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자 고등학생들의 삶의 질,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Quality of Life, Family Strength, Self-Resilience on the School Adjustment in Male High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5 no.1, 2015년, pp.221 - 232  

박연우 (중앙대학교 대학원) ,  김경희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남자 고등학생이 인지하는 삶의 질,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성공적인 학교적응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A시 소재의 1학년, 2학년 남자 고등학생 569명을 대상으로 삶의 질,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t-test와 ANOVA,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아버지 직업, 어머니 학력, 학업성적, 경제 수준, 흡연과 음주 유무, 자살시도나 자살생각이 학교적응에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학업성적, 자살생각, 삶의 질,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의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61.4%이었다. 그러므로 학생들의 삶의 질,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을 증진시켜주며, 삶의 질을 높여줄 수 있는 학교와 가정, 사회가 연계된 프로그램의 시행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that influence school adjustment in male high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569 male high school students (1th and 2nd grade) in A city. We analyzed quality of life, family strength, self-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of subjects. Data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569명의 남자 고등학생의 삶의 질,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 학교적응 정도를 확인하고, 학교적응에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그 결과, 남자 고등학생들의 삶의 질 수준은 중앙값보다 높게 나타났다.
  • 본 연구는 남자 고등학생의 삶의 질,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 정도를 파악하고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들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남자 고등학생이 인지하는 삶의 질, 가족 건강성,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의 정도를 파악하고,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성공적인 학교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가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남자 고등학생이 인지하는 삶의 질, 가족 건강성과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고등학생이 인지하는 삶의 질,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의 정도를 확인하고 학교적응의 영향요인을 확인하여 청소년기의 학교 적응을 돕고자 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교적응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인지하는 삶의 질,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는? A시 소재의 1학년, 2학년 남자 고등학생 569명을 대상으로 삶의 질,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t-test와 ANOVA,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아버지 직업, 어머니 학력, 학업성적, 경제 수준, 흡연과 음주 유무, 자살시도나 자살생각이 학교적응에 통계적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학업성적, 자살생각, 삶의 질,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의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61.4%이었다. 그러므로 학생들의 삶의 질,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을 증진시켜주며, 삶의 질을 높여줄 수 있는 학교와 가정, 사회가 연계된 프로그램의 시행이 필요하다.
학교적응이란? 그러나 학교에서의 중도 이탈, 방황하는 청소년들이 사회 이슈가 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학교적응은 매우 절박하고 중요한 의미를 띄고 있다[1]. 학교적응이란 학교라는 환경 안에서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학교를 변화시키는 한편, 학교환경의 요구에 따라 자신을 변화 시킴으로써 학교환경과 개인 사이의 상호작용이 잘 조화되고, 원만한 관계를 형성시킴으로써 자신의 역할을 수행해 가는 과정이다[2]. 그러나 교육부 보도자료[3]의 ‘2012학년도 초·중·고 학업중단 현황 조사결과’를 보면 의무교육 단계인 초·중학교 이후 고등학교 학업 중단자는 3만 4천 934명으로 고교 재적학생수의 1.
청소년의 학교적응 관련요인은 무엇이 있나? 청소년의 학교적응 관련요인은 선행연구들에 의하면 개인이나 가족 특성으로 부모의 교육수준이나 가족의 경제수준, 종교, 성별, 학년, 학업성적 등의 다양한 요인들이 보고되고 있다. 그리고 가족건강성[4-6], 자아탄력성[5][7][8], 삶의 질[8][9] 등과 같은 학교적응과 관련 요인을 확인하는 개별적 연구들이 다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차은주, 인문계 고등학교의 자아탄력성, 학업적 실패내성,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 임정아, 이인수, "청소년기의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 연구", 아동교육, 제15권, 제2호, pp.37-62, 2006. 

  3. 교육부 보도자료, 2012학년도 초중고 학업중단 현황 조사발표, 2013년 9월 4일. 

  4. 남영자, 박태영, "청소년의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6권, 제4호, pp.47-71, 2009. 

  5. 이숙영, "청소년의 가정환경과 학교적응 관계에서 자아탄력성, 학업스트레스, 정신건강 간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11호, pp.17-145, 2012. 

  6. 최용민, 원상숙, "청소년의 가족건강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1호, pp.199-216, 2013. 

  7. 김영민, 임영식,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잉적 양육, 자아탄력성, 학교적응의 구조적 관계 분석", 청소년복지연구, 제15권, 제2호, pp.343-366, 2013. 

  8. 김민정, 류진아, "청소년의 임파워먼트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가족건강성의 예측 변인",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2호, pp.231-255, 2012. 

  9. 김노은, "대학생의 스트레스, 탄력성, 삶의 질의 관계, 청소년복지연구", 제13권, 제4호, pp.1-19, 2011. 

  10. 박민주, 황기아,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학회지, 제10권, 제2호, pp.43-51, 2007. 

  11. 이현림, 천미숙, "청소년의 자아 정체감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분석", 청소년학연구, 제10권, 제4호, pp.511-541, 2003. 

  12. 주현정, 고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13. 구자은, 자아탄력성, 긍정적 정서 및 사회적 지지와 청소년의 가정생활 적응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4. The WHOQOL Group,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WHOQOL): Position paper from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special issue on health - related quality of life: What is it and how should we measure it?," Social Science and Medicine, Vol.41, No.10, pp.1403-1409, 1995. 

  15. 김아름, 청소년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6. 한용민, 대학생의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17. 유영주, "가족강화를 위한 한국형 가족건강성 척도 개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9권, 제2호, pp.119-151, 2004. 

  18. 김경은, 최은희, "가족건강성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제19권, 제4호, pp.641-653, 2010. 

  19. J. M. Richman, G. L. Bowen, and M. E. Woolley, School failure: An eco-interactional developmental perspective. In M. W. Fraser (Ed.), Risk and resilience in childhood: An ecological perspective (2nd ed). Washington, DC: NASW Press, 2004. 

  20. J. Bolock and A. M. Kreman, "Q and Ego-resiliency :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0, No.2, pp.349-361, 1996. 

  21. E. M. Klohnen,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 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0, No5, pp.1067-1079, 1996. 

  22. 민성길, 이창일, 김광일, 서신영, 김동기,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의 개발", 한국신경정신학회, 제39권, 제3호, pp.571-579, 2000. 

  23. 이해리, 조한익, "한국 청소년 탄력성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제18권, 제2호, pp.353-371, 2006. 

  24. 김정남, "중,고등학생을 위한 학교적응척도 단축형의 개발과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5권, 제3호, pp.497-517, 2013. 

  25. C. K. Yang, J. K. Kim, S. R. Patel, and J. H. Lee, "Age-related changes in sleep/wake patterns among Korean teenagers," Pediatrics, Vol.115, pp.250-256, 2005. 

  26. 강영진, 이정화, "아동의 자아탄력성, 어머니의 양육 태도, 가족건강성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수산해양교육연구, 제26권, 제1호, pp.59-71, 2014. 

  27. Selcuk R. Sirin, "Socioeconomic Status and Academic Achievement: A Meta- Analytic Review of Research,"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ol.75, No.3, pp.417-453, 2005. 

  28. S. Tong, P. Baghurst, G. Vimpani, and A. McMicheal, "Socioeconomic position, material IQ, home environment, and cognitive development," Journal of Pediatrics, Vol.151, pp.284-288. 

  29. 박광배, 신민섭, "고등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자살생각",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제10권, 제1호, pp.298-314, 1991. 

  30. 정승현, 심미영, "청소년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275-284, 2014. 

  31. 이영식, 서동수, 양석훈, 이길홍 "한국형 청소년 자살사고 설문 개발", 소아청소년정신의학, 제15권, 제2호, pp.168-177, 2004. 

  32. 유재순, 손정우, 남민선, "청소년의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9권, 제3호, pp.419-430,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