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분자(Rubus coreanum Miquel) 즙을 이용한 드레싱 제조의 재료 혼합 비율의 최적화
Formulation Optimization of Salad Dressing Added with Bokbunja (Rubus coreanum Miquel) Jui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4, 2008년, pp.497 - 504  

정수지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나영 (중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명숙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새로운 드레싱을 개발하기 위하여 복분자를 이용한 샐러드드레싱을 만들었을 때 최적의 혼합비를 찾기 위하여 혼합물 실험계획법(mixture design) 중 D-optimal design을 이용하였다. 샐러드드레싱의 품질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복분자즙, 기름, 식초의 첨가율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범위는 예비실험을 거쳐 각각 $15.70\sim47.10%$, $23.50\sim39.20%$, $3.90\sim19.60%$로 하였다. 실험 결과를 모델링하여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점도, 적색도, 황색도, 총색차, 유화안정성관능검사 항목 중 색이 linear 모델로, 명도와 관능검사 항목 중 냄새, 맛과 전반적인 기호도는 quadratic 모델로 결정되었다. 모델의 적합성을 분석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probability가 모두 0.05% 이내에서 유의성을 보여 모델로서 적합함이 인정되었다. 복분자즙을 이용한 샐러드드레싱의 최적 재료 혼합비율은 수치 최적화에서는 복분자즙 36.02%, 기름 26.48%, 식초 12.00%이었고, 모형적 최적화에서는 desirability가 0.577에 해당하는 복분자즙 36.00%, 기름 26.44%, 식초 12.06%로 수치 최적화 점과 거의 일치하는 수치를 보였다. 이는 드레싱을 만들 때 복분자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여 새로운 드레싱 제품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optimization of ingredients in salad dressing using Bokbunja (Rubus coreanum Miquel) juice. The experiment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D-optimal design of mixture design, which included 14 experimental points with 4 replicates for three independent variables (Bokb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드레싱의 개발을 위한 목적의 일환으로 항산화성이 규명된 복분자를 드레싱에 활용하였을 때의 최적화 재료 혼합비를 찾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혼합물 실험계획법을 이용하여 얻은 복분자를 이용한 샐러드드레싱의 최적 재료 혼합 비율은? 05% 이내에서 유의성을 보여 모델로서 적합함이 인정되었다. 복분자즙을 이용한 샐러드드레싱의 최적 재료 혼합비율은 수치 최적화에서는 복분자즙 36.02%, 기름 26.48%, 식초 12.00%이었고, 모형적 최적화에서는 desirability가 0.577에 해당하는 복분자즙 36.00%, 기름 26.44%, 식초 12.06%로 수치 최적화 점과 거의 일치하는 수치를 보였다. 이는 드레싱을 만들 때 복분자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여 새로운 드레싱 제품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드레싱의 정의는? 드레싱은 식품공전(1)에 의하면 ‘식품을 제조·가공·조리함에 있어 식품의 풍미를 돋우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식용유, 식초 등을 주원료로 하여 식염, 당류, 향신료, 알류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하고 유화시키거나 분리액상을 제조한 것 또는 이에 채소류, 과실류 등을 가미한 것으로 마요네즈, 유화형 드레싱, 분리액상 드레싱, 샐러드드레싱, 프렌치드레싱 등을 말한다’라고 정의되어 있으며, 채소의 맛, 향과 수분을 한층 더 증가시켜 주어 입맛을 돋우어 주는 역할을 한다(2). 최근 국제화와 소득수준의 향상으로 우리의 식생활이 점차 서양화, 다양화 되어가고 있다(3).
드레싱의 역할은? 드레싱은 식품공전(1)에 의하면 ‘식품을 제조·가공·조리함에 있어 식품의 풍미를 돋우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식용유, 식초 등을 주원료로 하여 식염, 당류, 향신료, 알류 또는 식품첨가물을 가하고 유화시키거나 분리액상을 제조한 것 또는 이에 채소류, 과실류 등을 가미한 것으로 마요네즈, 유화형 드레싱, 분리액상 드레싱, 샐러드드레싱, 프렌치드레싱 등을 말한다’라고 정의되어 있으며, 채소의 맛, 향과 수분을 한층 더 증가시켜 주어 입맛을 돋우어 주는 역할을 한다(2). 최근 국제화와 소득수준의 향상으로 우리의 식생활이 점차 서양화, 다양화 되어가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식품의약품안전청. 2003. 식품공전. p 404-405 

  2. Sharon Tyler Herbst. 1990. Food lover's companion. 2nded. Barron's, New York, USA. p 420 

  3. Kim MH, Lee YJ. 2002. A study on standardizing a recipe for kiwi salad dressing.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2:407-414 

  4. Kim S, Koo HJ, Kim KS, Park JB. 2006. Characteristics of Korean single-harvested pepper (Capsicum annuum L.) flakes and the effects on the quality of various dressings.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12-21 

  5. 장명숙. 1999. 식품과 조리원리. 도서출판 효일, 서울. p 37 

  6. Okezie IA. 1998. Free radicals,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JAOCS 75: 199-212 

  7. Yen GC, Wu SC, Duh PD. 1996. Extrac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nt components from the leaves of mulberry (Morus alba L.). J Agric Food Chem 44: 1687-1690 

  8. Jurdi HD, Macneil JH, Yared DM. 1987. Antioxidant activity of onion and garlic juices in stored cooked ground lamb. J Food Prot 50: 411-413 

  9. Chung DO, Park ID, Jung HO. 2001. Evaluation of functional properties of onion, rosemary and thyme extracts in onion kimchi.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7: 24-29 

  10. Yuk CS. 1990. Coloured medicinal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Seoul, Korea. p 275 

  11. Kwon KH, Cha WS, Kim DC, Shin HJ. 2006. A research and application of active ingredients in Bokbunja (Rubus coreanum Miquel). Korean J Biotechnol Bioeng 21: 405-409 

  12. Ahn DK. 1998. Illustrated book of Korea medicinal herbs. Kyohuk publishing, Seoul, Korea. p 946-947 

  13. Lee JH, Hwang HJ.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curd yogurt with Rubus coreanum Miquel juice. Korean J Culinary Res 12: 195-205 

  14. Pang GC, Kim MS, Lee MW. 1996. Hydrolyzable tannins from the fruits of Rubus coreanum. Korean J Pharmacogn 27: 366-370 

  15. Cha HS, Lee MK, Hwang JB, Park MS, Park KM. 2001.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ubus coreanum Mique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021-1025 

  16. Yoon I, Cho JY, Kuk JH, Wee JK, Jang MY, Ahn TH, Park KH. 2003. Identification and activity of antioxidative compounds from Rubus coreanum fruit.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898-904 

  17. Yoon SR, Jeong YJ, Lee GD, Kwon JH. 2003. Changes in phenolic compounds properties of Rubi fructus extract depending extraction condi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338-345 

  18. Park YS, Chang HG. 2003. Lactic acid fermentation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Rubus coreanum.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 367-375 

  19. Choi HS, Kim MK, Park HS, Shin DH. 2005. Changes i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okbunja (Rubus coreanum Miquel) wine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574-578 

  20. Choi HS, Kim MK, Park HS, Kim YS, Shin DH. 2006. Alcoholic fermentation of Bokbunja (Rubus coreanum Miq.)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43-547 

  21. Kwon KS, Kim YS, Song GS, Hong SP.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rubi fructus (Rubus coreanus Miquel) juice. Korean J Food & Nutr 17: 272-277 

  22. Oh SW, Lee TC, Hong HD. 2002. Effects on the shelf-life of tofu with ethanol extracts of Rubus coreanum Miquel, Therminalia chebula Retz and Rhus javanica.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746-749 

  23. Kim MJ, Lee U, Kim SH, Chung HG. 2002. Variation of leaf, fruiting and fruit characteristics in Rubus coreanum Miq. Korean J Breed 34: 50-56 

  24. Eriksson L, Johansson E, Wikstrom C. 1998. Mixture design-design generation, PLS analysis, and model usage. Chemometr Intell Lab Syst 43: 1-24 

  25. Han GH. 2004. Stimul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optimization in new product development using food byproduct. PhD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Korea. p 4-5 

  26. Cornell JA. 1990. Experiments with mixtures; design, models & the analysis of mixture data. 2nd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p 24-141 

  27. Kim MH, Lee YJ, Kim DS, Kim DH.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uits dressing.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165-173 

  28. Ryu SY, Roh HJ, Noh BS, Kim SY, Oh DK, Lee WJ, Yoon JR, Kim SS. 2003. Optimization of Maillard reactions of tagatose and glycine model solution by appl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914-917 

  29. Raymond HM. 2005.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process and product optimization using designed experiments. John Wiley & Sons, New York. p 558-562 

  30. Pearce KN, Kinsella JE. 1978. Emulsifying properties of proteins evaluation of a turbidimetric technique. J Agric Food Chem 26: 716-723 

  31. 김광옥, 김상숙, 성내경, 이영춘. 1993. 관능검사 방법 및 응용. 신광출판사, 서울. p 207-225 

  32. Derringer G, Suich R. 1980. Simultaneous optimization of several response variables. J Quality Technol 12: 214-219 

  33. Shin MH, Nam SM. 2003.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alad dressing using gelatin extracted from chicken foot skin. Korean J Culinary Res 9: 123-135 

  34. Jeon ER, Park ID. 2006. Effect of angelica plant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tter cakes and cooki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62-68 

  35. Cho H, Yang YH, Lee KJ, Cho YS, Chun HK, Song KB, Kim MR.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 fat salad dressing with spirulina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2: 329-3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