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과 경남 일부지역에 소재한 치위생(학)과 학생 251명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조사하여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구강건강증진 및 유지 활동에 효율적으로 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으며 자기기입식 설문방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노인에 대한 지식의 전체 평균 점수는 25점 만점에 11.78점(정답률 47.12%)으로 지식정도가 전체적으로 낮은 수준이었으며, 영역별로는 신체적 생리적 영역이 평균 7.33점(정답률 66.63%)으로 가장 높았고, 심리적 영역, 가족 및 사회적 영역의 평균은 각각 2.20점(정답률 36.6%), 2.24점(정답률 28%)으로 나타나 낮은 점수를 보였다. 2. 일반적 특징에 따른 노인에 대한 지식 차이는 노인관련 교육 수강 시 자신의 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노인에 대한 지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또한 졸업 후 노인구강보건사업에 참여하겠다고 응답한 대상자들이 참여하지 않겠다고 응답한 대상자 보다 노인에 대한 지식이 높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3. 노인에 대한 태도의 전체 평균은 98.58점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에서는 개인 이미지 측면이 45점 만점 중 29.45점, 대인 관계적 측면 80점 만점 중 57.56점, 복지적인 측면은 15점 만점에 11.56점으로서 복지 측면이 가장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에서 개인 이미지는 노인과 동거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p<.05)와 졸업 후 노인구강보건사업에 참여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에게서 노인에 대한 개인이미지가 더욱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대인관계에서는 노인에 대한 관련 교육을 수강한다면 노인에 대한 자신의 태도에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응답한 대상자(p<.05)와 졸업 후 노인구강보건사업 참여한 의사가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에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p<.001). 복지적 측면에서는 노인과 동거한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동거경험이 없는 대상자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p<.05). 5.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간의 상관관계는 (r=.360, p < .01) 수준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고 노인에 대한 신체적 생리적 영역, 심리적 영역, 가족 및 사회적 영역의 지식이 높을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경과에서 노인과 관련된 치위생(학)과 교육내용 개발 시 노인들에 대한 신체적 생리적인 측면은 물론 심리적, 가족 및 사회적 영역의 교육이 강화되어져야 할 것 이며 더불어 학생들을 노인과 관련된 기관 즉 노인요양기관 및 노인복지관 등에서의 실습을 실시하게 하여 젊은 세대와 노인세대간의 관계를 향상시키고 이들 간에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유발시킬 수 있는 세대 공동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매우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경북과 경남 일부지역에 소재한 치위생(학)과 학생 251명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조사하여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구강건강증진 및 유지 활동에 효율적으로 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으며 자기기입식 설문방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노인에 대한 지식의 전체 평균 점수는 25점 만점에 11.78점(정답률 47.12%)으로 지식정도가 전체적으로 낮은 수준이었으며, 영역별로는 신체적 생리적 영역이 평균 7.33점(정답률 66.63%)으로 가장 높았고, 심리적 영역, 가족 및 사회적 영역의 평균은 각각 2.20점(정답률 36.6%), 2.24점(정답률 28%)으로 나타나 낮은 점수를 보였다. 2. 일반적 특징에 따른 노인에 대한 지식 차이는 노인관련 교육 수강 시 자신의 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노인에 대한 지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또한 졸업 후 노인구강보건사업에 참여하겠다고 응답한 대상자들이 참여하지 않겠다고 응답한 대상자 보다 노인에 대한 지식이 높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3. 노인에 대한 태도의 전체 평균은 98.58점으로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에서는 개인 이미지 측면이 45점 만점 중 29.45점, 대인 관계적 측면 80점 만점 중 57.56점, 복지적인 측면은 15점 만점에 11.56점으로서 복지 측면이 가장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4.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에서 개인 이미지는 노인과 동거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p<.05)와 졸업 후 노인구강보건사업에 참여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에게서 노인에 대한 개인이미지가 더욱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대인관계에서는 노인에 대한 관련 교육을 수강한다면 노인에 대한 자신의 태도에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응답한 대상자(p<.05)와 졸업 후 노인구강보건사업 참여한 의사가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에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p<.001). 복지적 측면에서는 노인과 동거한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동거경험이 없는 대상자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p<.05). 5.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간의 상관관계는 (r=.360, p < .01) 수준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고 노인에 대한 신체적 생리적 영역, 심리적 영역, 가족 및 사회적 영역의 지식이 높을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경과에서 노인과 관련된 치위생(학)과 교육내용 개발 시 노인들에 대한 신체적 생리적인 측면은 물론 심리적, 가족 및 사회적 영역의 교육이 강화되어져야 할 것 이며 더불어 학생들을 노인과 관련된 기관 즉 노인요양기관 및 노인복지관 등에서의 실습을 실시하게 하여 젊은 세대와 노인세대간의 관계를 향상시키고 이들 간에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유발시킬 수 있는 세대 공동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매우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study conducted research investigating their about knowledge and attitude of toward elderly aimed at 251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located in some areas of Gyeongbuk and Gyeongnam. The total average score concerning knowledge about the elderly was found to be 11.78 out of a fu...
The study conducted research investigating their about knowledge and attitude of toward elderly aimed at 251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located in some areas of Gyeongbuk and Gyeongnam. The total average score concerning knowledge about the elderly was found to be 11.78 out of a full score of 25 points, and the level of physical and physiological knowledge was the highest. As regards the total average of th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it posted at 98.58 points out of a full score of 150 points and the attitude regarding the aspect of welfare was the most positive. About toward elderly correlation of knowledge and attitude between higher knowledge score more positive was attitude about toward elderly. From the above results, it would be necessary to reinforce not only the physical and physiological aspect of the elderly but also the education in the family and social areas during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in relation to the elderly. Furthermore, it is deemed imperative to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ounger generations and the elder generation by having students practice in institutions related to the elderly, such as institutions for senior nursing and senior welfare centers and to develop a generational community program that will provoke positive interactions between them.
The study conducted research investigating their about knowledge and attitude of toward elderly aimed at 251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located in some areas of Gyeongbuk and Gyeongnam. The total average score concerning knowledge about the elderly was found to be 11.78 out of a full score of 25 points, and the level of physical and physiological knowledge was the highest. As regards the total average of the attitude toward the elderly, it posted at 98.58 points out of a full score of 150 points and the attitude regarding the aspect of welfare was the most positive. About toward elderly correlation of knowledge and attitude between higher knowledge score more positive was attitude about toward elderly. From the above results, it would be necessary to reinforce not only the physical and physiological aspect of the elderly but also the education in the family and social areas during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for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in relation to the elderly. Furthermore, it is deemed imperative to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ounger generations and the elder generation by having students practice in institutions related to the elderly, such as institutions for senior nursing and senior welfare centers and to develop a generational community program that will provoke positive interactions between them.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경북과 경남 일부지역에 소재한 치위생(학)과 학생 251 명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조사하여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구강건강증진 및 유지 활동에 효율적으로 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으며 자기기입식 설문방법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결론을 얻었다.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 면허증을 취득한 후 노인의 구강건강 증진 및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야 할 치위생(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조사하여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노인구강건강증진에 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한다15). 이에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지식 및 태도를 조사하여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노인구강건강증진에 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제안 방법
본 연구의 도구는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9문항과 지식 25문항, 태도 3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사용하였다. 평가를 위해서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였으며 개인 이미지(노인에 대한 학생개인의 이미지),대인관계(노인들의 대인관계에 대한 학생 개인의 태도), 복지 측면(우리나라의 노인복지에 대한 학생 개인의 태도)으로 나누어 3가지 하위측면을 조사하여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중간 정도’ 3점,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으로 평가하였다. 개인 이미지 측면은 9문항, 대인관계 측면 18문항, 복지측면은 3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이 중 긍정적인 문항 14문항과 부정적인 문항 16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정적인 문항의 경우 역산하여 긍정적인 문항과 같은 방향으로 평가하였다.
평가를 위해서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였으며 개인 이미지(노인에 대한 학생개인의 이미지),대인관계(노인들의 대인관계에 대한 학생 개인의 태도), 복지 측면(우리나라의 노인복지에 대한 학생 개인의 태도)으로 나누어 3가지 하위측면을 조사하여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중간 정도’ 3점,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으로 평가하였다. 개인 이미지 측면은 9문항, 대인관계 측면 18문항, 복지측면은 3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이 중 긍정적인 문항 14문항과 부정적인 문항 16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정적인 문항의 경우 역산하여 긍정적인 문항과 같은 방향으로 평가하였다. 그러므로 점수가 높을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을 뜻하며 설문지의 전체 신뢰도 Cronbach’s alpha 값은 .
대상 데이터
본 연구는 4월부터 5월까시 약 한달 간 실시하였으머 M시와 D시, A시에 있는 총 3개의 대학 치위생(학)과 3학년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중심으로 자가기입식 설문지 기록법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255부가 회수되었으며 이 중 응답 내용이 불성실한 4부를 제외한 251 부를 최종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255부가 회수되었으며 이 중 응답 내용이 불성실한 4부를 제외한 251 부를 최종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데이터처리
SPSS Ver.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노인에 대한 지식 정도를 알아보기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인의 지식 및 태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One-way ANOVA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노인에 대한 지식및 태도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상관관계 분석을 사용하였다.
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노인에 대한 지식 정도를 알아보기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노인의 지식 및 태도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One-way ANOVA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노인에 대한 지식및 태도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상관관계 분석을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노인에 대한 지식을 측정하는 도구는 Palmore10)에 의해 처음 개발 되고 1998년에 수정 보완 된 Tru-False vereion의 Facts On Aging Quiz Part I(FAQ 1)를 양 등11)이 한국 노인의 실정에 맞게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 도구는 총 25문항으로 신체적 영역(11문항), 심리적 영역(6문항), 사회적 영역(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응답자들이 문항을 읽고 ‘그렇다’, ‘아니다’, ‘잘 모르겠다’를 선택하여 표시하게 된다.
노인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노인과 노화에 대한 국내외의 선행연구와 심리학 문헌들을 참고로 하여 작성한 이12)의 101문항을 30문항으로 재구성한 이13)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평가를 위해서 Likert 5점 척도를 이용하였으며 개인 이미지(노인에 대한 학생개인의 이미지),대인관계(노인들의 대인관계에 대한 학생 개인의 태도), 복지 측면(우리나라의 노인복지에 대한 학생 개인의 태도)으로 나누어 3가지 하위측면을 조사하여 ‘전혀 그렇지 않다’ 1점, ‘그렇지 않다’ 2점, ‘중간 정도’ 3점, ‘그렇다’ 4점, ‘매우 그렇다’ 5점으로 평가하였다.
성능/효과
또한 졸업 후 노인구강보건사업에 대한 참여의사에 대해서는 참여하겠다고 응답한 대상자들이 참여하지 않겠다고 응답한 대상자 보다 노인에 대한 지식이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그러나 종교, 주요 성장지, 노인과의 동거 경험여부, 노인관련 자원봉사 경험 유 · 무, 노인관련 강의 수강 경험에서는 노인에 대한 지식과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Table 4).
2. 일반적 특징에 따른 노인에 대한 지식 차이는 노인관련 교육 수강 시 자신의 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한 대상자가 노인에 대한 지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또한 졸업 후 노인구강보건사업에 참여하겠다고 응답한 대상자들이 참여하지 않겠다고 응답한 대상자 보다 노인에 대한 지식이 높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01). 또한 졸업 후 노인구강보건사업에 참여하겠다고 응답한 대상자들이 참여하지 않겠다고 응답한 대상자 보다 노인에 대한 지식이 높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001). 복지적 측면에서는 노인과 동거한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동거 경험이 없는 대상자보다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p<.05).
6%로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자들의 주요 성장지는중소도시가 64.5%로 가장 많았으며 농촌에서 성장한 경우는 17.9%, 대도시에서 성장한 경우도 17.5%로 나타났다. 노인과의 동거경험 여부에서는 동거경험이 있는 경우가 55.
노인과 관련된 전문적인 구강보건 교육을 받는다면 노인에 대한 자신의 태도에 영향을 미치겠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91.6%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졸업 후 노인구상보건 사업에 대한 참여의사에 대해서는 참여하겠다가 74.
6%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졸업 후 노인구상보건 사업에 대한 참여의사에 대해서는 참여하겠다가 74.5%로 참여 의사가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Table 1).
20, 21, 22, 25번-8개 문항)의 범주로 나눌 수 있다. 조사대상자의 지식에 대한 전체 평균은 25 점 만점에 11.78점이였으며 정답률 47.12%로 나타났다. 영역별 정답률을 살펴보면 신체적 · 생리적 영역문항의 평균은 7.
12%로 나타났다. 영역별 정답률을 살펴보면 신체적 · 생리적 영역문항의 평균은 7.33점으로 정답률 66.63%인데 비하여 심리적 영역, 가족 및 사회적 영역의 평균은 각각 2.20, 2.24 로 36.6%, 28%에 불과했다(Table 3).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노인에 대한 지식 차이를 살펴보면 노인관련 교육 수강 시 자신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노인에 대한 지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1).
05). 그러나 종교, 주요 성장지, 노인과의 동거 경험여부, 노인관련 자원봉사 경험 유 · 무, 노인관련 강의 수강 경험에서는 노인에 대한 지식과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Table 4).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노인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노인과 동거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경험이 없는 대상자보다 노인에 대한 개인 이미지가 더욱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나 통계석으로 유의한 자이를 보였다(p<.05). 또한 노인에 대한 전문적이고 심도깊은 교육을 수강한다면 자신의 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한 대상자(p< .
001)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복지적 측면에서는 노인과 동거한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동거 경험이 없는 대상자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5)(Table 6).
이)M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노인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영역은 신체적생리적 영역(r = .l84, p<.01)과 심리적 영역(r = .351, p<.01), 가족 및 사회적 영역(r=.202, p<.01)으로 노인에 대한신체적 생리적 영역의 지식, 심리적 영역의 지식, 가족 및 사회적 영역지식이 높을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Table 7).
12%)이었으며 신체적 . 생리적 영역의 정답률에 비해 심리적 영역, 가족 및 사회적 영역의 정답률이 비교적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결과는 Palmore10)가 분석한 집단들의 평균정답률의 범위인 54-66%에 비해 낮았으며, 국내에서 윤과 조16)가 일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의 평균 정답률인 54.
각 영역별 노인에 대한 지식수준은 신체적 . 생리적 영역이 비교적 높고 심리적 영역과 가족 및 사회적 심리적영역은 낮아 우리나라 치위생(학)과 학생들은 노화와 관련된 심리적, 그리고 가족 및 사회적 영역의 지식이 매우 부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간호학과 대학생을 중심으로 선행 연구한 양 등11)과 일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선행 연구한 서와 김18)의 연구 결과와 일치된 결과를 보였다.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노인에 대한 지식의 제공 및 강화가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계은 노화에 관하여 정확한 지식을 많이 가질수록 부정적인 편견이 적고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하여 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보고한 바 있어 이에 치위생(학)과 학생들이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필요성이 강력히 제기되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4.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노인에 대한 태도에서 개인 이미지는 노인과 동거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 (p와 졸업 후 노인구강보건사업에 참여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에게서 노인에 대한 개인 이미지가 더욱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001). 대인관계에서는 노인과 관련한 전문교육이 노인에 대한 자신의 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한 대상자와(p < .05) 졸업 후 노인구강보건사업에 참여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도(p<.001)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복지적 측면에서는 노인과 동거한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동거 경험이 없는 대상자보다 긍정적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
1. 노인에 대한 지식의 전체 평균 점수는 25점 만점에 11.78점(정답률 47.12%)으.로 지식정도가 전체적으로 낮은 수준이었으며, 영역별로는 신체적 · 생리적 영역이 평균 7.
12%)으.로 지식정도가 전체적으로 낮은 수준이었으며, 영역별로는 신체적 · 생리적 영역이 평균 7.33점(정답 률 66.63%)로 가장 높았고, 심리적 영역. 가족 및 사회적 영역의 평균은 각각 2.
3. 노인에 대한 태도의 전체 평균은 98.58점= 긍정적으로나타났으며, 하위영역에서는 개인 이미지 측면이 45점 만점 중 29.45점, 대인 관계적 측면 80점 만점 중 57.56점, 복지적인 측면은 15점 만점에 11.56 점으로서 복지 측면이 가장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5. 노인에 대한 지식과 태도간의 상관관계는 (r=.36O, p<.01) 수준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고 노인에 대한 신체적 생리적 영역, 심리적 영역, 가족 및 사회적 영역의 지식이 높을수록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
시 노인들에 대한 신체적 . 생리적인 측면은 물론 심리적, 가족 및 사회적 영역의 교육이 강화되어져야 할 것이며 더불어 학생들을 노인과 관련된 기관 즉 노인요양기관 및 노인복지관 등에서의 실습을 실시하게 하여 젊은세대와 노인세대간의 관계를 향상시키고 이들 간에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유발시킬 수 있는 세대 공동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매우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노인과의 단순한 관계보다는 얼마나 깊은 상호작용을 가지며 서로를 공감하는가 하는 관계의 질과 내용이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각 세대별로 다른 세대를 알고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주는 것이 서로를 이해하고 갈등도 줄일 수 있어 좀 더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복지적인 측면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서는 자원봉사를 한 경험이 있는 집단에서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여 노인에 대한 봉사경험이 있는 간호사들이 봉사경험이 없는 간호사들 보다 긍정적이 태도를 보인강20)의 연구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경북과 경남 일부지역에 소재한 대학의 치위생(학)과 학생들을 대상= 연구가 이루어졌으므로 연구결과를 치위생(학)과 학생의 전체로 일반화시키기에는 무리가 따르며 향후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전국 치위생(학)과 학생들을 중심으로 계속적이고 심도 깊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