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창의성 신장을 위한 초등수학 과제의 유형
Mathematical Task Types to Enhance Creativity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14 no.2, 2011년, pp.117 - 134  

박만구 (서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수학과 교수학습에서 창의성 신장을 위하여 초등학교 교실에서 활용이 가능한 수학 과제의 유형을 분류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이 풍부한 과제의 제시를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를 신장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부분의 하나로 보고 창의성 신장을 위한 과제의 특성과 이들을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이를 위해 그 동안 창의성과 관련하여 연구되어 온 논문과 자료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미국 조지아대학의 GIL과 국내의 논문 탐색을 통하여 창의성 관련 자료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학 과제를 창의성의 요소인 독창성, 융통성, 유창성, 정교성, 민감성의 5가지의 속성을 포함하는 4가지 표현 방식에 16과제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리고 과제 유형과 함께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을 효과적으로 돕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안을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nalyze mathematical task types to enhance creativity. Creativity is increasingly important in every field of disciplines and industries. To be excel in the 21st century, students need to have habits to think creatively in mathematics learning. The method of the 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창의성의 요소는? 이를 위해 그 동안 창의성과 관련하여 연구되어 온 논문과 자료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미국 조지아대학의 GIL과 국내의 논문 탐색을 통하여 창의성 관련 자료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학 과제를 창의성의 요소인 독창성, 융통성, 유창성, 정교성, 민감성의 5가지의 속성을 포함하는 4가지 표현 방식에 16과제의 유형으로 분류할 수있었다. 그리고 과제 유형과 함께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을 효과적으로 돕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안을 하였다.
전미수학교사협의회에서 수학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것 중 하나를 무엇으로 규정했는가? 수학교육의 흐름에 가장 큰 영향을 주고 있는 수학교육 단체 중 하나로 전미수학교사협의회(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에서도 수학교육에서 강조해야 할 것 중의 하나를 문제해결로 규정하고 문제해결에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위하여 때로는 예측의 결과를 뒤집는 예시의 사용할 것을 권고하였다(pp.303-304).
창의적인 디자인이 뒷받침 되지 않으면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없다는 사실은 어떻게 확인가능한가? 다른 사람들이 생각하지 못한 창의적인 디자인으로 유명 해진 김영세(2005)는 기능이 아무리 좋은 제품이라고 하더라도 창의적인 디자인이 뒷받침 되지 않으면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없을 것이라고 단언하였다. 이 사실은 새로 나오는 휴대폰이나 자동차들의 디자인이 구입을 선택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된다는 사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산업계 전반에 걸쳐서 사활을 건 경쟁이 되고 있다(홍하상,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7)

  1. 강완, 김상미, 박만구, 백석윤, 오영열 (2009). 초등수학교육론. 서울: 경문사. 

  2. 교육과학기술부 (2007). 개정 2007 수학과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과학기술부 (2011). 초등학교수학교과서(6-1). 서울: (주)두산동아. 

  4. 김부윤, 이지성 (2007). 수학적 창의성에 대한 관점 연구. 수학교육, 46(3), 293-302. 

  5. 김연수 (2005). 내 아이의 창의력을 깨워 주는 종이접기. 서울: 교학사 

  6. 김영관 (2011). 성냥개비 퍼즐. http://user. chollian.net/-badang25/match/match01_an.htm에서 2011년 6월 1일 발췌. 

  7. 김영세 (2005). 이노베이터: 트렌드를 창조하는 자. 서울: 랜덤하우스코리아. 

  8. 남승인 (2007). 수학 창의성 어떻게 기를 것인가? 경북창의성교육연구회 발표 원고. 

  9. 남승인, 박만구, 신준식 (2010). 초등학교에서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 서울: 교학사. 

  10. 박교식 (1996).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 교수학습에서 볼 수 있는 몇 가지 특징. 대한수학교육학회논문집, 6(2), 99-113. 

  11. 박만구 (2007). 참여수학을 통한 수학교육 활성화를 위한 모델 개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0(4), 567-571. 

  12. 박만구 (2009). 수학교육에서 창의성 신장 방안. 수학교육논문집, 23(3), 803-822. 

  13. 박배훈, 류희찬, 이기식, 김인수 (2003). 창의성 신장을 위한 새로운 수학교육평가 방안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5(1), 1-15. 

  14. 박성선 (2002). 수학적 창의성 신장을 위한 탐구학습에 관한 소고. 초등수학교육, 6(2), 65-74. 

  15. 배종수, 박만구 (2007). 수학 영재선발 문항분석 및 문항개발의 개선 방안. 제 38회 한국수학교육연구대회 프로시딩, 38, 51-66. 

  16. 베르베르, 베르나르 (1993). 개미2. 이세욱 역. 서울: 열린책들. 

  17. 삼성수학연구소 (2008). 창의영재 수학퍼즐. 서울: 삼성출판사. 

  18. 송정환 (2008). 초등수학 게임 자료. 한국초등수학교육연구회 2008년 연수자료집. 한국초등수학교육연구회. 

  19. 우종옥, 권치순, 전경원, 양일호, 양서윤(공역) (2008). 창의적 문제해결을 키워라. 서울: 대교출판사 

  20. 이상범, 이광필, 최상돈, 황석근 (1999). 과학영재교육센터 학생선발문항 분석 및 선발 방법에 대한 제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4), 604-621. 

  21. 정경혜 (2010). 드라마 활동이 분수의 개념 이해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2. 조석희 (2003). 창의성 계발을 위한 수학영재 교육방안. 대한수학교육학회 수학교육학연구대회논문집, 1-21. 

  23. 한정민, 박만구 (2010). 수학 창의성 관점에서 본 교사의 발문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3), 865-885. 

  24. 한헌조, 황혜린 (2007). 초등 창의사고력 수학 팩토. 서울: 매스티안. 

  25. 황농문 (2008). 인생을 바꾸는 몰입. 서울: 랜덤하우스. 

  26. 홍하상 (2006). 이건희, 세계 인재를 구하다. 서울: 북폴리오. 

  27. 황우형, 최계현, 김경미, 이명희 (2006). 수학교육과 수학적 창의성. 수학교육논문집, 20(4), 561-574. 

  28. Eberle, B., & Stanish, B. (1996). CPS for kids: A resource book for teaching creative problemsolving to children. Waco, TX: Prufrock Press. 

  29. Aiken, L. R. (1973). Ability and creativity in mathematic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077 730. 

  30. Artistico, D., Orom, H., Cervone, D., Krauss, S., & Houston, E. (2010). Everyday challenges in context: The influence of contextual factors on everyday problem solving among young, middle-aged, and older adults. Experimental Aging Research, 36(2), 230-247. 

  31. Atliere, J. L. (2010). Literacy+MathCreative connections in the elementary classroom. Newark, DE: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32. Balka, D. S. (1974).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creative ability in mathema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ssouri 

  33. Becker, J., & Shimada, L. (1997). The open-ended approach. Reston, VA: NCTM 

  34. Bolden, D. S. and Harries, A. V., & Newton, D. P. (2010) Pre-service primary teachers' conceptions of creativity in mathematic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73(2). 143-157. 

  35. Bragg, L. A. (2006). The impact of mathematical games on learning, attitudes, and behaviours. Unpublished doctoral thesis, La Trobe University, Melbourne. 

  36. Briggs, M., & Davis, S. (2008). Creative teaching mathematics. New York, Routledge. 

  37. Brookhart, S. M. (2010). How to assess higher-order thinking skills in your classroom. Alexandria, VA: ASCD. 

  38. Brophy, D. R. (2006). A comparison of individual and group efforts to creatively solve contrasting types of problem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8(3), 293-315. 

  39. Casakin, H., Davidovitch, N., & Milgram, R. M. (2010). Creative Thinking as a Predictor of Creative Problem Solving in Architectural Design Students. Psychology of Aesthetics, Creativity, and the Arts, 4(1), 31-35. 

  40. Chen, Y., & Cheng, K. (2009). Integrating computer-supported cooperative learning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into a single teaching strategy.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37(9), 1283-1296. 

  41. Chiu, M. S. (2009). Approaches to the teaching of creative and non-creative mathematical problem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7(1) , 55-79 

  42. Cho, S., & Lin, C. Y. (2011). Influence of family processes, motivation, and beliefs about intelligence on creative problem. Roeper Review, 33(1), 46-58. 

  43. Cropley, A., & Cropley, D. (2007). Using assessment to foster creativity. In A. G. Tan(ed.), Creativity: A handbook for teachers (pp.209-230). New Jersey: World Scientific. 

  44. Csikszentmihalyi, M. (1999). Finding flow. 이희재역, 몰입의 즐거움. 서울: 해냄. 

  45. Duda, J. (2011). Mathematical creative activity and the graphic calculator. International Journal for Technology in Mathematics Education, 18(1) , 3- 14. 

  46. Dulama, M. E., Alexandru, D., & Vanea, C. (2010). Studying the degree of creativity of preschool children drawings. Acta Didactica Napocensia, 3(4) , 85-96. 

  47. Fouche, K. K. (1993). Problem solving and creativity: Multiple solution methods in a cross-cultural study in middle level mathema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Florida. 

  48. Gliner, G. S. (1991). Factors contributing to success in mathematical estimation in preservice teachers: Types of problems and previous mathematical experienc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2(6), 595-606. 

  49. Griffiths, R., & Clyne, M. (1995). Games: A context and a medium for learning. In J. Wakefield & L. Velardi (Eds.), Celebrating mathematics learning (pp.191-195). Melbourne: The Mathematical Association of Victoria. 

  50. Harris, C. R. (2001). Fostering creativity in the Asian-Pacific child K-8: Identification, strategies, implications. In M. D. Lynch & C. R. Harris(eds.), Fostering creativity in children, K-8: Theory and practice (pp.101-112). Boston: Allyn and Bacon. 

  51. Haylock, D. W. (1987). A framework for assessing mathematical creativity in schoolchildre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8, 59-74. 

  52. Hennessey, B. A. (2004). Developing creativity in gifted children: The central importance of motivation and classroom climate. The National Research Center on the Gifted and Talented, Storrs, CT: University of Connecticut. 

  53. Hudson, L. (1966). Contrary imaginations. Methuen, London. 

  54. Hudson, L. (1967). Contrary imaginations: A psychological study of the English schoolboy. Harmondsworth: Penguin. 

  55. Hwang, W.-Y., Chen, N.-S., Dung, J.-J., & Yang, Y.-L. (2007). Multiple representation skills and creativity effects o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using a multimedia whiteboard system.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10(2) , 191- 212. 

  56. Jensen, L, R. (1973). The relationships among mathematical creativity, numerical aptitude and mathematical achieve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57. Kaufman, J., & Beghetto, R. A. (2010). Creativity in the classroom coda: Twenty key points and other insights. In J. Kaufman, & R. A. Beghetto (ed.), Nurturing creativity in the classroom (pp. 415-424).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8. Keun, L., & Hunt, P. (2006). Creative dance: Singapore children's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solving responses. Research in Dance Education, 7(1), 35-65. 

  59. Kneller, G. (1965). The art and science of creativity. London: International Thomson Publishing. 

  60. Krulik, S., & Rudnick, J. A. (1993). Reasoning and problem solving: A handbook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Boston, MA: Allyn and Bacon 

  61. Krulik, S., & Rudnick, J. A. (1999). Innovative tasks to improve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skills. In L. V. Stiff & F. R. Curcio (Eds.), Developing mathematical reasoning in grade $\kappa$ -12 (pp. 138-145).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62. Kruteskii, V. A. (1969). Mathematical aptitude. In J. Kilpatrick & I. Wirzup (Eds.), Soviet studies in the psychology of learning and teaching mathematics (Vol. II, pp. 113-128).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3. Kwon, O. N., Park, J. H., & Park, J. S. (2006). Cultivating divergent thinking in mathematics through an open-ended approach.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7(1), 51-61. 

  64. Landan, E. (2007). Education toward the future: Asking question. In A. G. Tan(ed.). Creativity: A handbook for teachers (pp.187-192). NJ: World Scientific. 

  65. Laycock, M. (1970). Creative mathematics at Nueva. Arithmetic Teacher, 17, 325-328. 

  66. Lee, G. S., Whang, D. J., Seo, J. J. (2003). A development of the test for mathematical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Research in Mathematical Education, 7(3), 163-189. 

  67. McCain, T. C., & Callahan, J. F. (1977). Creativity an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In J. F. Callahan & L. H. Clark (Eds.). Teaching in the elementary school (pp. 283-304).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 Inc. 

  68. McNulty, R. C. (1969). Children, mathematics and creativity. Unpublished M. A. dissertation, University of Exeter. 

  69.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70.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71. Olson, A. T. (2011). Mathematics through paper folding. Retrieved on July 1, 2011 at http://www. arvindguptatoys.com/arvindgupta/paperfolding.pdf. 

  72. Piirto, J. (2001). How parents and teachers can enhance creativity in children. In M. D. Lynch & C. R. Harris (eds.), Fostering creativity in children, K-8: Theory and practice (pp.187-192) Boston: Allyn and Bacon. 

  73. Poincare, H. (1913/1982). 과학의 방법 (오병승 외역). 단국대학교 출판부. 

  74. Polya. G. (1986).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우정호역). 서울: 천재교육. 

  75. Posamentier, A. S., & Krulik, S. (2009). Problem solving in mathematics grades 3-6: Powerful strategies to deepen understanding. Thousand Oaks, CA: Corwin. 

  76. Reiter-Palmon, R., Illies, M. Y., Cross, L. K., Buboltz, C., Nimps, T. (2009). Creativity and domain specificity: The effect of task type on multiple indexes of creative problem-solving. Psychology of Aesthetics, Creativity, and the Arts, 3(2), 73-80. 

  77. Robinson, K. (2006). Schools kill creativity. TED Video Series. 

  78. Sak, U., & Maker C. J. (2005). Divergence and convergence of mental forces of children in open and closed mathematical problems. International Education Journal, 6(2) , 252-260. 

  79. Schoenfeld, A. (1992). Learning to think mathematically: Problem solving, metacognition, and making sense in mathematics. In D. A. Grouws (Ed.), Handbook of research i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334-370). NY: Macmillan. 

  80. Schwartz, D. M. (1985). How much is a million? New York: Scholastic 

  81. Shaughnessy, M. F. (1998). An interview with E. Paul Torrance: About creativity.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0(4) , 441-452. 

  82. Sheffield, L. J. (2006). Developing mathematical promise and creativity. Proceedings of the 11th international seminar on education of gifted students in mathematics. 1-7. 

  83. Silver, E. A. (1997). Fostering creativity through instruction rich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problem posing. ZDM, 29(3), 75-80. 

  84. Small, M. (2009). Good questions: Great ways to differentiate mathematics introduction. NY: Teachers Collage Press 

  85. Spraker, H. S. (1960). A study of the comparative emergence of creative behavior during the process of group and individual study of mathematic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chigan 

  86. Sriraman, B. (2008).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creativity. In B. Sriraman(ed.). Creativity, giftedness, and talented development in mathematics (pp.1-31) Charlotte, NC: Information Age Publishing. 

  87. Starko, A. J. (1995). Creativity in the classroom: School curious delight. Longman Publishers USA 

  88. Sternberg, R. J. (2006). Creativity is a habit. Education Week, 25(24) , 47-64. 

  89. Sullivan, P., Griffioen, M., Gray, H., & Powers, C. (2009). Exploring open-ended tasks as teacher learning. Australian Primary Mathematics Classroom, 14(2) , 4-9. 

  90. Teo, L. K. C., & Waugh, R. F. (2010). A rasch measure of fostering creativity. Creativity Research Journal, 22(2), 206-218. 

  91. Tharp, T. (2005). The creative habit: Learn it and use it for life. New York: Simon & Schuster. 

  92. Torrance, E. P. (1963). Education and the creative potential. Minneapolis, MN: Univ. of Minnesota Press. 

  93. Torrance, E. P. (1973).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Technical-norms manual. Bensenville, IL: Scholastic Testing Services. 

  94. Urban, K. K. (2007). Assessing creativity: A componential model. In A. G. Tan(ed.). Creativity: A handbook for teachers (pp.167-184). New Jersey: World Scientific 

  95. Van Harpen, X. Y., & Sriraman, B. (2011). Creativity and mathematical problem posing: An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mathematical problem posing i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Retrieved on June 5, 2011. Available at http://www.umt.edu/math/reports/sriraman/ 2011_abstract_11.html 

  96. Van Hieles, P. M. (1986). Structure and insight: A theory of mathematics education. London, Academic Inc. 

  97. Williams, G. (2002) Identifying tasks that promote creative thinking in mathematics: A tool. Paper accepted as a research report for the Mathematical Education Research Group of Australasia Conference. Aukland, New Zealan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