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자육 분말을 첨가한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by Lotus (Nelumbo nucifera) Seeds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6 no.1, 2009년, pp.68 - 74  

이병구 (영남대학교 식품외식학부) ,  변광인 (영남대학교 식품외식학부) ,  차원섭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자육 분말을 밀가루 중량에 대해 0, 5, 10, 15, 20%를 첨가하여 제조한 빵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빵의 일반성분을 조사한 결과 연자육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과 조섬유 함량 등이 증가하였다. pH는 대조구 보다 연자육 분말 첨가구가 높게 나타났다. 빵 무게는 연자육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 수 록 증가하였으며, 부피는 감소하였다. 빵의 비용적은 연자육 분말 첨가구가 $3.59{\sim}4.68\;mL/g$이었고, 대조구는 5.12 mL/g이었다. 연자육 분말 5%, 15%, 20% 첨가구에서 굽기 손실율은 각각 8.95%, 8.17%, 7.67%로 나타났다. 연자육 분말을 첨가한 빵의 crumb와 crust 색도를 측정한 결과, 연자육 분말 첨가량을 증가할 수 록 명도 L 값은 감소하였으나 적색도인 a 값과 황색도인 b 값은 증가하였다. 연자육 분말 첨가량을 증가할 수 록 빵의 경도와 점착성은 증가하였으나 탄력성은 감소하였다. 연자육 분말 첨가 빵의 관능검사 결과, 향미, 조직감, 전체적인 기호도는 연자육 분말 10% 첨가구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색도와 조직감은 5% 첨가구가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연자육 분말 $5{\sim}10%$를 첨가할 경우 기능성 빵으로 개발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s made with addition of lotus(Nelumbo nucifera) seeds powder. Breads were prepared with 0, 5, 10, 15 and 20%(w/w) lotus seed powder instead of wheat flour. The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crude ash and crude fiber contents of the b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양 및 기능성을 함유한 연자육 분말을 0~20% 첨가하여 연자육 식빵을 제조하고, 식빵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조사하여 기능성 식빵개발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자육과 관련된 해외 연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연자육(Nelumbo nucifera GAERTN)은 수련과(Nymphaceae)에 속하는 연꽃의 잘 익은 종자를 가을에 수확하여 과피를 제거하고 말린 것으로 한방에서는 위장을 강화시켜 설사를 억제하고, 신장을 강화하여 강정작용이 있으며 신경을 안정시키는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 연자육과 관련된 해외 연구는 항균(8), 항당뇨(9), 항산화 효능(10)등이 보고되었으며, 국내 연구는 연자육으로부터 식물 호르몬 dihydrophaseic acid를 분리 및 동정한 연구(11)와 연자육 추출물이 간접 변이원의 돌연 변이원성에 대한 효과(12)가 있으며 유해세균인 E. Coli KCTC 1039의 성장을 억제시킨다는 결과(13)와 연자육에는 아미노산인 세린과 메티오닌이 풍부하다는 보고(14)와 연자육을 이용하여 우울증을 치료한 논문(15) 등 연자육을 새로운 기능성을 탐색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연자육이란? 연자육(Nelumbo nucifera GAERTN)은 수련과(Nymphaceae)에 속하는 연꽃의 잘 익은 종자를 가을에 수확하여 과피를 제거하고 말린 것으로 한방에서는 위장을 강화시켜 설사를 억제하고, 신장을 강화하여 강정작용이 있으며 신경을 안정시키는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7). 연자육과 관련된 해외 연구는 항균(8), 항당뇨(9), 항산화 효능(10)등이 보고되었으며, 국내 연구는 연자육으로부터 식물 호르몬 dihydrophaseic acid를 분리 및 동정한 연구(11)와 연자육 추출물이 간접 변이원의 돌연 변이원성에 대한 효과(12)가 있으며 유해세균인 E.
연자육 분말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빵의 텍스처 측정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연자육 분말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빵의 텍스처 측정 결과는 Table 5에 나타내었다. 경도 측정의 결과, 1일 경과시 대조구가 172.1 g/cm2로 가장 낮았으며, 연자육 분말첨가량을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시간 경과에 따른 빵의 경도는 대조구가 연자육 분말 첨가구보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는 백삼과 홍삼 분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경도가 증가한다는 보고(32)와 유사하였다. 탄력성 측정의 결과, 1일 경과시 대조구가 96.0%로 가장 높았으며, 연자육 분말 첨가량을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시간 경과에 따른 빵의 탄력성은 대조구와 연자육 분말 첨가구 모두 시간 경과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특히 연자육 분말 20% 첨가구의 경우 탄력성이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쌀겨를 첨가하여 빵을 제조한 경우 응집성과 탄력성 낮아졌다는 보고(33)와 일치한 결과로 연자육의 첨가가 빵의 조직에 변화를 준 것으로 판단된다. 점착성 측정의 결과, 1일 경과시 대조구가 553.6 g/cm2로 가장 낮았으며, 연자육 분말 첨가량을 증가할 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시간 경과에 따른 빵의 점착성을 측정한 결과는 당귀 분말을 첨가한 연구(24)와 유사한 경향으로 급격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Jung, J.W. and Park, K.J.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af bread added with Takju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2-58 

  2. Shin, G.M. and Jung, J.W. (1998) A study on the utility of materials of bread.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4, 389-395 

  3. Kim, Y.S., Jeon, S.S. and Jung, S.T. (2002) Effect of lotus root powder on the baking quality of white bread.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413-425 

  4. Im, J.G. and Kim, Y.H.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prepared by the addition of black soybean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3, 334-341 

  5. Jung, D.S., Lee, F.Z. and Eun, J.B. (2002) Quality properties of bread made of wheat flour and black rice flou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34, 232-237 

  6. Bae, J.H., Woo H.S., Choi, H.J. and Choi, C. (2001) Quality of bread added with Korean persimmon leaf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882-887 

  7. Seo, B.I., Lee, J.H. and Choi. H.Y. (2006) Hanyak Boncho Hak. Younglimsa. Korea., p.936-938 

  8. Mukheriee, P.K. (2002) Quality control of herbal drugs an approach to evaluation of botanicals, 1st ed. Business Horizons, New Delhi, India., p.604-608 

  9. Mukheriee, P.K., Pal, S.R., Saha, K. and Saha, B.P. (1995) Hypoglycemic activity of Nelumbo nucifera rhizome (methanolic extract)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Phytotherapy Res., 9, 522-524 

  10. Hu, M. and Skibsted, L.H. (2002) Antioxidative capacity of rhizome extract and rhizome knot extract of edible lotus(Nelumbo nucifera). Food Chem., 76, 327-333 

  11. Seo, J.H., Choi, Y.H., Yoo, M.Y., Hong, K.S. and Lee, B.H. (2006) Isolation of dihydrophaseic acid from seed extract of Nelumbo nucifera. Kor. J. Phamacogn. 37, 290-293 

  12. Song, G.S., Ahn, B.Y., Lee, K.S., Maeng, I.K. and Choi, D.S. (1997) Effects of hot water extracts from medical plants on the mutagenicity of indirect mutage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288-1294 

  13. Kim, J.D. (2002) The growth inhibiting effects of E. coli KCTC 1039 by combination of natural products bearing antioxidative capacity. Korean J. Biotechnol. Bioeng., 17, 490-496 

  14. Hwang, J.B., Yang, M.O. and Shin, H.K. (1998) Survey for amino acid of medical herb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35-41 

  15. Lee, J.W. (2004) Comparison of Nelumbinis Semen extract with hypericum perforatum and fluoxetine in animal model of depression. Masters degree thesis. Kyunghee University 

  16. Finny, K.F. (1984) An optimized straight dough bread making method after 44 years. Cereal Chem., 61, 20-26 

  17. AOAC. (198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3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8. Prosky, L., Asp, N.G., Furda, I., Dervieriers, F.W., Schweizer, T.F. and Harland, B.A. (1987) Determination of total dietary fiber in foods and food products. AOAC, 68, 677-679 

  19. Kim, B.R., Choi, Y.S. and Lee, S.Y. (2000) Study on bread making quality with mixture of buckwheat wheat flou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241-247 

  20. Shin, D.H. and Lee, Y.W. (2005) Quality characteristic of bread added with prickly pear powder. Korean J. Food Nutr., 18, 341-348 

  21. Cauvain, S.P. (2003) Bread making improving quality. CRC Press, Boca Raton FL, U.S.A., p.352-374 

  22. Ryu, C.H. (1999) Study on bread making quality with of waxy barley wheat flou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034-1043 

  23. Duncan, D.B. (199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 Biometrics., 11, 31-34 

  24. Shin, G.M. and Kim, D.Y.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by Angelica gigas nakai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5, 497-504 

  25. Kim, S.K. (1990) Milling industry and flour utilization. Korea Wheat and Industry Association, Seoul, p.45-46 

  26. Choi, S.N. and Chung, N.Y. (2007)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added buckwhet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664-6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