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폐기되는 대두박으로부터 분리한 사포닌이 고 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마우스의 체중, 지질 함량, 지질대사 및 내당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4주령의 C57BL/6 마우스(n=48)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식이를 급여한 정상군, 고지방을 급여한 고지방대조군, 고지방식이에 대두박 사포닌을 수준별(0.5%, 1.0%, 1.5%, w/w)로 급여한 군들과 양성대조물질인 가르시니아 캄보지아(1.0%, w/w)를 급여한 군으로 나누어 9주간 사육하였다. 체중증가량과 내장지방 (부고환 지방과 신장주변 지방) 무게는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대두박 사포닌 급여 수준에 의존적으로 낮아졌다. 캄보지아는 식이섭취량을 억제시킨 반면, 대두박 사포닌은 비만유도 마우스의 식이섭취량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혈장 중의 렙틴 함량은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대두박사포닌 보충군에서 낮았다. 대두박 사포닌 급여수준에 관계 없이 혈장의 중성지질과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유의적으로 낮아진 반면, 사포닌 급여 수준에 의존적으로 변으로 중성지질 배설은 유의적으로 높았다. 한편, 캄보지아는 변의 지질 함량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간조직 중의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함량 역시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대두박사포닌 급여군(1.5%)에서 유의적으로 개선되었으나 캄보아지군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증가되었다. 고지방식이는 정상 식이에 비하여 혈당과 내당능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나 대두박 사포닌과 캄보지아 급여는 혈당과 식후 혈당 변화를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5% 대두박사포닌 급여군의 혈당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9주 동안 고지방식이 급여는 간조직 중의 지방산 합성과 산화효소활성을 모두 증가시켰는데 합성효소의 상승이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두박 사포닌은 간조직 중의 지방산 합성과 산화효소활성을 정상화하였다. 이와 같이 대두박 사포닌은 비만유도 마우스에서 변으로의 중성지질 배설을 증가시키고 간조직에서 지질대사 관련 효소활성을 조절함으로써 체중조절과 혈당개선에 효과적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beneficial effects of crude saponins from soybean cake on body weight and glucose tolerance in high-fat (37% calories from fat) diet fed C57BL/6 mice. The mice were supplemented with three doses of saponins (0.5%, 1.0%, and 1.5%, wt/wt) and 1.0% Garcinia cambogia (wt/w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폐기되는 대두박으로 분리한 사포닌의 항비만 작용을 구명하고자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C57BL/6 마우스에게 대두박 사포닌을 수준별로 급여한 후 양성대조물질인 가르시니아 캄보시아의 효과와 비교 ·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폐기되는 대두박으로부터 분리한 사포닌이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마우스의 체중, 지질 함량, 지질대사 및 내당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4주령의 C57BL/6 마우스(n=48)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식이를 급여한 정상군, 고지방을 급여한 고지방대조군, 고지방식이에 대두박 사포닌을 수준별(0.

가설 설정

  • 2)Means in the column not sharing a common letter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p<0.05).
  • 2)Means in the row not sharing a common letter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p<0.05).
  • 4)Means in the column not sharing a common letter a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포닌은 어떤 성질을 지니고 있는가? 사포닌은 배당체 화합물로 친유기와 친수기를 모두 가지고 있어 유화제의 성질을 지니고 있다(5). 과거에는 사포닌이 단백분해 효소 저해제, 적혈구 응집소 같은 항 영양인자들이 함유되어 있고 쓴맛과 아린 맛의 주성분으로 식품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6)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사포닌의 콜레스테롤 저하작용(7), 면역반응 증진(8), 항암작용(9) 등이 보고되면서 사포닌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콩기름 생산 시 부산물로 만들어지는 탈지대두박은 어디에 사용되고 있는가? 탈지대두박은 대두에서 지방만 제거되었을 뿐 대부분의 영양소가 잔존하며 최근 밝혀진 이소플라본, 올리고당, 저분자 펩티드, 사포닌 등 기능성 물질들이 함유되어 있어 탈지대두박은 식품원료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기능성 물질의 분리 및 이용을 위한 중요한 원료로 각광 받고 있다. 그러나 탈지대두박 대부분은 가축의 사료로 이용되고 있으며 극히 소량만 국내에서 두부, 된장, 고추장 등의 장류식품에 이용될 뿐이다.
비만은 어떤 문제를 일으키는가? 비만은 대사증후군의 중요한 인자로서 여러 대사 장애를 유발하여 심혈관계 및 뇌혈관계 질환 발생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04년도 세계 성인인구의 약 16억명이 과체중(BMI≥25 kg/m2)이며 그 중 4억명 정도는 비만(BMI≥30 kg/m2)으로, 2015년에는 약 23억의 인구가 과체중이고 7억명 이상이 비만일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WHO. 2006. Obesity and overweight. Fact sheet No. 311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6.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overview 

  3. John H. 2000. Soy: health claims for soy protein, questions about other components. FDA Consumer magazine. May/June. Vol 34, No. 3 

  4. Kerckhoffs DA, Brouns F, Hornstra G, Mensink RP. 2002. Effects on the human serum lipoprotein profile of beta-glucan, soy protein and isoflavones, plant sterols and stanols, garlic and tocotrienols. J Nutr 132: 2494-2505 

  5. Wang ZW, Gu MY, Li GZ. 2005. Surface properties of gleditsia saponin and synergisms of its binary system. J Disper Sci Technol 26: 341-347 

  6. Thompson LU. 1993. Potential health benefits and problems associated with antinutrients in foods. Food Res Int 26: 131-149 

  7. Oakenfull DG, Sidhu GS. 1990. Could saponins be a useful treatment for hypercholesterolaemia? Eur J Clin Nutr 44: 79-88 

  8. Wu RT, Chiang HC, Fu WC, Chien KY, Chung YM, Horng LY. 1990. Formosanin-C, an immunomodulator with antitumor activity. Int J Immunopharmacol 12: 777-786 

  9. Tokuda H, Konoshima T, Kozuka M, Kimura T. 1991. Inhibition of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promoted mouse skin papilloma by saponins. Oncology 48: 77-80 

  10. MacDonald RS, Guo JY, Copeland J, Browning JD, Sleper D, Rottinghaus GE, Berhow MA. 2005. Environmental influences on isoflavones and saponins in soybean and their role in colon cancer. J Nutr 135: 1239-1242 

  11. Kubo M, Matsuda H, Tani T, Namba K, Arichi S, Kitagawa I. 1984. Effect of soyasaponin on experimental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I. Chem Pharm Bull 32: 1467-1471 

  12. Ohminami H, Kimura Y, Okuda H, Arichi S, Yoshikawa M, Kitagawa I. 1984. Effects of soyasaponin on liver imjury induced by highly peroxidized fat in rats. Planta Med 50: 440-441 

  13. Yoshikoshi M, Yoshiki Y, Okubo K, Seto J, Sasaki Y. Prevention of hydrogen peroxide damage by soybean saponins to mouse fibroblasts. Planta Med 62: 252-255 

  14. Kitagawa I, Yoshikawa M, Hayashi T, Taniyama T. 1984.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soyasaponins in soybeans of various origins and soybean products by means of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Yakugaku Zasshi 104: 275-279 

  15. Ireland PA, Dziedzic SZ, Kearsley MW. 1986. Saponin content of soya and some commercial soya products by means of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of the sapogenins. J Sci Food Argic 37: 694-698 

  16. Kim HJ, Hahm DH, Yang DC, Kim JH, Lee HJ, Shim I. 2005. Effect of crude saponin of Korean red ginseng on high-fat diet-induced obesity in the rat. J Pharmacol Sci 97: 124-131 

  17. Han LK, Zheng YN, Xu BJ, Okuda H, Kimura Y. 2002. Saponins from Platycodi radix ameliorate high-fat diet-induced obesity mice. J Nutr 132: 2241-2245 

  18. Karu N, Reifen R, Kerem Z. 2007. Weight gain reduction in mice fed Panax ginseng saponin, a pancreatic lipase inhibitor. J Argic Food Chem 55: 2824-2828 

  19. Yeo KE, Cho SB, Kim WJ. 2003. Separation conditions of isoflavone from defatted soybean flour with using sorption resin. Food Engineering Progress 7: 235-241 

  20. Park DJ, Ku KH, Kim SH. 1996.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of defatted soybean meal fractions obtained by microparticulation/air-classific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497-505 

  21. Park KU, Wee JJ, Kim JY, Jeong CH, Kang KS, Cho YS, Seo KI. 2005. Anticancer and immuno-activity of edible crude saponin from soybean cak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509-1513 

  22. Kim YS, Kim JS, Choi SU, Kim JS, Lee HS, Roh SH, Jeong YC, Kim YK, Ryu SY. 2005. Isolation of new saponin and cytotoxic effect of saponins from the root of Platycodon grandiflorum on human tumor cell lines. Planta Med 71: 563-566 

  23.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1977. Report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Nutrition Ad Hoc committee on standards for nutritional studies. J Nutr 107: 1340-1348 

  24. Muller PH. 1977. A fully enzymatic triglyceride determination. J Clin Chem Clin Biochem 15: 457-464 

  25. Richmond V. 1976. Use of cholesterol oxidase for assay of total and free cholesterol in serum continuous flow analysis. Clin Chem 22: 1579-1588 

  26. Folch J, Mee L, Stanley GSH. 1975.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226: 497-509 

  27. Bradford MM.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tiliz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Biochem 72: 248-254 

  28. Carl MN, Lakshmana MR, Porter JW. 1975. Fatty acid synthase from rat liver. Methods Enzymol 35: 37-44 

  29. Lazarow PB. 1981. Assay of peroxisomal β-oxidation of fatty acids. Methods Enzymol 72: 315-319 

  30. Yoo SJ. 2008.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obesity. J Korean Endocrine Soc 23: 223-233 

  31. Leonhardt M, Hrupka B, Langhans W. 2001. Effect of hydroxycitrate on food intake and body weight regain after a period of restrictive feedings in male rats. Physiol Behav 74: 191-196 

  32. DeFronzo RA. 2004. Dysfunctional fat cells, lipotoxicity and type 2 diabetes. Int J Clin Pract 143: 9-21 

  33. Banks WA. 2004. The many lives of leptin. Peptides 25: 331-338 

  34. Fruhbeck G. 2001. A heliocentric view of leptin. Pro Nutr Soc 60: 301-318 

  35. Kim YW. 2007. Leptin resistance. J Korean Endocrine Soc 22: 311-317 

  36. Mark AL, Correia ML, Rahmouni K, Haynes WG. 2004. Loss of leptin actions in obesity: two concepts with cardiovascular implications. Clin Exp Hypertens 26: 629-636 

  37. Thomas T, Burguera B, Melton LJ, Atkinson EJ, O'Fallon WM, Riggs BL, Khosla S. 2000. Relationship of serum leptin levels with body composition and sex steroid and insulin levels in men and women. Metabolism 49: 1278-1284 

  38. Lucas EA, Khalil DA, Daggy BP, Arjmandi BH. 2001. Ethanol-extracted soy protein isolate does not modulate serum cholesterol in Golden Syrian hamsters: a model of postmenopausal hypercholesterolemia. J Nutr 131: 211-214 

  39. Ghasi S, Nwobodo E, Ofili JO. 2000. Hypocholesterolemic effects of crude extract of leaf of Moringa oleifera Lam in high-fat diet fed wistar rats. J Ethnopharmacol 69: 21-25 

  40. Cho YS, Shon MY, Lee MK. 2007. Lipid-lowering action of powder and water extract of mulberry leaves in C57BL/6 mice fed high-fat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405-410 

  41. Tian WX. 2006. Inhibition of fatty acid synthase by polyphenols. Curr Med Chem 13: 967-977 

  42. Eder K, Kirchgessner M. 1998. The effect of dietary vitamin E supply and a moderately oxidized oil on activities of hepatic lipogenic enzymes in rats. Lipids 33: 277-283 

  43. Portillo MP, Chavarri M, Duran D, Rodriguez VM, Macarulla MT. 2001. Differential effects of diets that provide different lipid sources on hepatic lipogenic activities in rats under ad libitum or restricted feeding. Nutrition 17: 467-47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