹은 꽃봉우리로서 괴각(槐角)과 함께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는 상품(上品)으로 수재되어 있다. 한국, 중국 및 일본의 전역에서 생산되나 중국의 하강성(河北省)에서 생산되는 것이 가장 품질이 양호하며 꽃이 피는 시기는 7~8월경이다(5). 괴화는 괴화미(槐花米), 괴미(槐米) 등으로 불리기도 하고, 역대의 중국본초서(本草書)에는 회화나무의 괴실(槐實)을 괴화의 이명으로 기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조선시대 본초서에는 회화나무 꽃이라 기록하고 있다.
괴화에는 무엇이 함유되어 있는가? 괴화는 한방 약리학적으로 맛(味)은 쓰고 성질(性)은 서늘하고 간과 대장으로 귀경(歸經)하여 열을 내리고 피를 차게 하며 출혈을 멎게 하고 눈의 출혈에 의한 떨림(風熱目赤), 혈압강하작용 및 중풍을 치료한다고 알려져 있다(5). 괴화에는 triterpenoid saponin, betulin, sophoradiol, glucose, glucuronic acid와 rutin, tannin 등의 flavonoids류가 함유되어 있다. 괴화 속의 rutin과 quercetin은 모세혈관에 작용하여 혈관의 탄력성을 회복시키고 항염증 효능을 발휘하게 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mes BN, Saul RL. 1987. Oxidative DNA damage, cancer and aging. Oxygen and human disease. Am Inter Med 107: 536-539 

  2. Branen AL. 1975.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 anisol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m Oil Chem Soc 52: 59-63 

  3. Choe SY, Yang KH. 1982. Toxicological studies of antioxidants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and butylated hydroxy anisol (BHA).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283-288 

  4. Huang MT, Ho CT, Lee CY. 1992. Phenolic Compounds in Food and Their Effects on Health (II). Antioxidants and Cancer Prevention. American Chemical Society Publication, Washington, DC. p 54-71 

  5. Lee KS, Shin MK. 1997. The encyclopedia of oriental herbal medicine. Jungdam, Seoul, Korea. p 381-383 

  6. Kim BH, Song WS. 2000. The study of natural dyes on the flower (I)-The dyeabil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ophora japonica-. J Kor Soc Cloth Ind 2: 113-117 

  7. Lee JE, Lee JY, Choi JI, Kim CK, Kim SJ. 2005. Suppression of nitric oxide and interleukin-6 production by methanol extract of Sophorae Flos in macrophage cells. J Korean Acad Periodontol 35: 9-19 

  8. Xiong Q, Kadota S, Tadata T, Namba T. 1996. Antioxidative effects of phenylethanoids from Cistanche deserticola. Biol Pharm Bull 19: 1580-1585 

  9. Choi JS, Park JH, Kim HG, Young HS, Mun SI. 1993.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s and marine algae and its active principles from Prunus daviana. Kor J Pharmacol 24: 299-303 

  10. Inatani R, Nakatani N, Fuwa H. 1983. Antioxidative effect of the constituents of rosemary (Rosmarinus officinalis L.) and their derivatives. Agric Biol Chem 47: 521-528 

  11. Kobayashi A, Kim MJ, Kawaz K. 1996. Uptake and exudation of phenolic compounds by wheat and antimicrobial components of the root exudate. Z Naturforsch 51: 527-533 

  12. Kim MJ, Hyun JO. 1997. Genetic variation in urushiol components of Rhus verniciflua Stokes. Kor J Breed 29: 115-123 

  13. Klerx JP, Benkelman CJ, Van DH, Willers JM. 1983. Microassay for colorimetric estimation of complement activity in guinea pig, human and mouse serum. J Immunol Meth 63: 215-220 

  14. Han SS, Lo SC, Choi YH, Kim MJ, Kwak SS. 1999. Antioxidative compounds in extracts of Acer ginnala Max. Korean J Medicinal Crop Sci 7: 51-57 

  15. Fumijo N, Keiichi G, Ryota S, Masayuki S, Miwa S, Yukihiko H. 1996. Scavenging effects of tea catechins and their derivatives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Free Radic Biol Med 21: 895-902 

  16. Kessler M, Ubeaud G, Jung L. 2003. Anti- and pro-oxidant activity of rutin and quercetin derivatives. J Pharm Pharmacol 55: 131-142 

  17. Shahidi F, Wanasundara PKJPD. 1992. Phenolic antioxidants. Crit Rev Food Sci Nutr 32: 67-103 

  18. Park SJ, Chung BH, Choi YS, Park SH, Kim JD. 2007.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nd bioactive components contents of Flos Sophora japonica. Kor J Oriental Physiol Pathol 21: 171-180 

  19. Rhaman MM, Alexander IG. 2002. Antimicrobial constituents from the stem bark of Feronia limonia. Phytochemistry 59: 73-77 

  20. Kim YY, Koo SJ. 1997. Anticomplementary activity and immune-stimulating effect of the extracts from barley (Hordeum vulgare). Kor J Food Sci Technol 13: 661-668 

  21. Yamada H, Yanahira S, Kiyhara H, Yon JC, Otsuka Y. 1989. Water-soluble glucans from the seed of Coix laorymajobi var. MA-Yuen. Phytochemistry 25: 129-1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