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중.고등학생의 아침식사 섭취에 따른 하루식사의 질 평가: 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Relation of Breakfast Intake to Diet Quality in Korean School-Aged Children: Analysis of the Data from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4 no.1, 2009년, pp.1 - 11  

여윤재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지현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심재은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the quality of breakfast intake and to examine the relation of breakfast intake to the quality of daily diet in Korean school-aged children. The one day 24-hour recall data from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were analyzed. The sample of this stu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아직 학령기 아동 및 청소년의 아침식사 섭취여부 및 그 수준이 하루 식사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의 학령기 아동 및 청소년의 실제 식이섭취 자료에 근거하여 판단한 아침식사의 섭취여부 및 섭취수준과 하루 식사의 질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1일 식품섭취 자료를 분석하여 7~18세의 초 · 중 · 고등학생의 아침식사의 질을 평가하고, 아침식사로부터의 에너지 섭취수준에 따른 하루식사의 질을 평가하였다.
  • 이에 우리나라 초 · 중 · 고등학생들의 영양 및 건강 상태의 증진을 위해 아침결식을 피하고 적절한 양의 아침식사를 섭취할 수 있도록 식생활 교육이 이루어져할 필요성이 크다. 이러한 교육에 더하여 학교 아침급식의 실행 등과 같은 정책적 환경 변화 또한 고려해 볼 필요성을 제기하는 바이다.

가설 설정

  • 8 × 연령) + 활동수준 × [10 × 체중(kg) + 934 × 신장(m)] + 성장에너지’의 식을 이용하였다. 활동수준을 저활동 수준으로 가정하여 남학생은 1.13, 여학생은 1.16을 대입하였으며, 성장에너지는 7~8세의 경우는 20 kcal, 9~18세의 25 kcal로 계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침식사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아침식사는 전날 저녁부터 아침까지의 공복상태인 신체에 열량 및 영양소를 공급하여 신체가 활동을 시작할 수 있게 하는 연료 역할을 하며, 끼니를 규칙적으로 섭취하게 하고 폭식, 과식 및 잦은 간식의 섭취를 예방하여 비만의 위험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Lee 1998; Lee 등 2003; Ma 등 2003). 또한, 아침식사는 아침 시간의 인지능력에 영향을 주어, 궁극적으로 학생들의 아침수업 시간의 학업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orol & Gold 1998; Pollitt & Mathews 1998; Murphy 등 1998; Maryland State Department of Education 2001).
아침식사가 한 끼 식사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 무엇을 해야하는가? 아침식사가 한 끼 식사로서의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적정양의 공급을 통해 필요한 에너지 및 영양소를 충족시켜야 한다. Lee 등(2004)은 이상적인 아침식사의 식단을 작성하기 위해, 아침식사를 통해 1일 에너지 권장량의 1/4 정도를 공급하는 것을 목표 영양량으로 삼고 있으며, 미국의 학교아침급식 프로그램에서도 아침급식의 에너지 기준을 1일 에너지 권장량의 1/4로 규정하고 있다(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USDA] 2005).
7~18세의 초·중·고등학생의 아침식사 질을 평가하고, 아침식사로부터의 에너지 섭취수준에 따른 하루식사의 질을 평가한 결과는? 1) 분석대상인 아침식사군 1,600명은 아침식사로부터의 에너지 섭취량에 따라 아침결식군(0 kcal; 17%), 저에너지 아침섭취군(0 kcal 초과, 1일 에너지 필요추정량의 10% 미만; 12%), 보통에너지 아침섭취군(1일 에너지 필요추정량의 10% 이상, 25% 미만; 54%), 충분에너지 아침섭취군(1일 에너지 필요추정량의 25% 이상; 17%)으로 분류되었다. 2) 아침식사로부터의 평균 에너지 섭취량의 경우, 저에너지 아침섭취군은 160 kcal, 보통에너지 아침섭취군은 369 kcal, 충분에너지 아침섭취군은 687 kcal였으며, 에너지 섭취 수준이 높은 군일수록 칼슘을 제외한 모든 분석대상 영양소의 섭취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아침식사에서 섭취한 영양소들의 영양소 밀도를 산출한 결과, 대부분의 분석대상 미량 영양소의 밀도가 저에너지 아침섭취군에서 가장 높았고, 보통에너지 아침섭취군과 충분에너지 아침섭취군에서는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3) 아침식사의 상용식품을 분석한 결과, 저에너지 아침섭취군에서의 1, 2, 3위 식품이 우유, 쌀, 김치였으나 보통에너지 아침섭취군과 충분에너지 아침섭취군에서는 쌀, 김치, 우유였다. 다른 아침섭취군에서는 순위에 들지 못한 씨리얼이 저에너지 아침섭취군에서는 아침식사 상용식품 8위로 분석되었다. 4) 아침식사의 식품 다양성 점수를 계산한 결과, 저에너지 아침섭취군이 평균 3.7가지, 보통에너지 아침섭취군이 5.5가지, 충분에너지 아침섭취군이 6.4가지의 식품을 섭취하였으며, 군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5) 하루식사로 섭취한 평균 에너지는 아침결식군이 1,770 kcal, 저에너지 아침섭취군이 1,718 kcal, 보통에너지 아침섭취군이 1,901 kcal, 충분에너지 아침섭취군이 2,348 kcal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침결식군의 1일 에너지 섭취량은 충분에너지 아침섭취군에 비해서는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나, 저에너지 또는 보통에너지 아침섭취군과의 차이는 유의적이지 않았다. 6) 1일 섭취영양소가 평균필요량에 미치지 못한 학생의 비율은 아침식사로부터의 에너지 섭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칼슘의 경우, 모든 아침식사군에서 과반수의 학생들이 1일 평균필요량 이하로 섭취하고 있었다. 7) 아침식사군이 하루에 섭취한 총 에너지를 끼니 및 간식별로 나누어 에너지 섭취비율을 비교하였을 때, 아침식사로부터의 에너지 섭취량이 적은 군일수록 간식으로부터의 에너지 섭취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8) 하루식사의 식품 다양성 점수를 계산한 결과, 평균적으로 아침결식군이 14.6가지, 저에너지 아침섭취군이 19.3가지, 보통에너지 아침섭취군이 21.3가지, 충분에너지 아침섭취군이 21.6가지의 식품을 하루 동안 섭취했으며, 아침결식군은 아침섭취군들에 비해 유의하게 적은 수의 식품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 중 83%가 아침을 결식하거나 부족한 에너지의 아침을 먹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양소 및 식품 섭취 평가를 통해 아침식사로부터의 이러한 부족한 에너지 섭취가 하루식사의 질에 반영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우리나라 초·중·고등학생들의 영양 및 건강 상태의 증진을 위해 아침결식을 피하고 적절한 양의 아침식사를 섭취할 수 있도록 식생활 교육이 이루어져할 필요성이 크다. 이러한 교육에 더하여 학교 아침급식의 실행 등과 같은 정책적 환경 변화 또한 고려해 볼 필요성을 제기하는 바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ffenito SG, Thompson DR, Barton BA, Franko DL, Daniels SR, Obarzanek E, Schreiber GB, Striegel-Moore RH (2005): Breakfast consumption by African-American and White adolescent girls correlates positively with calcium and fiber intake and negatively with Body Mass Index. J Am Diet Assoc 105(6): 938-945 

  2. Ahn HS, Bai HS (2004): A survey of the weight control and intake pattern of the girl's high school student residing in Busan. Korean J Obesity 13(2): 150-162 

  3. Albertson AM, Anderson GH, Crockett SJ, Goebel MT (2003): Ready-to-eat cereal consumption: Its relationship with BMI and nutrient intake of children aged 4 to 12 years. J Am Diet Assoc 103(12): 1613-1613 

  4.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BMI-Body Mass Index: About BMI for Children and Teens. Retrieved December 5, 2008, from http://www.cdc.gov/nccdphp/dnpa/healthyweight/assessing/bmi/childrens_BMI/about_childrens_BMI.htm 

  5. Cho WK, Park HO, Kim SM (2002): A study on breakfast pattern and preferenc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Inchon area. Korean J Food Nutr 15(1): 50-57 

  6. Devaney B, Stuart E (1998): Eating breakfast: effects of School Breakfast Program. Food and Nutrition Servic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7. Galvin MA, Kiely M, Flynn A (2003): Impact of ready-to-eat breakfast cereal (RTEBC) consumption on adequacy of micronutrient intakes and compliance with dietary recommendations on Irish adult. Public Health Nutr 6(4): 351-363 

  8. Hwang HS, Lee JS (1999): A study of teachers' breakfast behavior and ideal breakfast types. Korean J Community Nutr 4(4): 575-586rhsfk 

  9. Jang HS, Kim MR (1999): The change on food habits of girl students living in Jeonbuk region. Korean J Community Nutr 4(3): 366-374 

  10. Jang HS, Kim MR (2002): The survey on food habits of boy students living in Jeonbuk region. Korean J Human Ecology 5(1): 71-84 

  11. Kim BR, Kim YM (2005): Evaluation of food intake and diet quality in high school students. Korea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7(3): 83-96 

  12. Kim JY, Moon SJ (1990): An ecolog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et diversity and nutrient intake. Korean J Nutr 23(5):309-316 

  13. Kim SH (1999): Children's growth and school performance in relation to breakfast. J Korean Diet Assoc 5(2): 215-224 

  14. Kim YS, Kong SS (2004): A study on weight-control behaviors, eating disorder symptoms and depression among female adolescents. J Korean Acad Psych Mental Health Nurs 13(3):304-314 

  15. Korol DL, Gold PE (1998): Glucose, memory, and aging. Am J Clin Nutr 67(4): 764S-771S 

  16. Lee HY (1998): A survey on breakfast of commuting local college students and suggestions for desirable breakfast menu. Korean J Food Nutr 11(3): 323-328 

  17. Lee SH, Shim JS, Kim JY, Moon HA (1996): The effect of breakfast regularity on eating habits,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in adults. Korean J Nutr 29(5): 533-546 

  18. Lee SY, Lee YS, Park JS, Bai YH, Kim YO, Park YS (2004): Developing breakfast menus for most easily Breakfast-Skipping Groups. Korean J Community Nutr 9(3): 315-325 

  19. Lee YS, Lim HS, Ahn HS, Jang NS (2003): Nutrition throughout the life cycle. Kyomunsa, Seoul 

  20. Ma Y, Bertone ER, Stanek EJ, Reed GW, Hebert JR, Cohen NL, Merriam PA, Ockene IS (2003): Association between eating patterns and obesity in a free-living US adult population. Am J Epidemiol 158(1): 85-92 

  21. Maryland State Department of Education (2001): Classroom breakfast score high in Maryland. (Recited, Murphy JM et al, Maryland meals for achievement year III final report (2001))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2):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Overview-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3): Revision of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s (2003: dietary guides for infants & toddlers, pregnant & lactating women, children, and adolescents), Policy-Medicine-2003-66 

  2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6):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e Survey (KNHANES III), 2005-Nutrition Survey 

  25. Murphy JM, Wehler CM, Pagano ME, Little MB, Kleinman R, Jellinek MS (1998): Relationship between hunger and psychological functioning in low-income American children.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y 37(2): 163-170 

  26. Oh HS, Park HO (2000): A study on dietary intake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ccording to school foodservice type in Won-Ju. Korean J Diet Culture 15(5): 338-348 

  27. Pollitt E, Mathews R (1998): Breakfast and cognition: an integrative summary. Am J Clin Nutr 67(4): 804S-813S 

  28. SAS Institute INC (2001): SAS for Windows version 9.1 [Computer Software] 

  29. Schlundt DG, O Hill JO, Sbrocco T, Pope-Cordle J, Sharp T. (1992): The role of breakfast in the treatment obesity: a randomized clinical trial. Am J Clin Nutr 55(3): 645-651 

  30. Shim JE, Paik HY, Moon HK, Kim YO (2004): Comparative analysis and evaluation of dietary intakes of Koreans by age Groups:(5) Meal patterns. Korean J Human Ecology 42(8): 169-185 

  31. Shim JE, Paik HY, Moon HK (2007): Breakfast consumption pattern, diet quality and health outcomes in adults from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Nutr 40(5): 451-462 

  32. Smith AP (1999): Breakfast cereal consumption and subjective reports of health. Int J Kood Sci Nutr 50(6): 445-449 

  33.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34.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05): The School Breakfast Program. Retrieved June 12, 2006, from http://www.fns.usda.gov/cnd/breakfast/AboutBFast/FactSheet.pdf 

  35. Yeoh YJ, Yoon J, Shim JE, Chung SJ (2008): Factors associated with skipping breakfast in Korean children: analysis of data from the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13(1): 62-68 

  36. Yi BS (2004): A comparative study on dietary life and recognition of diet related factors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10(3): 364-3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