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매생이 열수추출물이 흰쥐의 필수아미노산 흡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psosiphon fulvescens Extracts on Essential Amino Acids Absorption in Rat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9 no.11 = no.115, 2009년, pp.1591 - 1597  

김효영 (부경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  김인혜 (부경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  남택정 (부경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실험의 목적은 해조류 중 특히 필수 아미노산 함량이 높은 매생이 열수 추출물(Capsosiphon fulvescens Extracts, CFE) 5%를 첨가한 식이를 급이 시켜 흰쥐에게 10일간의 단백질 소화율, 혈중 필수 아미노산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사료의 품질 및 필수 아미노산 대사와 관련된 연구에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본 실험을 하였다. CFE의 급이에 따른 단백질 소화율을 살펴 본 결과, casein 그룹의 경우 단백질 소화율이 약 97%인 반면 CFE가 포함된 그룹의 경우 87%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식이에 CFE 첨가 시 단백질 소화율이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문맥 혈청 중의 아미노산에서 특히 필수 아미노산의 혈중 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식이 후 30, 60, 90, 120분별로 살펴보았다. 총아미노산과 필수 아미노산의 농도는 두개의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BCAA에 속하는 Leu, Ile, Val은 C군에 비해 CFE군에서 흡수속도가 증가하였으며 AAA에 속하는 Phe 또한 동일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간문맥 혈중의 Lys, Thr, Met의 경우, C군에 비해 CFE군에서 흡수속도가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실험을 통해 식이섬유인 매생이 열수추출물을 섭취함으로서 간이나 뇌, 조직 등으로 흡수되는 혈중 필수 아미노산의 흡수속도를 증가시키거나 지연시킴으로서 단백질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단백질 식이에 매생이 열수추출물을 첨가할 경우 혈중 아미노산 흡수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 하였으며 이후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apsosiphon fulvescens extract (CFE) on levels of essential amino acids in serum and the rate of protein digestion. CFE contains approximately 68% carbohydrate as fiber, 17% crude ash, and 14% crude protein. Experimental rats were divided two grou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매생 이 열수추출물(Cescens Extracts: CFE) 5%를 첨가한 식이가 간문맥을 통과하는 혈 중 필수아미노산 흡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고 혈장 필수 아미노산 대사와 관련된 연구에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 CFE의 급이에 따라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시간에 따른 필수 아미노산의 흡수 정도가 변하였으므로, 각각의 필수 아미노산의 흡수 정도를 살펴보았다.
  • 인체의 소화효소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 식이섬유는 단백질과 같은 에너지원의 흡수를 억제하여 분변으로의 배출을 촉진한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이로 인한 소장내에서의 단백질 분해로 생성된 유리아미노산의 흡수에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해 보기 위해 CFE를 첨가한 식이가 간문맥의 혈 중 아미노산 농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흰쥐에 실험식이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제공하여 식이 훈련을 시켰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liding, C. A. 1963. Critical survey of european taxa in ulvales. Part I. Capsosiphon, Percursaria, Blidingia, Enterromorpha. Opera Botanica. 8, 1-160 

  2. Blomstrand, E., F. Celsing, and E. A. Newsholme. 1988. Changes in plasma concentrations of aromatic and branched chain amino acids during sustained exercise in man and their possible role in fatigue. Acta. Physiol. Scand. 133, 115-121 

  3. Boomgaardt, J. and B. E. McDonarld. 1969. Comparison of fasting plasma amino acid patterns in the pig, rat, and chicken. Can. J. Physiol. Pharmacol. 47, 392-395 

  4. Cadlers, P., D. Matthys, W. Derave, and J. L. Pannier. 1999. Effect of branched-chain amino acids(BCAA), glucose, and glucose plus BCAA on endurance performance in rats. Med. Sci. Sports. Exerc. 31, 583-587 

  5. Chihara, M. 1967. Developmental morphology and systematics of Capsosiphon fulvescens as found in Izu, Japan. Bull . Nat. Sci. Mus. Tokyo 10, 163-170 

  6. Christensen, H. N. 1990. Role of amino acid transport and countertransport in nutrition and metabolism. Physiol. Rev. 70, 43-77 

  7. Cummings, J. H., M. J. Hill, O. J. Jenkins, J. R. Pearson, and H. S. Wigging. 1976. Changes in fecal composition and colonic function due to cereal fiber. Am. J. Clin. Nutr. 29, 1468-1473 

  8. Fernstram, J. D. and D. V. Faller. 1978. Neutral amino acids in the brain; changes in response to food ingestion. J. Neurochemistry 30, 1531-1538 

  9. Fernstron, J. D., R. J. Wurtman, B. Hanmmarstron-Wiklund, W. M. Rand, H. N. Muro, and C. S. Davidson. 1979, Diurnal variations in plasma concentrations of tryptophan, tyrosine, and other neutral amino acid: effect of dietary protein intake. Am J. Clin. Nutr. 32, 1912-1922 

  10. Freund, H., N. Yoshimura, L. Lunetta, and J. E. Ficher. 1978. The role of the branched chain amino acids in decreasing muscle catabolism in vivo. Surgery 83, 611-618 

  11. Carbary, D., L. Colden, and R. F. Scagel. 1982. Capsosiphon fulvescens (Capsosiphonaceae, Chlorophyta) rediscovered in the northeast Pacific. Syesis. 15, 39-42 

  12. Han,L. K., K. Kwon, K. H. Ra, and M. I. Yoo. 1978. Protein sparing effect of L-Iysine in the rations of weanling pigs and growing-finishing hogs. Korean J. Animal Sci. 20, 566-578 

  13. Ikegami, S., N. Tsuchihashi, S. Nagayama, H. Harada, E. Nishide, and S. Innami. 1983. Effect of indigestible polysaccharides on function of digestion and absorption in rats. J. Jpn. Soc. Nutr. Food Sci. 36, 163-168 

  14. Jung, E. J. 2007. Effect of CFE (Capsosiphon fulvescens Extracts)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 M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5. Jung, K. J., C. H. Jung, J. H. Pyeun, and Y. J. Choi. 2005. Changes of food components in mesangi (Capsosiphon fulvecense), gashiparae (Enteromorpha prolifera), and cheonggak (Codium fragile) depending on harvest ti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687-693 

  16. Kerksick, C. M., C. J. Rasmussen, S. L. Lancaster, and R. B. Kreider. 2006. The effects of protein and amino acid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and training adaptations during ten weeks of resistance training. J. Strength Cond. Res. 20, 643-653 

  17. Kim, I. H. and T. J. Nam. 2005. Effects of polymannuronate on cholesterol contents of liver tissue and feces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553-1558 

  18. Kwon, M. J. and T. J. Nam. 2006. Effect of mesangi (Capsosiphon fulvescens) power on lipid metabolism in high cholesterol f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530-535 

  19. Lee, J. H., E. J. Kwak, J. S. Kim, and Y. S. Lee.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added with mesangi (Capsosiphon fulvescens) pow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83-89 

  20. Lee, J. H., Y. M. Lee, J. J. Lee, and M. Y. Lee. 2006. Effects of Capsosiphon fulvescens extract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cholesterol die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402-409 

  21. Lehmann, M., H. Mann, U. Gastmann, J. Keut D. Vetter, J. M. Steinacker, and D. Haussinger. 1996. Unaccustomed high-mileage vs intensity training-related changes in performance and serum amino acid levels. Int. J. Sports Med. 17, 187-192 

  22. Marchesini, G., A. Fabbri, G. Bianchi, and E. Bugianesi. 1995. Branched-chain amino acids in liver disease, pp. 337, In Clynober, L. A. (ed.), Amino acid metabolism and therapy in health and nutrition disease. CRC Press, Boca Raton 

  23. McLaughlan, J. M. 1964. Blood amino acid studies. V. Determination of the limiting amino acid in diets. Can J. Biochem. Physiol. 42, 1353-1360 

  24. Migita, S. 1967. Life cycle of Capsosiphon fulvescens (c. Agardh) Setchell and Gardner. Bull. Fac. Fish. Nagasaki Univ., 22, 21-31 

  25. Mourier, A., A. X. Bigard, E. de Kerviler, B. Roger, H. Legrand, and C. Y. Guezennec. 1997. Combined effects of caloric restriction and branched-chain amino acid supplementation on body composition and exercise performance in elite wrestlers. Int. J. Sports Med. 18, 47-55 

  26. Mun, Y. J., H. J. Yoo, K. E. Lee, J. H. Kim, H. B. Pyo, and W. H. Woo. 2005. Inhibitory effect on the melanogenesis of Capsosiphon fulvescens. Yakhak Hoeji 49, 375-379 

  27. Na, J. C. 2003. Changes of plasma amino acids concentration during graded maximal exercise and moderate- vs high- intensity exercise in men. Korean J. Exr. Nutr. 7, 247-255 

  28. Odessey, R., E. A. Khairaiiah, and A. L. Goldberg. 1974. Origin and possible significance of alanine production by skeletal muscle. J. Biological Chemistry 249, 7623-7629 

  29. Orlowski, M. G., J. P. Sessa, and J. P. Green. 1974. Glutamyl transpeptidase in brain capilaries: Possible site of a blood brain barrier for amino acid. Science 184, 66-68 

  30. Park, H. Y., C. W. Lim, Y. K. Kim, H. D. Yoon, and K. J. Lee. 2006. Immunostimulating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from Capsosiphon fulvescens. J. Korean Soc. Appl. BioI. Chem. 49, 343-348 

  31. Park, M. H. and M. Kim. 2006. Effect of Capsosiphon fulvescens extract on collagen content of connective tissues in ovariectomized rats. J. Life Sci. 16, 1219-1224 

  32. Ryu, H. S., L. D. Satterlee, and K. H. Lee. 1982. Nitrogen conversion factors and in vitro protein digestibility of some seaweeds. Bull. Korean Fish. Soc. 15, 263-270 

  33. Satterlee, L. D., H. F. Marshall, and J. M. Tennyson. 1979. Measuring protein quality. J. Am. Oil Chem. Soc. 56, 103-109 

  34. Schneeman, B. O. and D. Gallaher. 1980. Changes in small intestinal digestive enzyme activity and bile acid with dietry cellulose in rats. J. Nutr. 110, 584-590 

  35. Yang, H. C., K. M. Jung, K. S. Gang, B. J. Song, H. C. Lim, H. S. Na, and H. M. Heo. 2005.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seaweed fulvescens (Capsosiphon fulvesce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912-9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