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종합병원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수행능력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e in General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39 no.6, 2009년, pp.840 - 850  

박진아 (이대목동병원 순환기내과병동) ,  김복자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임상간호)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e among nurses in general hospitals. Method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correlational study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560 nurses from 5 general hospitals. The data were col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는 임상수행능력의 측정방법이 간호 실무의 수행 정도를 측정하거나 다양한 간호사례에 따른 문제해결 능력을 측정하는 등 연구마다 다양하였고 대상자 수의 차이로 인한 결과로 사료된다. 그러므로 다른 간호사 그룹을 대상으로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반복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들의 비판적 사고성향 및 임상수행능력을 조사하고,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수행능력과의 관계 및 임상수행능력의 예측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표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수행능력을 조사하고,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수행능력 간의 상관관계 및 임상수행능력의 예측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자의 경험상 임상에서 실무를 수행함에 있어 간호사들의 임상수행능력과 비판적 사고성향이 관계가 있다고 생각되어 이에 대한 근거를 밝히고, 선행연구들의 임상수행능력 측정방법의 다양성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고자 간호업무수행과 간호사의 능력 및 태도를 함께 측정하고, 대상자 수를 확대하여 연구를 시행함으로써 임상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은 무엇인가? 그러므로 간호사는 환자 상태에 대한 정확한 판단과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측하고 대처할 능력이 있는 전문성이 높은 임상수행능력을 필요로 한다. 간호사의 임상수행능력은 포괄적이며 추상적인 개념으로서 간호직무상 필요한 충분한 지식과 판단력, 기술, 강점을 보유하고 있는 특성 또는 상태를 의미한다(Jang, 2000).
종합병원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수행능력을 조사하고,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수행능력 간의 상관관계 및 임상수행능력의 예측 요인에 관한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무엇인가? 첫째,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수행능력을 파악한다. 둘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판적 사고성향의 차이와 임상수행능력의 차이를 확인한다. 셋째, 대상자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수행능력과의 관계를 분석한다. 넷째, 임상수행능력의 예측 요인을 분석한다.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의 범주도 다양해지고 있는 배경은 무엇인가? 의료기술의 발전, 대상자들의 요구 증가, 재원일수의 단축, 인구의 노령화, 질병의 복잡한 변화와 중증환자의 증가 등으로 건강관리체계가 점점 복잡해짐에 따라 간호사에게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의 범주도 다양해지고 있다. 그러므로 간호사는 환자 상태에 대한 정확한 판단과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측하고 대처할 능력이 있는 전문성이 높은 임상수행능력을 필요로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merican Philosophical Association. (1990). Critical Thinking: A statement of expert consensus for purposes of educational assessment and instruction. 'The Delphi Report', Committee on Pre-college Philosophy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15 423). Newark, DE: Author 

  2. Brunt, B. A. (2005).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An integrated review. The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Nursing, 36(2), 60-67 

  3. Chang, Y. H., Cho, Y. S., & Kwak, M. J. (2006). A study of factor related nursing competency in nurses. Clinical Nursing Research, 12, 7-19 

  4. Cho, H. S. (2005).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1, 222-231 

  5. Facione, N. C., Facione, P. A., & Sanchez, C. A. (1994).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s a measure of competent clinical judgment:The development of the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33, 345-350 

  6. Hwang, J. W. (1998).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7. Jang, K. S. (2000). A study on establishment of clinical career development model of nur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8. Jeon, Y. S. (2007). A study on multiple sources in the nurse performance apprais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9. Jung, D. Y. (2001).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ritical thinking skill about student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0. Kim, J. L. (2007).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11. Kim, S. Y. (2003). A study of professional self-concept,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nursing performance of operating room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12. Ko, K. J. (2003).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dong University, Gangneung 

  13. Kwon, I. S., Lee, G. E., Kim, G. D., Kim, Y. H., Park, K. M., Park, H. S., et al. (2006). Development of 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cale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 950-958 

  14. Lee, H. J. (2002). A study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empowerment of clinic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hee University, Seoul 

  15. Lee, M. J. (2002). A study on factor related to clinical competency in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6. Martin, C. (2002). The theory of critical thinking of nursing.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s, 23, 243-247 

  17. May, B. A., Edell, B., Butell, S., Doughty, J., & Langford, C. (1999). Critical thinking and clinical competence: A study of their relationship in BSN.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38, 100-110 

  18. Maynard, C. A. (1996). Relationship of critical thinking ability to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35, 12-18 

  19. Park, J. S. (2008).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f preceptor nurse and professional nursing competence of new graduate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20. Park, S. A., Park, K. O., Kim, S. Y., & Sung, Y. H. (2007). A development of standardized nurse performance appraisal tool. Clinical Nursing Research, 13, 197-211 

  21. Park, S. M., & Kwon, I. K. (2007). Factor influencing nurses' clinical decision making-Focusing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863-871 

  22. Profetto-McGrath, J. (2003). The relationship of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of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3, 569-577 

  23. Rane-Szostak, D., & Robertson, J. F. (1996). Issue in measuring critical thinking: Meeting the challenge.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35, 5-11 

  24. Shin, K. R., Ha, J. Y., & Kim, K. H. (2005) A longitudinal study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in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382-389 

  25. Shin, K. R., Kang, M. J., Ko, J. K., Kong, B. H., Kim, S. L., Park, I. S., et al. (2007). Critical thinking and nursing process. Seoul:Hyunmoonsa 

  26. Simpson, E., & Courtney, M. (2002).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education: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8, 89-98. 

  27. Zhang, Z. X., Luk, W., Arthur, D., & Wong, T. (2001). Nursing competencies: Personal characteristics contributing to effective nursing performan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3, 467-47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