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부모가정 중학생의 사회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ociality on school adjustme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from formally broken families,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ego-resilienc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9, 2013년, pp.4421 - 4428  

김현미 (시몬정신건강병원 간호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 중학생의 사회성, 학교적응, 자아탄력성의 정도와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한부모가정 중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밝히고, 자아탄력성이 사회성과 학교적응에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D광역시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한부모가정 중학생 14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수집한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회성(r=.716)과 자아탄력성(r=.706)은 모두 학교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탄력성은 사회성과 학교적응 사이에 부분적 매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한부모가정 중학생들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성과 자아 탄력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what influences sociality on school adjustme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from formally broken families, and whether ego-resilience may have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ity and school adjustment. The participants were 147 middle school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 중학생의 사회성, 학교적응 및 자아탄력성의 정도와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사회성이 학교적응과 자아탄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자아탄력성이 사회성과 학교적응 사이에 매개효과의 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모형은 Fig.
  •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 중학생의 사회성, 학교적응 및 자아탄력성의 정도와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사회성이 학교적응과 자아탄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자아탄력성이 사회성과 학교적응 사이에 매개효과의 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한부모가정 중학생의 사회성이 학교적응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자아탄력성이 사회성과 학교적응 사이에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한부모가정 중학생의 사회성, 자아탄력성 및 학교적응의 관계를 보면, 사회성과 자아탄력성(r=.
  • 본 연구의 목적은 한부모가정 중학생의 사회성, 학교 적응, 자아탄력성을 파악하고, 한부모가정 중학생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밝히는 데 있으며, 이때 자아 탄력성이 매개의 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는 한부모가정 학생을 편견이나 부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자는 것이 아니라, 위기의 환경을 잘 극복하고 적응하는 데 도움이 되는 사회성 및 자아탄력성을 검토하여 결손이라는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는 학생들의 학교적응을 돕는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함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한부모가정 중학생의 사회성, 학교 적응, 자아탄력성을 파악하고, 한부모가정 중학생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밝히는 데 있으며, 이때 자아 탄력성이 매개의 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는 한부모가정 학생을 편견이나 부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자는 것이 아니라, 위기의 환경을 잘 극복하고 적응하는 데 도움이 되는 사회성 및 자아탄력성을 검토하여 결손이라는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는 학생들의 학교적응을 돕는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함이다.
  • 일반가정 학생에 비해 더 많은 관심과 지원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한부모가정 학생의 학교적응에 필요한 개인적인 강점을 찾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이때 자아탄력성은 인간에게 보호요인으로 작용하는 내적 자원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먼저 사회성이 자아탄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피고, 이를 통해 사회성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칠 때 자아탄력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연구가설 2. 한부모가정 중학생의 사회성은 자아탄력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 1. 한부모가정 중학생의 사회성은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부모가정이 증가하는 이유는? 가족구조 변화와 함께 가정에 대한 가치관 변화와 실직, 이혼, 별거, 취업, 가출, 미혼모의 증가 등 여러 복합적 요인으로 한부모가정이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전체 가구 중 한부모 가구는 2011년 9.
2011년 우리나라 전체 가구 중 한부모 가구의 수는 얼마인가? 우리나라 전체 가구 중 한부모 가구는 2011년 9.3%인 1,639천 가구로 05년 8.6%, 10년 9.
청소년들은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부모의 사망, 이혼, 별거, 미혼모 등으로 편부 또는 편모, 조손 가정이나 소년소녀가장이 되기도 하고, 때로는 시설에 맡겨져 청소년 시절을 보내게 되는데 이를 통해 나타나는 문제점은? 청소년들은 발달과정 상 급격한 신체적, 심리적 변화와 자아정체감 확립이란 발달과업과 함께 입시위주의 학력경쟁으로 인한 과도한 압박감 등 여러 가지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런 인생의 혼란기인 청소년기에 고위험 환경인 가정의 형태적 결손에 노출된 청소년들은 가족기능 저하로 인한 정서적 불안이나 우울 , 수치심을 경험하게 되고, 이는 자아형성과 인격형성에 영향을 미쳐 자신을 가치 없거나 열등하다고 생각하게 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2011 Divorce.Marriage statistics",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2. 

  2. S. D. Hwang, E. H. Park, "The Effect of Parental Attitude and Social Support on School Adjustment amo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Social Science Research Review, Kyungsung University, Vol. 26, No. 4, pp.123-145, 2010. 

  3. S. Y. Jo, "Social Support and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ts from Broken-hom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2011. 

  4. Masten, A. S., "Ordinary magic: Resilience Process in Development", American psychologist, Vol. 56, pp.277-238, 2001. DOI: http://dx.doi.org/10.1037/0003-066X.56.3.227 

  5. M. R. So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Neglect and Children's Ego Resilience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nchunhyang University, 2005. 

  6. Y. S. Lee, "A Study on School Stress, Self-resilience and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ts: with Female Students at High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004. 

  7. Y. M. Park, "The Effects of Children from Low Income Families' Perceived Social Support on Eog-resiliency and Sociality : Focused on Community Child Center",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2010. 

  8. M. S. Jung, "The Influence of Family Structure on the Child's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aekseok University, 2009. 

  9. S. A. Lee, J. Y. Park, Y. H. Kim, Y. E. Chang, S. Y. Auh, "The Effects of Perceived Family Strength and Ego-resilience on the Adjustment of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to School",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 27, No. 2, pp.305-312, 2009. 

  10. Y. S. Park,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from Divorced Famili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003. 

  11. Kyu-Mee, Lee, "A Study of Middle-School Students' School Adjustment Construc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 17, No. 2, pp.383-398, 2005. 

  12. Baron, R. M., Kenny, D. A.,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1, pp.1173-1182. 1986. DOI: http://dx.doi.org/10.1037/0022-3514.51.6.1173 

  13. Ok-seon, Kim, "The Impac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of Family Strengths Perceived by them and their Ego Resilienc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2005. 

  14. S. J. Kim,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Sociality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2005. 

  15. H. L. So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oup Ostracizing and Adolescen's Ego-resiliency and School-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2009. 

  16. S. S. Shim, J. B. Ahn, R. Y. Kim, "Influence of Leisure Experiences on Development of Sociality and Adaption of School Life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Vol. 20, No. 5, pp.111-127, 2011. 

  17. E. M. Hyun & H. Y. Park, "A Study on the Ego-Resilience and Social Adaptability of the Children and Adolescence in Institutional Care",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ol. 23, No. 1, pp.21-31 , 200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