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미자 발효액을 이용한 호밀 사워반죽(sourdough)의 발효 특성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of rye sourdough containing Omija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9 no.2, 2017년, pp.168 - 172  

변종범 (상명대학교 외식영양학과) ,  이진실 (상명대학교 외식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오미자 발효액을 이용하여 호밀 사워반죽을 제조하여 발효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제빵 이용 가능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시도되었다. 오미자 호밀 사워반죽과 호밀 사워반죽의 pH와 총산도, 효모와 젖산세균수, 팽창률을 측정하였다. 오미자 호밀 사워반죽과 호밀 사워반죽 모두 발효 시간이 경과할수록 pH는 유의적으로 감소한 반면 총산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오미자 호밀 사워반죽에 존재하는 젖산세균수는 대부분의 발효기간 중에 호밀 사워반죽 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오미자 호밀 사워반죽의 팽창률은 최고치가 183%로 호밀 사워반죽의 최고치인 129%보다 47% 이상 팽창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효모와 젖산세균이 풍부한 오미자 발효액을 호밀가루에 첨가하여 사워반죽을 제조할 경우 pH가 낮아져 발효 초기 부패균 억제 및 항진균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풍부한 효모와 젖산세균들로 인해 높은 팽창률을 보인 것으로 보아 오미자 호밀 사워반죽을 이용해 빵을 제조할 경우 부피 증가, 풍미향상 등 제빵 품질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fermentative characteristics of rye sourdough fermented with Omija extract were investigated. The pH and total titratable acidity, numbers of yeast and lactic acid bacteria, and expansion rate were measured. While the pH of Omija rye sourdough decreased from 5.60 to 3.86, the to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오미자를 발효시키면 미생물에 의해 새로운 생리활성 성분의 생성, 독성의 감소, 알파아밀레이스(α-amylase) 억제효과, 항균효과 등이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1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젖산세균과 유기산이 풍부한 오미자 발효액을 호밀 사워반죽 발효 초기에 첨가함으로써 호밀가루의 pH를 효과적으로 낮추고 부패균의 성장을 억제하여 발효를 효율적으로 유도하기 위해 할 목적으로 이용하였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제조된 호밀 사워반죽의 발효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호밀빵 제조를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오미자 발효액을 이용하여 호밀 사워반죽을 제조하여 발효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제빵 이용 가능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시도되었다. 오미자 호밀 사워반죽과 호밀 사워반죽의 pH와 총산도, 효모와 젖산세균수, 팽창률을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워반죽이란 무엇인가? 사워반죽란 밀가루와 호밀 등 곡물 가루에 물을 첨가해 재료 자체가 가지고 있는 효모와 젖산세균에 의해 발효시킨 반죽으로 전통적으로 제빵 시 팽창제로서 사용해 왔다(3). 전통적으로 호밀로 빵을 제조할 경우는 항상 사워반죽을 사용했는데 그 이유는 발효를 통해 반죽의 pH가 낮아져 내인성 아밀라아제의 활성감소로 반죽의 탄력성과 신장성을 높여줘 빵의 부피를 늘려줄 뿐 아니라 호밀빵 특유의 향미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4,5).
호밀의 또다른 명칭은 무엇인가? 호밀(Secale cereale)은 라이보리 혹은 흑밀이라고 불리는 곡물로 단백질, 지방질, 녹말, 회분, 식품섬유, 수분이 각각 15.9, 2.
오미자 발효액을 이용하여 호밀 사워반죽을 제조할 경우 나타나는 항진균 효과, 높은 팽창률은 무엇 덕분인가? 오미자 호밀 사워반죽의 팽창률은 최고치가 183%로 호밀 사워반죽의 최고치인 129%보다 47% 이상 팽창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효모와 젖산세균이 풍부한 오미자 발효액을 호밀가루에 첨가하여 사워반죽을 제조할 경우 pH가 낮아져 발효 초기 부패균 억제 및 항진균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풍부한 효모와 젖산세균들로 인해 높은 팽창률을 보인 것으로 보아 오미자 호밀 사워반죽을 이용해 빵을 제조할 경우 부피 증가, 풍미향상 등 제빵 품질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for standard reference. Release 28 slightly revised May, 2016 Basic Report 20063, Rye flour, dark. Available from: file:///C:/Users/JS%20Lee/Downloads/foodsreport%20(2).pdf. Accessed Oct. 08, 2016 

  2. Aman P, Andresson A, Rakha A, Andersson R. Rye, a healthy cereal full of dietary fiber. Cereal Food World 55: 231-234 (2010) 

  3. Ganzle MG. Enzymatic and bacterial conversions during sourdough fermentation. Food Microbiol. 37: 2-10 (2014) 

  4. Brandt MJ. Sourdough products for convenient use in baking. Food Microbiol. 24: 161-164 (2007) 

  5. Arendt EK, Ryan LAM, Dal Bello F. Impact of sourdough on the texture of bread. Food Microbiol. 24: 165-174 (2007) 

  6. Hansen A, Schieberle P. Generation of aroma compounds during sourdough fermentation: applied and fundamental aspects. Trends Food Sci. Technol. 16: 85-94 (2005) 

  7. Gobbetti M. Review. The sourdough microflora: Interactions of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s. Trends in Food Sci. Technol. 9: 267-274 (1998) 

  8. Rehman S, Paterson A, Piggott JR. Flavour in sourdough breads: A review. Trends Food Sci. Tech. 17: 557566 (2006) 

  9. Poutanen K, Flander L, Katina K. Sourdough and cereal fermentation in a nutritional perspective. Food Microbiol. 26: 693-699 (2009) 

  10. Korakli M. Gnzle MG, Vogel RF. Metabolism by bifidobacteria and lactic acid bacteria of polysaccharides from wheat and rye, and exopolysaccharides produced by Lactobacillus sanfranciscensis. J. Appl. Microbiol. 92: 958-965 (2002) 

  11. Weckx S, Meulen RV, Maes D, Scheirlinck I, Huys G, Vandamme P, Vuyst LD. Lactic acid bacteria community dynamics and metabolite production of rye sourdough fermentations share characteristics of wheat and spelt sourdough fermentations. Food Microbiol. 27: 1000-1008 (2010) 

  12. Kirchhoff E, Schieberle P. Quantitation of odor-active compounds in rye flour and rye sourdough using stable isotope dilution assays. J. Agr. Food Chem. 50: 5378-5385 (2002) 

  13. Park MA, Lee JW, Shin MS, Ly SY. Glycemic index lowering effects of breads supplemented with resistant starch, whole rye grain and fructooligosaccharide. Korean J. Commun. Nutr. 12: 189-197 (2007) 

  14. Yu SH. Effects of Rye flour on baking and storage properties of bagel. MS Thesis. Kyungwon University. Seongnam, Gyeonggi, Korea (2005) 

  15. Jeong HS, Joo NM. Optimization of rheological properties for the processing of Omija-pyun(Omija jelly)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Cook. Sci. 19: 429-438 (2003) 

  16. Oh SL, Kim SS, Min SY, Chung DH. Composition of free sugars, free amino acids, non-volatile organic acids and tannins in the extracts of L. chinensis M, A. acutiloba K., S. chinensis B. and A. sessiliflorum S.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76-81 (1990) 

  17. Cho HE. Studies on the biological activity of fermented Omija beverage and hot water extracts of Omija. MS Thesis. Silla University, Busan, Korea (2010) 

  18. AOAC. Official Method of Analysis of AOAC Intl. 16th ed. Method 991.43.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Arlington, VA, USA (1995) 

  19. An HL Lee KS.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n bread with sourdough starters from added domestic wheat flour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996-1008 (2009) 

  20. AACC. Approved Methods of the AACC, 8th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1983) 

  21. Torrieri E, Pepe O, Ventorino V, Masi P, Cavella S. Effect of sourdough at different con-centrations on quality and shelf life of bread. LWT-Food Sci. Technol. 56: 508-516 (2014) 

  22. Kline L, Sugihara TF. Microorganisms of the San Francisco sourdough bread process II: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undescribed bacterial species responsible for souring activity. Appl. Environ. Microb. 21: 459-465 (1971) 

  23. Corsetti A, Gobbetti M, Balestrieri F, Paoletti F, Russi L, Rossi J. sourdough lactic acid bacteria effects on bread firmness and staling. J. Food Sci. 63: 347-351 (1998) 

  24. Chae DJ, Lee KS, Jang KH. sourdough and bread properties utilizing different ratios of probiotics and yeast as starters.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45-50 (2011) 

  25. Lee JY, Lee SK, Cho NJ, Park WJ. Development of the formula for natural read-making start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245-1252 (2003) 

  26. Byun JB, Lee J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ice sourdough fermented with Omija extract. Korean J. Culin. Res. 21: 218-228 (2015) 

  27. Vogelmann SA, Seitter M, Singer U, Brandt MJ, Hertel C. Adaptability of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s to sourdoughs prepared from cereals, pseudocereals and cassava and use of competitive strains as starters. Int. J. Food. Microbiol. 130: 205-212 (2009) 

  28. Corsetti A, Gobbetti M, Rossi J, Damiani P. Antimould activity of sourdough lactic acid bacteria: Identification of a mixture of organic acids produced by Lactobacillus sanfrancisco CB1. Appl. Microbiol. Biot. 50: 253-256 (1998) 

  29. Di Monaco R, Torrieri E, Pepe O, Masi P, Cavella S. Effect of sourdough with exopolysaccharide (EPS)-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LAB) on sensory quality of bread during shelf life. Food Bioprocess Technol. 8: 691701 (2015) 

  30. Birch AN, Petersen MA, Hansen S. The aroma profile of wheat bread crumb influenced by yeast concentration and fermentation temperature. LWT-Food Sci. Technol. 50: 480-488 (2013) 

  31. Chiotellis E, Campbell GM. Proving of bread dough II: Measurement of gas production and retention. Food Bioprod. Process. 81: 207-216 (2003) 

  32. Gandikota S, MacRitchie F. Expansion capacity of doughs: methodology and applications. J. Cereal Sci. 42: 157-163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