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녀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Ego-resilience and Stress Coping Styles of Male and Female Adolescents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7 no.1 = no.97, 2009년, pp.221 - 234  

박연성 (안동대학교 가정교육) ,  현은민 (안동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 resilience and stress coping styles of male and female adolescents. The study also tri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stress coping styles based on sexual differences and the level of ego- resilience in adolescents. Ego-resilience showed a positive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많은 변화와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는 남녀청소년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이 스트레스 상황에서 남녀청소년이 보여주는 대처방식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밝히고, 성별과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라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는 남녀청소년 성차에 따라 스트레스 상황에서 완충역할을 할 수 있는 내적자원인 자아탄력성을 발달시킬 수 있는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육현장에서 청소년 지도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본 연구는 다양한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라 스트레스 상황 시 이에 유연하게 대처해 나갈 수 있는 내적자원인 자아탄력성이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성별과 자아탄력성 수준에 따라 대처방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 이상의 연구들에서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간에는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으나 직접적인 관계를 살펴본 연구가 부족하고 청소년의 성차에 따른 연구결과가 일치하지 않으므로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들에게 긴장과 스트레스를 야기하는 변화와 욕구는?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이행하는 과도기적 발달 단계로서 많은 변화가 수반되는 시기이다. 청소년들의 신체적 변화와 심리적 혼동 그리고 사회적 역할의 변화와 가치체계의 변화 등은 부적응 문제를 야기하며 청소년기의 불안정으로 인해 많은 청소년들이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경험한다(Siegel & Brown, 1988; 강영자·이재연, 1996; 재인용). 특히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자아정체감 확립이라는 발달적 과업을 이루어야 할뿐 아니라 입시경쟁에 대한 부담과 공부에 대한 압력, 성인역할에 대한 준비 등 적응적 요구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변화와 욕구들은 여러 면에서 청소년들에게 긴장과 스트레스를 야기한다.
자아탄력적인 집단이 가지는 특징은? 자아탄력적인 집단은 스트레스 초기단계인 스트레스 지각에서부터 내인성을 보이고, 스트레스 대처과정에서도 개인의 풍부한 대처자원으로서의 다양한 전략을 가지는 등 스트레스에 대한 내구성이 크며(박현진, 1996), 또한 이들은 효과적인 스트레스 대처 능력과 다양한 문제해결 책략을 가지고 있어 문제상황에서 보다 융통성 있고 통합된 수행능력을 보인다(이은미, 2002). 이는 자아탄력성이 개인이 갖는 긍정적인 적응요소로서 복잡하고 스트레스적인 현대 생활에 건강하게 적응하기 위해 함양해야 할 개인의 중요한 성격자원이라는 것을 의미한다(장경문, 2003).
자아탄력성이란? Ciechettie와 Toth(1991)는 같은 위험한 환경 하에서 다른 사람들이 발달적 이탈을 일으키는 데에도 불구하고 환경에 굴복하지 않는 개인의 기능을 이해하고 연구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런 강한 개인적 특성인 자아탄력성은 어려운 환경에서 부적응을 방지하고 대처의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자아탄력성은 환경변화에 따른 스트레스, 역경, 혹은 위험에도 불구하고 정서적, 행동적 문제를 보이지 않고 유연하게 반응하는 경향성으로 좁은 의미로 개인의 감정 차원을 조절하고 상황과 환경적 수반성을 변화시키는 적응적 자원이며 넓은 의미로는 내·외적 스트레스에 대해 유연하고 융통성있게 적응하는 개인의 역동적 능력을 말하는 것으로 스트레스나 역경을 잘 극복할 수 있는 일종의 성격 유형을 말한다(Block & Block, 198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0)

  1. 강영자.이재연(1996).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원과 대처방안에 관한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비교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4(5), 307-326 

  2. 고은정(1997). 애착유형에 따른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 구자은(2000). 자아탄력성, 긍정적 정서 및 사회적 지지와 청소년의 가정생활 적응 및 학교 생활적응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권지은(2003). 부모 및 또래 애착, 문제해결방식과 자아탄력성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김대권(2004).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탄력성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김만지(2002). 청소년의 가족관련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0(3), 55-66 

  7. 김미숙(1994). 스트레스로 인한 불안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효과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김승원(1999).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양식과 관련변인.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 김정희(1987). 지각된 스트레스, 인지세트 및 대처양식이 우울에 대한 작용.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0. 김창대(1985). 우울과 스트레스 대처 양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혜정(2003). 낙관성과 스트레스 대처양식이 우울과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2. 박경희(2003). 청소년의 스트레스 원인과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인문계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관동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3. 박중기(1998). 중학생의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법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4. 박현진(1996). 자아탄력성에 따른 지각된 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5. 신윤자(2005).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아탄력성 및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신지연(2004).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중학생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7. 안선형(2004). 아동의 통제소재와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8. 연재흠(2005). 스트레스가 미치는 중학생의 문제행동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세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원호택(1992). 고등학교 학생들의 스트레스. 현대사회와 청소년 지도. 배영사 

  20. 윤현희(1998). 부모보고형 자아탄력성의 척도 개발.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1. 이도영(1990). 고등학교 학생들의 스트레스 수준과 그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2. 이경주(1997).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및 행동문제.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이경희(1996). 청소년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4. 이경희.김광웅(1996).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대처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4(6), 127-139 

  25. 이상균(2000). 청소년의 도움요청행위와 그 장애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9, 153-175 

  26. 이수현(2007). 고등학생이 지각한 학습관여형태, 자아탄력성, 시헙불안 및 학교적응의 관계. 서강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은미(2002). 부모-자녀 유대관계와 아동의 자아탄력성의 관계. 영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8. 이재석(2002). 초등학교 고학년의 스트레스대처방법과 자아상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9. 이후승(2003).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지각한 자아탄력성이 스트레스 지각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임상희(2005).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스트레스와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1. 장경문(2003).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대청방식 및 심리적 성장 환경의 관계. 청소년연구 10(4), 143-161 

  32. 장휘숙(2001). 정신병리를 차단하는 요인으로서의 탄력성. 한국심리학회. 14(1), 113-127 

  33. 전성혜(1989). 스트레스에 대한 평가 및 대처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4. 정미영.문혁준(2007). 아동의 학교생활적응관련변인 연구. 아동학회지 28(5), 37-54 

  35. 정미현(2003).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아탄력성 및 친구간 갈등해결 전략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6. 정명숙(2005). 심리적 가정환경이 아동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7. 정선자(1998). 실업계 고등학생의 스트레스 대처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황상하(1994). 대학생의 스트레스 및 대처방식과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9. Billings, A. G., & Moos, R. H.(1981). The role of coping responses and social resources in attenuating the stress of life events.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4, 139-157 

  40. Billings, A. G. & Moos, R. H.(1984). Coping, stress, and social resources among adults with unipolar dep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6, 877-891 

  41. Block, J. H. & Block, J. (1980).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 A. Collings(Ed.),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13, 39-101, Hillsdale, NJ: Erlbaum 

  42. Block, J. & Kre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 348-361 

  43. de Anda, D., Baroni, S., Buchwald, L., Morgan, J., Ow,J., Gold,J. S., & Weiss, R.(2000). Stress, stressors and coping among high school students.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22(6), 441-463 

  44. Dumont, M. & Provost, M. A.(1999). Resilience in adolescents: Protective role of social support, coping strategies. self-esteem, and social activities on experience of stress and depression.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8(3). 343-363 

  45. Ebata, A. T. & Moos, R. H. (1990). Coping and adjustment in depressed and healthy adolescent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12, 33-54 

  46. Folkman, S. & Lazarus, R.(1980). An analysis of coping in a middle-aged community sampl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1, 219-239 

  47. Folkman, S. & Lazarus, R.(1985). If it changes it must be a process: Study of emotion and coping during three stages of a college examin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8(1), 150-170 

  48. Fontaine, K. R., Manstead, A. S. R., & Wagner, H.(1993). Optimism, perceived control over srtress, and coping.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7(4), 267-281 

  49. Garmezy, N. (1993). Stressors in childhood. In N. Garmezy, & M. Rutter(Ed.), Stress, coping, and development in children N.Y.: McGraw-Hill 

  50. Griffith, M.A., Dubow, E. f., & Ippolito, M. F.(2000). Developmental and cross-situational differences in adolescent coping strategie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9(2), 183-204 

  51. Herman-Stahl, M., & Petersen, A. C.(1996). The protective role of coping and social resources for depressive symptoms among young adolescent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5, 649-665 

  52. Jerusalem, M., & Schwarzer, R. (1989). Anxiety and self-concept as antedecents of stress and coping: A longitudinal study with German and Turkish adolescen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0, 785-792 

  53. Kessler, R. C. Price, R. H. & Wortman, C. B.(1985). Social factors in psychopathology: Stress, social support, and coping proces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36, 531-572 

  54. Klohnen E. C. (1996).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 1067-1079 

  55. Kobasa, S. C. Maddi, S. R. & Kahn, S.(1982). Hardiness and health: A prospective stud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2, 168-172 

  56.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57. Lazarus, R. S. & Launier, R. (1978). Stress-related transactions between person and environment. In L. A. Pervin & M. Lewis(Eds.), Perspectives in interactional psychology, 237-328. New York:Plenum 

  58. Luthar(1991). Vulnerability & resilience; A study of high-risk 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62, 600-612 

  59. Nummer, G. & Seiffge-Krenke, I.(2001). Can differences in stress perpection and coping explain sex differences in depressive symptoms in adolescents? Zeitschrift Fur kinder-Und Jugend psychiatrie Und Psychotherapie 29(2), 89-97 

  60. Pearlin, L. & Schooler, C. (1978). The structure of coping.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9, 2-21 

  61. Roecker, C. E., Dubow, E. F., & Donaldson, D.(1996). Cross-situational patterns in children's coping with observed interpersonal conflict.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5, 288-299 

  62. Rutter, M.(1979). Protective factors in children's responses to stress and disadvantage. In M. W. Kent & J. E. Rolf(Eds.), Primary prevention of psychopathology: Social competence in children. Hanover, N.H: University Press of New England 

  63. Rutter, M.(1985). Resilience in the face of adversity: Protective factors and resistance to psychiatric disorder.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47, 598-611 

  64. Schonert-Reichl, K. A. & Muller, J. R.(1995). Correlates of help-seeking in adolescence. Journal of Youth & Adolescence 25(6), 705-730 

  65. Seiffge-Krenke, I. (1995). Stress, coping and relationships in adolescence. Erlbaum, Hillsdale, NJ. 

  66. Seiffgr-Krenke, I. (1990). Developmental processes in self-concept and coping behavior. In H. A. Bosma & S. Jackson (Eds.), Coping and self-concept in adolescence, 49-68. Berlin: Springer-Verlag 

  67. Seligman, M. E. P. (1991). Learned Optimism, NY : Knopf. 박노영, 김혜성 역(1996). 낙관성 훈련(상, 하). 서울 : 오리진 

  68. Siegel, J. M. & Brown, J. D. (1988). A prospective study of stressful circumstances, illness, symptoms, and depressed mood among adolescents. Developmental Psychology 24, 715-721 

  69. Snow, D. A.(1995). personality correlates of adolescent stress coping responses. Ph. D. Dissertation, Michigan State University 

  70. Tellegen, A. (1985). Structure of mood personality and their relevance to assessing anxiety with an emphasis on self-report. In A. H. Tuma & J. D. Maser(Eds.), Anxiety anxiety disorders, 681-706. Hillsdale. NJ: Erlbaum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