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조방법에 따른 오미자 발효주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의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Omija Wines Made by Different Method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2, 2009년, pp.182 - 187  

이시형 (영남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김명희 (영남대학교 식품가공학과)

초록

경상북도 문경시에서 재배되는 오미자를 사용하여 전통적인 과실주 제조법으로 만든 오미자 발효주, 주기적인 추가 가당 및 건조오미자를 이용한 오미자 발효주의 이화학적 특징과 관능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24{\sim}28$일간의 발효과정 중 4일 간격으로 시료를 채취하여 pH를 측정한 결과 전통적인 과실주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오미자 발효주, 주기적인 추가 가당 및 건조오미자를 사용하여 제조한 오미자 발효주의 pH는 $2{\sim}3$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산도는 전통적인 과실주 제조방법으로 발효한 오미자 발효주는 2.5%로 유지되었으며 반복적으로 추가 가당을 해서 제조한 오미자 발효주는 3.3%에서 0.8%로 감소하였고 건조오미자를 사용하여 제조한 오미자 발효주는 발효 초기에 0.2%에서 발효 종료 시 9%로 높게 나타났다. 당도는 전통적인 과실주 제조방법으로 발효한 오미자 발효주와 주기적으로 추가 가당을 하여 제조한 오미자 발효주의 초기당이 $24^{\circ}Brix$에서 발효 종료 시 $9^{\circ}Brix$$6.5^{\circ}Brix$로 각각 감소하였고 건조오미자를 사용한 오미자 발효주는 $43^{\circ}Brix$에서 $34^{\circ}Brix$로 감소하였다. 알코올 함량은 3가지 방법 모두 발효 종료 시 12%로 나타났다. 효모수는 전통적인 과실주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오미자 발효주는 발효 초기에는 5.7 log CFU/mL에서 발효 종료 시는 4.3 log CFU/mL로 감소하였고, 주기적으로 추가 가당을 하여 제조한 오미자 발효주와 건조오미자를 사용한 오미자 발효주는 발효 초기에는 각각 6.5, 6.9 log CFU/mL에서 발효 종료 시는 4.4, 4.6 log CFU/mL로 감소하였다 관능평가에서 주기적으로 추가 가당한 제조방법이 색, 향, 맛, 목넘김, 종합적 기호도의 모든 항목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위의 결과들을 종합해본 결과, 오미자는 과실자체에 발효성당이 거의 없고 효모영양원이 적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영양분을 가해 준 제조방법이 가장 좋은 방법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ysicochemical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omija wines made by traditional method, adding grape juice and sugar solution periodically, and with dry omija were compared. The pH values of all omija wines were ranged $2{\sim}3$ during fermentation. The acidity value of omija wine 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효모를 이용한 오미자 발효에 관련된 연구 및 특허는 3종류가 보고되는데 Jang(15)의 건조오미자 열매의 물추출에 가당을 하여 효모를 이용하여 발효시키는 방법과 Park 등(16)의 포도즙을 주기적으로 첨가하는 오미자 발효주와 Jang 등(17)의 건조오미자를 사용하여 만든 오미자 발효주가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는 위에 보고된 제조방법을 참고하여 오미자 발효주를 제조한 후 오미자 발효주의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을 규명하고 이에 따라 가장 적합한 오미자 발효주 제조법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관능적으로 뛰어난 오미자 발효주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누룩을 이용하여 주정을 만들고 오미자즙을 첨가하는 방식의 오미자주 제조방식은 어떤 단점이 있는가? 현재 시판되고 있는 오미자주 가운데 문경시 내에서 제조되고 있는 것과 대기업에서 제조되고 있는 두 가지 오미자주는 모두 누룩을 이용하여 주정을 만들고 오미자즙을 첨가하는 방식이다. 누룩을 사용한 오미자주는 누룩 고유의 냄새 때문에 오미자 특유의 맛을 살릴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현재 효모를 이용한 오미자 발효에 관련된 연구 및 특허는 3종류가 보고되는데 Jang(15)의 건조오미자 열매의 물추출에 가당을 하여 효모를 이용하여 발효시키는 방법과 Park 등(16)의 포도즙을 주기적으로 첨가하는 오미자 발효주와 Jang 등(17)의 건조오미자를 사용하여 만든 오미자 발효주가 보고되어 있다.
국내에 분포하는 오미자는 무엇이 있는가? 오미자는 목련과에 속하는 자생목으로 우리나라에는 오미자속의 3종 및 남오미자속의 남오미자 1종이 분포하고 있다(1). 오미자는 단맛, 신맛, 매운맛, 쓴맛, 짠맛의 다섯 가지 맛이 난다고 하여 명칭이 유래된 것이며(2), 식용으로서 붉은색 추출물을 화채로 쓰거나 차, 주스, 술로도 가공하는 등 기호식품으로 이용되어진다(3).
오미자 명칭의 유래는 무엇인가? 오미자는 목련과에 속하는 자생목으로 우리나라에는 오미자속의 3종 및 남오미자속의 남오미자 1종이 분포하고 있다(1). 오미자는 단맛, 신맛, 매운맛, 쓴맛, 짠맛의 다섯 가지 맛이 난다고 하여 명칭이 유래된 것이며(2), 식용으로서 붉은색 추출물을 화채로 쓰거나 차, 주스, 술로도 가공하는 등 기호식품으로 이용되어진다(3). 오미자는 한국산이 우수하다고 하여 약용으로서도 효용이 인정되었고, 한방에서는 진정, 진해, 해열 등의 중추억제 작용과 간보호 및 혈압강하, 알코올에 대한 해독작용 및 항산화 효과 등으로 오미자가 사용되고 있다(4-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im HC, Kwon MC, Kim HS, Bae GJ, Ahn HJ, Chio GP, Choi YB, Ko JR, Lee HY. 2007. Enhancement of immune activities of Kadsure japonica Dunal. through conventional fermentation proces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5: 162-169 

  2. Lee JS, Lee MG, Lee SW. 1989. A study on the general components and minerals in par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 J Dietary Culture 4: 173-176 

  3. Kang KC, Park JH, Baek SB, Jhin HS, Rhee KS. 1992. Optimization of beverage preparation from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74-81 

  4. Kim KI, Nam JH, Kwon TW. 1973. On the proximate composition, organic acids and anthocyanin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ean J Food Sci Technol 5: 178-182 

  5. Oh SL, Kim SS, Min BY, Chung DH. 1990. Composition of free sugars, free amino acids, non-volatile organic acids and tannins in the extracts of L. chinensis M., A. acutiloba K., S. chinensis B. and A. sessiliglorum S.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76-81 

  6. Kim TC, Lee GD, Yoon HS. 1992. Antioxidative effectiveness of methanol extract in galla rhois. Kor J Food Hygiene 7: 107-112 

  7. Lee JS, Lee SW. 1990. Effect of water extract in frui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on $CCI_4$ toxicity. Kor J Dietary Culture 5: 253-257 

  8. Sheo HJ, Lee MY, Hwang GS. 1987. The effect of Schizandrae fructus extract on blood constituents of alloxan induced diabetic rabbits. J Korean Soc Food Nutr 16: 262-267 

  9. Ikeya Y, Kanatani H, Hakozaki M, Taguchi H, Mitsuhashi H. 1988. The constituents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XV. Isolation and structure determination of two new lignans, gomisin S and gomisin T. Chem Pharm Bull 36: 3974-3979 

  10. Lee JS, Lee SW. 1989. A study on the compositions of the total amino acids and free amino acids in par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 J Dietary Culture 4: 181-184 

  11. Lee JS, Lee SW. 1991. The studies of composition of fatty aci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parts of omija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Kor J Dietary Culture 6: 147-153 

  12. Kim HK, Kim YE, Do JR, Lee YC, Lee BY. 1995.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ome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80-85 

  13. Su JD, Osawa T, Kawakishi S, Namiki M. 1987. Antioxidative flavonoids isolated from Osbekia chinensis L. Agric Biol Chem 51: 2801-2803 

  14. Hyun HK, Kim HJ, Jeong HC. 2002. A study on determining chemical compositions of Schizandra chinensis. Korean J Plant Res 15: 1-7 

  15. Jang EJ. 1985.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omija wine. M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p 1-39 

  16. Park YS, Baek YH, Lee YB, Park GJ, Oh JH, Jang EJ, Kim YB. 1990. Method of omija wine. Korean Patent 90-003705 

  17. Jang SG, Jung MJ, Lee HY. 2006. Method of omijaju. Korean Patent 10-0566939 

  18. No WS, Lee SH. 2004. Zymurgy. Baek-san publishing Co., Seoul. p 114-117 

  19. AOAC. 200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7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 942 

  20. KFDA. 2006. Food Code. Korean Food Industry Association, Seoul, Korea. p 689 

  21. Cho KM, Lee JB, Kahng GG, Seo WT. 2006. A study on the making of sweet persimmon (Diospyros kaki T)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785-792 

  22. Hwang Y, Lee KK, Jung GT, Ko BR, Choi DC, Choi TG, Eun JB. 2004. Manufacturing of wine with watermel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50-57 

  23. Roh HL, Chang EH, Joeng ST, Jahng KW. 2008. Characteristics of fermentation and wine quality. Korean J Food Preserv 15: 317-324 

  24. So MH, Lee YS, Noh WS. 1999. Change in microorganisms and main components during takju brewing by modified nuruk. Korean J Food Nutr 12: 226-232 

  25. Han EH, Lee TS, Noh BS, Lee DS. 1997. Quality characteristic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55-562 

  26. Kang TS, Woo KS, Lee JS, Jeong HS. 2006.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wine using fresh jujube. Food Engineering Progress 10: 164-171 

  27. Kim JO, Jang K, Cho NC. 2001. Studies on manufacture of kiwi fruit-wine. J Korean Soc Ind Food Technol 5: 99-1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