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송이버섯과 키토산을 첨가한 사과 드레싱 소스의 품질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Quality of Apple Dressing Sauce Added with Pine Mushroom(Tricholoma matsutake Sing) and Chitosan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6 no.1, 2009년, pp.60 - 67  

홍주연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  최영준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  김미현 (대구과학대학 식품영양조리계열) ,  신승렬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독특한 향과 기능성이 우수한 송이를 이용한 기능성 소스의 개발과 품질변화를 측정하고자 송이를 첨가한 사과 드레싱 소스를 제조하여 관능검사 및 저장 중 품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송이버섯을 첨가한 소스의 관능검사 결과는 맛과 향은 송이를 첨가한 사과 드레싱 소스와 송이 및 키토산 첨가한 사과 드레싱 소스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전체적인 선호도는 키토산 첨가 사과 드레싱 소스가 낮은 점수를 보인 반면, 송이 첨가한 사과 드레싱 소스 및 송이와 키토산을 첨가한 사과 드레싱 소스에서는 비슷한 점수를 보였다. 송이를 이용한 사과 드레싱 소스의 색도는 저장기간 동안 명도(L), 적색도(a), 황색도(b)의 값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송이를 첨가한 사과 드레싱 소스는 저장초기에 약간의 색도(L, a, b 값)의 변화가 있었으나 이후 큰 변화가 없었다. 사과 드레싱 소스의 점도(cP)는 모든 군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약간 증가하였다. 송이 사과드레싱 소스의 저장에 따른 pH의 변화는 $4^{\circ}C$ 모든 군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pH가 감소하였으나 저장 30일째 pH가 다소 증가하였다. 모든 사과드레싱의 적정산도는 저장 중에 다소 증가하였다. $4^{\circ}C$ 저장 중 사과 드레싱 소스의 총균수변화는 저장초기에 송이를 첨가한 사과 드레싱 소스이 $1.7{\times}10^{2}CFU/g$ 으로서 가장 낮은 균수를 나타내었고,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모든 군에서 다소 증가하여 저장 60일째에는 사과 드레싱 소스에서 가장 높은 $8.7{\times}10^{3}CFU/g$의 균수이었다. 이상의 결과로써 송이를 이용한 사과 드레싱 소스를 제조한 후 저장성에 따른 여러 실험을 한 결과 우수한 저장성을 나타냄에 따라 우수한 식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the apple dressing sauce added pine 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Sing.) and chitosan which has excellent functionality and scent. An apple dressing sauce with pine added to it was manufactured and tested for sensuality and also for quality changes dur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독특한 향과 더불어 영양성분과 기능성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소스의 부재료로 활용하지 않았던 송이버섯과 다양한 기능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키토산을 첨가한 기능성 소스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는 독특한 향과 기능성이 우수한 송이를 이용한 기능성 소스의 개발과 품질변화를 측정하고자 송이를 첨가한 사과 드레싱 소스를 제조하여 관능검사 및 저장 중 품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송이버섯을 첨가한 소스의 관능검사 결과는 맛과 향은 송이를 첨가한 사과 드레싱 소스와 송이 및 키토산 첨가한 사과 드레싱 소스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송이를 첨가한 사과 드레싱 소스를 제조하여 관능검사 및 저장 중 품질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본 연구는 독특한 향과 기능성이 우수한 송이를 이용한 기능성 소스의 개발과 품질변화를 측정하고자 송이를 첨가한 사과 드레싱 소스를 제조하여 관능검사 및 저장 중 품질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송이버섯을 첨가한 소스의 관능검사 결과는 맛과 향은 송이를 첨가한 사과 드레싱 소스와 송이 및 키토산 첨가한 사과 드레싱 소스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전체적인 선호도는 키토산 첨가 사과 드레싱 소스가 낮은 점수를 보인 반면, 송이 첨가한 사과 드레싱 소스 및 송이와 키토산을 첨가한 사과 드레싱 소스에서는 비슷한 점수를 보였다. 송이를 이용한 사과 드레싱 소스의 색도는 저장기간 동안 명도(L), 적색도(a), 황색도(b)의 값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송이를 첨가한 사과 드레싱 소스는 저장초기에 약간의 색도(L, a, b 값)의 변화가 있었으나 이후 큰 변화가 없었다. 사과 드레싱 소스의 점도(cP)는 모든 군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약간 증가하였다. 송이 사과드레싱소스의 저장에 따른 pH의 변화는 4℃ 모든 군에서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pH가 감소하였으나 저장 30일째 pH가 다소 증가하였다. 모든 사과드레싱의 적정산도는 저장 중에 다소 증가하였다. 4℃ 저장 중 사과 드레싱 소스의 총균수 변화는 저장초기에 송이를 첨가한 사과 드레싱 소스이 1.7× 102 CFU/g 으로서 가장 낮은 균수를 나타내었고,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모든 군에서 다소 증가하여 저장 60일 째에는 사과 드레싱 소스에서 가장 높은 8.7 × 103CFU/g의 균수이었다. 이상의 결과로써 송이를 이용한 사과 드레싱소스를 제조한 후 저장성에 따른 여러 실험을 한 결과 우수한 저장성을 나타냄에 따라 우수한 식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송이버섯은 다른 버섯에 비해 어떤 특징에서 우수함을 보이는가? 최근 들어 소득의 향상에 따른 식생활의 다양화 추세로 여러 가지 식용버섯들의 이용이 늘어나고 있으므로 이들의 이용에 관한 보다 합리적인 조리조건과 조리방법 및 보관, 저장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특히 버섯 중에서도 으뜸으로 여겨지는 송이버섯은 고가의 자연식품으로서 칼슘과 철분 등의 많은 무기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영양식품으로 맛, 향기, 식감 등이다른 버섯보다 훨씬 뛰어나 많은 사람의 기호에 적합한 버섯으로 앞으로 더 많은 수요가 예상된다. 송이버섯은 맛과 향이 뛰어난 기호식품으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일본, 중국, 동북구, 대만 등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일본송이버섯과 더불어 아세아 그룹에 속하여 Tricholoma matsutake Sing.
버섯에는 어떤 영양소가 골고루 함유되어 있는가? 버섯은 예전부터 식용으로 이용해 왔으며 탄수화물, 단 백질, 지질, 무기질 및 비타민 등의 영양소를 골고루 함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독특한 맛과 향기를 지니고 있으며, 자연식품, 저칼로리식품, 무공해식품으로도 각광을 받고 있는 식품이다(10). 최근 들어 소득의 향상에 따른 식생활의 다양화 추세로 여러 가지 식용버섯들의 이용이 늘어나고 있으므로 이들의 이용에 관한 보다 합리적인 조리조건과 조리방법 및 보관, 저장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oi, S.K. (2004) Theory and practices of seoces. Hyungseul Press, Seoul. p.10-30 

  2. Shahidi, F., Parliment, T.H., Mcromine, R.J. and Ho, C.T. (1989) Flavor of cooked meats. In: Thermal generation of aroma. ACS symposium series 409. Washington, DC, USA p. 131-154 

  3. Kwak, E.J., An, J.H., Lee, H.G., Shin, M.J. and Lee, Y.S. (2002) A study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ensory evaluation according to development of herbal sauces of jujube and omij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7-11 

  4. Choi, S.K. (2001)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stock prepared by different method. Dotor of Science Thesis. Graduate School, Yeungnam University 

  5. Lee, K.I., Lee, K.H., Lee, Y.S. and Shin, M.J. (2002)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combination of brown sauce during storag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698-704 

  6. Choi, S.K., Kim, D.S. and Lee, Y.J. (2006) A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demi-glace sauce added with fresh basil. Korean J. Food Culture, 21, 76-80 

  7. Kim, H.D. (2006) A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medicinal demi-glace sauce with added omija. Korean J. Culinary Res., 12, 119-133 

  8. Han, K.S. and Seo, K.M. (2007) The sensory evaluation of ginseng paste and various ginseng sauce using ginseng paste. J. Foodservice Management Soc. Korea, 10, 137-153 

  9. Lee, Y.S. and Rho, J.O. (2007) Evaluati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herb sauce for the roasted mackerel. Korean J. Food Nutr., 20, 369-377 

  10. Chang, M.S., Kim, M.S., Jhune, C.S. Cho, W.D. and Kim, G.H. (2008) A survey on the perception of consumers to develop processing products of mushroom processed foods. Korean J. Food Preserv., 15, 915-921 

  11. Kim, H.R., Hong, J.S., Choi, J.S., Han, G.J., Kim, T.Y., Kim, S.B., and Chun, H.K. (2005) Properties of wet noodle changed by the addition of sanghwang mushroom (Phellinus linteus) powder and extract.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579-589 

  12. Choi, S.K.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demi-glace sauce with pin mushroom and mushroom powder added. Korean J. Culinary Res., 13, 119-127 

  13. Lee, G.D., Kim H.G., Kim, J.G. and Kwon, J.H. (1997) Optimization for the preparation conditions of instant rice gruel using oyster mushroom and brown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737-744 

  14. Park. S.H., Ko, Y.J., and Kim, K.S. (2005) Physiological functions of chitosans as functional food ingredients. J. Chitin Chitosan, 10, 55-60 

  15. Kim, S.K. and Jeon, Y.J. (1997) Bioactivities of chitin and chitosan(II) - Antitumor activities by immunological function of chitin, chitosan and their oligosaccharides. Korean J. Chitin Chitosan, 3, 286-302 

  16. Ham, M.Y. (2006) Studies on efficacy and effect of chitosan-Focused on the hair-care cosmetics. J. Beau. Tricho., 2, 9-19 

  17. Kim, J.S., Han, J.S. and Lee, J.S. (1994) A survey on mushroom uses. Korean J. Soc. Food Sci Nutr., 10, 291-295 

  18. Han, G.J., Shin, D.S., Cho, Y.S. and Lee, S.Y. (2007) Development of a multi-purpose sauce using Kimchi.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3, 281-287 

  19. Lee, K.I., Le,e K.H., Lee, Y.S. and Shin, M.J. (2002)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combination of brown sauce during storage.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698-703 

  20. Choi, S.Y. (2006)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seasoning sauce used for fast food. Graduate School of Oniental Midicine Industry, Daegu Haany University 

  21. Yoo, K.M., Seo, W.Y., Seo, H.S., Kim, W.S., Park, J.B. and Hwang, I.K. (2004)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storage stabilities of sauces with added Yuza (Citrus junos) Jui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0, 403-408 

  22. Han, G.J., Shin, D.S., Cho, Y.S. and Lee, S.Y. (2007) Development of Baikkimchi sauce using natural color.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39-43 

  23. Jin, S.K., Kim, I.S., Hah, K.H., Park, K.H., Kim, I.J. and Lee, J.R. (2006) Changes of pH, acidity, protease activity and microorganism on sauces using a Korean traditional seasonings during cold storage.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6, 159-165 

  24. Park, H.N., Kang, O.K. and Moon, W.S. (2006) Ingredient preservation in the practical manufacture of Teriyaki sauce.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111-1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