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전문병원 간호제공자의 신체적 억제대 사용 감소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an Educational Program for the Reduction of Physical Restraint Use by Caregivers in Geriatric Hospital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39 no.6, 2009년, pp.769 - 780  

최금봉 (조선대학교 간호학과) ,  김진선 (조선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to reduce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s for caregivers in geriatric hospitals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cargivers' knowledge, attitude and nursing practice related to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s. Met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교육 프로그램의 목표는 응급이나 중증의 간호상황을 제외하고 억제대의 사용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대상자에게 신체적, 화학적 억제대를 사용하지 않고 간호제공자가 안전한 간호, 기능의 증진과 유지, 삶의 질 증진과 유지에 간호목표를 두고 개인적인 간호로 접근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이다. 본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은 주 1회, 회당 1시간 또는 1시간 30분씩 총 6회 과정으로 각 단계의 교육 주제는 1회는 신체적 억제대의 일반적 사항, 2회는 신체적 억제대 사용 감소와 제거, 3회는 대상자의 행동 이해, 4회는 처치를 방해하는 대상자의 간호, 5회는 낙상위험 사정과 방지, 6회는 변화의 과정 유지이다.
  • 본 연구는 노인전문병원 간호제공자를 대상으로 신체적 억제대 감소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간호제공자들의 신체적 억제대 사용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간호실무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신체적 억제대 사용 감소를 위한 6주간의 교육중재가 노인전문병원 간호제공자들의 신체적 억제대 사용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 본 연구는 노인전문병원의 간호제공자들에게 6주간, 주 1회 억제대 사용감소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억제대 사용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간호실무에 대한 효과를 대조군과 비교하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신체적 억제대 사용 감소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노인전문병원 간호제공자에게 적용한 후 간호제공자들의 신체적 억제대 사용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간호실무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이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 이론은 해빙(unfreezing) 단계, 이동(moving) 단계, 그리고 재동결(refreezing)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 프로그램의 제공을 통해 간호제공자들에게 신체적 억제대 사용과 관련된 실무에 대해 의문을 갖게 하기 위한 해빙단계, 간호제공자들의 신체적 억제대에 대한 대안을 사용하는 이동단계 그리고 이러한 신체적 억제대 사용 감소를 위한 노력이 그들의 간호 실무에서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을 재동결의 단계로 간주하였다.
  • 신체적 억제대 사용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 본 연구자는 국내외의 광범위한 문헌고찰, 신체적 억제대 사용 현황조사, 신체적 억제대와 관련된 온라인 모듈과 비디오 등 멀티미디어를 통한 이론과 실습 교육을 숙지하고 본 연구의 교육중재에 신체적 억제 사용 관련 실습시범을 담당하는 강사를 통해 실습 교육을 받고 교육 프로그램 중재 준비를 하였다.
  • 위와 같은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국내에서 노인전문병원 간호제공자들에게 신체적 억제대 사용 감소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그 효과를 평가한 첫 번째 시도였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아울러 우리나라 노인인구 증가에 따른 노인의료복지시설 이용자가 증가하는 현 시점에서 시설에서 제공되는 간호의 질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일 요소인 신체적 억제대 사용에 대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노인전문병원 간호제공자에게 제공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를 실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매우 의미가 크고 시기적절하였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노인의료복지시설 간호제공자의 신체적 억제대 사용 감소를 위한 더욱 적절한 내용 및 방법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이를 근거로 하여 근거중심 간호교육이나 연구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억제대 사용률을 장기요양시설의 질관리의 일 평가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고려할 때(Mamun & Lim, 2005), 시설의 간호제공자들을 위한 신체적 억제대 사용 및 사용감소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는 것은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해 매우 의미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전문병원 간호제공자를 대상으로 신체적 억제대 사용 감소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적용한 후 간호제공자들의 신체적 억제대 사용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간호실무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향후 임상의 간호제공자들이 신체적 억제대 사용 감소를 위한 간호중재를 하는데 있어 효과적이고 적절한 방안을 모색하여 노인의료복지시설 환자를 위한 간호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따라서 중재 후 일정기간이 흐른 후 2차 사후조사를 실시하여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해볼 수도 있을 것이다. 둘째,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도구가 신뢰도가 낮았던 점이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셋째, 대조군의 실무자들에게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등을 알리고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사전조사로 인해 대상자가 민감해져서 즉 시험효과로 인해 대조군의 억제대 사용에 대한 태도가 변화되었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 제1가설: 신체적 억제대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실험 전과 후의 신체적 억제대 사용에 대한 지식점수의 차이는 교육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의 지식점수의 차이보다 클 것이다.
  • 제2가설: 신체적 억제대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실험 전과 후의 신체적 억제대 사용에 대한 태도점수의 차이는 교육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의 태도점수의 차이 보다 클 것이다.
  • 제3가설: 신체적 억제대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실험 전과 후의 신체적 억제대 사용에 대한 간호실무의 차이는 교육에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의 간호실무점수의 차이보다 클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체적 억제대 사용 감소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노인전문병원 간호제공자에게 적용한 후 간호제공자들의 신체적 억제대 사용에 대한 지식, 태도 및 간호실무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노인전문병원 간호제공자를 위한 신체적 억제대 사용 감소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둘째, 개발한 신체적 억제대 사용 감소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노인전문병원 간호제공자들의 신체적 억제대 사용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신체적 억제대 관련 간호실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노인의료복지시설에서의 신체적 억제대 사용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어떠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는가? 그러나 노인의료복지시설에서의 신체적 억제대 사용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신체적 억제대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이나 과학적인 증거 부재, 인권보호 및 윤리적, 법적인 문제가 지속적으로 보고되고 있다(Hamers & Huizing, 2005; Wang, 2005). 따라서 미국을 비롯한 서구선진국에서는 신체적 억제대 사용으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신체적 억제대 사용률을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질관리에 대한 하나의 평가기준으로 사용하고 있다(Mamun & Lim, 2005).
간호제공자들은 신체적 억제대 사용과 관련하여 딜레마에 빠지는 이유는? 신체적 억제대 사용에 대한 감소나 중지를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 임상상황에서는 간호제공자에게 신체적 억제대 사용에 대한 시작과 유지, 종결에 관한 의사결정자로서의 역할이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Ludwick, Meehan, Zeller, & O’toole, 2008). 간호제공자들은 신체적 억제대 사용과 관련하여 당혹감과 죄책감을 느끼고 억제대 사용에 대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환자를 보호해야 한다는 생각과 간호사로서의 전문직 행위에 대한 신념 사이에서 갈등을 경험하고 딜레마에 빠지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체적 억제대는 환자 자신은 물론 다른 환자들을 보호한다는 이유 또는 제한된 인적자원으로 일을 효과적으로 하는 방법으로 왜곡되어 여전히 널리 사용되고 있다(Scherer, Janelli, Kanski, Neary, & Morth, 199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llen-Burge, R., Stevens, A., & Burgio, L. (1999). Effective behavioral interventions for decreasing dementia-related challenging behavior in nursing home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4, 213-232 

  2. Capezuti, E. (2004). Minimizing the use of restrictive devices in dementia patients at risk for falling. Nursing Clinics of North America, 39, 625-647 

  3.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behavioral science (2nd ed.). New York, NY: Academic Press 

  4. Doerflinger, D. M. (2004). The relationship acute care nurse administrators' knowledge and attitudes and restraint reduc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George Mason University, VA, USA 

  5. Engberg, J., Castle, N. G., & McCaffrey, D. (2008). Physical restraint initiation in nursing homes and subsequent health. The Gerontologist, 48, 442-452 

  6. Feng, Z., Hirdes, J. P., Smith, T. F., Finne-Soveri, H., Chi, I., Du Pasquier, J. N., et al. (2009). Use of physical restraints and antipsychotic medications in nursing homes: A cross-natio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4, 1110-1118 

  7. Guttman, R., Altman, R. D., & Karlan, M. S. (1999). Report of the Council of Scientific Affairs: Use of restraint for patients in nursing homes. Archives of Family Medicine, 8, 101-105 

  8. Hamers, J. P., & Huizing, A. R. (2005). Why do we use physical restraints in the elderly. Zeitschrift fur Gerontologie und Geriatrie, 38, 19-25 

  9. Huizing, A. R., Hamers, J. P., Gulpers, M. J., & Berger, M. P. (2006). Short-term effects of educational intervention on physical restraint use: A cluster randomized trial. BMC Geriatrics, 6(17), 1-10 

  10. Janelli, L. M., Scherer, Y. K., Kanski, G. W., & Neary, M. A. (1991). What nursing staff members really know about physical restraints. Rehabilitation Nursing, 16, 345-348 

  11. Janelli, L. M., Stamps, D., & Dells, L. (2006). Physical restraints use:A nursing perspective. Journal of the Academy of Medical-Surgical Nurses, 15, 163-167 

  12. Kang, S. H. (2003). A study on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3. Kim, J. S., & Oh, H. Y. (2006). Perceptions and attitude on use of physical restraints among caregivers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6, 347-360 

  14. Kim, K. S., & Chi, S. A. (2001). A study on perceptions about physical restraint use of nurses' and doctors' in hospital setting. The Chung-Ang Journal of Nursing, 5, 65-78 

  15. Kim, K. S., Kim, J. H., Lee, S. H., Cha, H. K., Shin, S. J., & Chi, S. A. (2000). The physical restraint use in hospital nursing situ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 60-71 

  16.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October 1). 2008 Statistics for the elderly. Retrieved November 5, 2008, from http://www.kosis.krbarriers in Australian aged care facilitie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32, 33-38 

  17. Lee, K. J., &, Kweoun, M. S. (2001). Perceptions of nurses, nurse assistants, and families on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 with elderly people in care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3, 158-168 

  18. Lewin, K. (1951). Field theory in social science. New York, NY: Harper & Row 

  19. Ludwick, R., Meehan, A., Zeller, R., & O'toole, R. (2008). Safety work: Initiating, maintaining, and terminating restraints. Clinical Nurse Specialist, 22(2), 81-87 

  20. Mamun, K., & Lim, J. (2005). Use of physical restraints in nursing homes: Current practice in Singapore. Annals of Academy of Medicine, Singapore, 34, 158-162 

  21.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6, May 23). Human rights protection and safety management guideline for senior citizens welfare institution. Retrieved June 11, 2007, from http://www.mw.go.kr 

  22. Nay, R., & Koch, S. (2006). Overcoming restraint use: Examining barriers in Australian aged care facilitie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32, 33-38 

  23. Oh, J. J. (2000). The experience of nursing staff on the dementia patients' aggressive behavi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 293-306 

  24. Park, M., & Tang, J. H. (2007). Evidence-based guideline: Changing the practice of physical restraint use in acute care.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33(2), 9-16 

  25. Pekkarinen, L., Elovainio, M., Sinervo, T., Finne-Soveri, H., & Noro, A. (2006). Nursing working conditions in relation to restraint practices in long-term care units. Medical Care, 44, 1114-1120 

  26. Scherer, Y. K., Janelli, L. M., Kanski, G. W., Neary, A., & Morth, N. E. (1991). The nursing dilemma of restraint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17(2), 14-17 

  27. Slettebo, A., & Bunch, E. H. (2004). Solving ethically difficult care situations in nursing homes. Nursing Ethics, 11, 543-552 

  28. Smith, N. H., Timms, J., Parker, V. G., Reimels, E. M., & Hamlin, A. (2003). The impact of education on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s in the acute care setting.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34, 26-33 

  29. Strumpf, N. E., Robinson, J., Wagner, J., & Evans, L. (1998). Restraint free care: Individualized approaches for frail elders.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30. Suen L. K., Lai C. K., Wong T. K., Chow S. K., Kong, S. K., Ho, J. Y., et al. (2006). Use of physical restraints in rehabilitation settings: Staff knowledge, attitudes and predictor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5, 20-28 

  31. Testad, I., Aasland, A. M., & Aarsland, D. (2005). The effect of staff training on the use of restraint in dementia: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 587-590 

  32. Wang, W. W. (2005). Physical restraint use on people with dementia:A review of the literature. Australia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2(4), 46-52 

  33. Yeo, J. M., & Park, M. H. (2006). Effect of an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on the use of restrai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532-5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