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래 시나리오 기후조건하에서의 사과 '후지' 품종 재배적지 탐색
The Suitable Region and Site for 'Fuji' Apple Under the Projected Climate in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11 no.4, 2009년, pp.162 - 173  

김수옥 (경희대학교 생태시스템공학과) ,  정유란 (경희대학교 생태시스템공학과) ,  김승희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최인명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  윤진일 (경희대학교 생태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에 따른 작물 재배적지의 이동에 관한 정보는 농업분야 적응전략의 기초이기 때문에 연구자들뿐 아니라 정책결정자들도 큰 관심을 보인다. 하지만 재배적지의 개념을 분석차원에서 구체적으로 구현하는 일이 어렵기 때문에 아직 실용적인 적지판정법이 개발된 적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 시나리오 기후조건에서 사과 '후지'의 재배적지를 조사하기 위해 GIS 기반의 탐색기법을 이용하여 전자기후도, 토양전자지도, 수치지형정보, 농업기후 및 작물품질 예측모형 등을 종합적으로 활용, 체계적인 적지판정기법을 구현하였다. '후지'를 대상으로 한 적지판정 1차기준은 지표피복, 경사도, 토성이며, 2차 기준은 월동기간 중 동해위험도, 늦서리 피해위험도, 생육가능기간 등 기후조건, 3차기준은 과피의 색택, 과형지수 등 품질조건이다. 이들 조건을 지리정보시스템의 속성 레이어로 구현하고 중첩분석을 통해 재배적지를 검색하였다. 이 방법을 현재평년(1971-2000년)과 A1B 시나리오의 미래평년(2011-2040년, 2041-2070년, 2071-2100년) 기후에 적용하여 남한 전역을 대상으로 재배적지를 검색한 결과 현재평년의 경우 전국의 6.5%가 후지 재배적지에 해당하였고 2011-2040년 평년기후에는 전국의 약 1.8%, 2041-2070년 평년에는 0.3%, 2071-2100년 평년에는 전국의 0.1%까지 감소하여 전국규모에서 재배적지의 한계선 북상추세를 감지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개별 주산지 내에서도 적지이동 양상을 정밀하게 추적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formation on the expected geographical shift of suitable zones for growing crops under future climate is a starting point of adaptation planning in agriculture and is attracting much concern from policy makers as well as researchers. Few practical schemes have been developed, however, because of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현재 기후와 미래 변화된 기후조건에서 ‘후지’의 재배적지를 판정할 수 있는 주 요인에 대해 GIS layer를 제작하는 것을 첫째 목적으로 하고 이들 layer를 이용한 중첩분석을 통해 현재 및 미래 사과 주산지 내의 재배적지 이동양상을 필지 단위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26으로 대체하였다. 실험 1에서는 시료가 충분히 저온에 노출되어 내생휴면이 타파되면 발아에 이르기까지 걸리는 기간이 거의 일정해진다고 보고 그 기간을 최소발아일수로 가정하였고 실험 2에서 최소발아일수가 처음으로 나타나는 시기를 내생휴면해제일로 간주하였다.
  • 3). 이 분포양상은 2100년까지 불변이라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용적인 적지판정법이 개발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 기후변화에 따른 작물 재배적지의 이동에 관한 정보는 농업분야 적응전략의 기초이기 때문에 연구자들뿐 아니라 정책결정자들도 큰 관심을 보인다. 하지만 재배적지의 개념을 분석차원에서 구체적으로 구현하는 일이 어렵기 때문에 아직 실용적인 적지판정법이 개발된 적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 시나리오 기후조건에서 사과 '후지'의 재배적지를 조사하기 위해 GIS 기반의 탐색기법을 이용하여 전자기후도, 토양전자지도, 수치지형정보, 농업기후 및 작물품질 예측모형 등을 종합적으로 활용, 체계적인 적지판정기법을 구현하였다.
작물의 생육 및 과실품질은 어떤 요인에 영향을 받는가? 작물의 생육 및 과실품질은 토양특성, 비료, 강수량 및 관수, 일조시간, 병해충 등 여러 요인들의 복합적인 영향을 받는다(Westwood, 1993; 농촌진흥청, 2002). 최적의 재배적지를 판정하기 위해서는 여러 요인들을 함께 고려해야 하는데 이러한 중첩분석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기술이다.
‘후지’의 재배적지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3단계는 무엇인가? 1). 1단계에는 토양, 지형, 지표피복과 같은 토지의 불변속성에 대하여 사과원 개원가능 여부를 판단하였는데, 농경지 및 삼림피복 가운데 경사도 15% 이하인 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토성이 사양토와 식양토, 식토, 미사질양토인 지역을 선발하였다. 2단계에는 1단계의 조건을 만족하는 지역에 한해 기후적 요건을 적용한 것으로서 연중 생장유효적산온도(growing degree days, GDD) 및 동상해 위험도를 판정하는 과정이다. 동해위험지역은 재현기간 10년의 극 최저기온이 -28℃ 이하인 곳, 상해위험지역은 꽃눈이 개화한 이후에 늦서리가 오거나 숙기 도달 전 첫서리가 오는 지역을 가리킨다. 3단계에서는 기후적인 요건을 갖춘 지역 가운데 고품질 ‘후지’ 생산이 가능한 지역을 선발하였다. 품질요건으로서 기온과의 관계식이 정립된 anthocyanin 함량, hunter A 값 및 L/D 비를 선정하였다. 각 요소의 속성을 앞서 제시된 방법에 의해 GIS 주제 레이어로 구현하여 중첩분석을 실시하였는데 후지의 생물계절정보 등 알려지지 않은 부분은 포장 및 챔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esaraccio, C., D. Spano, R. L. Snyder, and P. Duce, 2004: Chilling and forcing model to predict bud-burst of crop and forest specie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126, 1-13 

  2. Choi, S. T., 1998: Improvement of packing and marketing in horticultural product : Establishment of the quality grades in fruits, Annual Research Report, National Horticulture Research Institute, RDA. p86-92 

  3. Chung, U., B. S. Hwang, H. H. Seo, and J. I. Yun, 2003: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index and overheating index in complex terrai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5, 200-20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ung, U., H. H. Seo, K. H. Hwang, B. S. Hwang, and J. I. Yun, 2002: Minimum temperature mapping in complex terrain considering cold air drainag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4, 133-140(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oi, J. Y., and J. I. Yun, 2002: Implementing the urban effect in an interpolation scheme for monthly normals of daily minimum temperatur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4, 203-21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Eccel, E., R. Rea, A. Caffarra, and A. Crisci, 2009: Risk of spring frost to apple production under future climate scenarios: the role of phonological acclim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53, 273-286 

  7. Jacobs, J. N., G. Jacobs, and N. C. Cook, 2002: Chilling period influences the progression of bud dormancy more than does chilling temperature in apple and pear shoots,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and Biotechnology 77, 333-339 

  8. Jung, J. E., U. Chung, J. I. Yung, and D. K. Choi, 2004: The observed change in interannual variations of January minimum temperature between 1951-1980 and 1971- 2000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6, 235-241 (In Korean withEnglish abstract) 

  9. Jung, J. E., E. Y. Kwon, U. Chung, and J. I. Yun, 2005: Predicting cherry flowering date using a plant phenology model,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7, 148-1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im, S. K., J. S. Park, E. S. Lee, J. H. Jang, U. Chung, and J. I. Yun, 2004: Development and use of digital climate models in Northern Gyunggi province ? I. Derivation of DCMs from historical climate data and local land surface features,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6, 49-6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im, S. O., J. H. Kim, U. Chung, S. H. Kim, G. H. Park,and J. I. Yun, 2009: Quantification of temperature effects on flowering date determination in Niitaka pear,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1, 61- 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won, E. Y., J. E. Jung, H. H. Seo, and J. I. Yun, 2004: Using digital climate modeling to explore potential sites for quality apple productio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6, 170-176 (In Korean withEnglish abstract) 

  13. Lee, S. G., I. H. Heo, K. G. Lee, S. Y. Kim, Y. S. Lee, and W. T. Kwon, 2008: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phenology and growth of crops: In the case of Naju,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3, 20-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Naor, A., M. Flaishman, R. Stern, A. Moshe, and A. Erez,2003: Temperature effects on dormancy completion of vegetative buds in apple,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128, 636-641 

  15. Nordli, O., F. E. Wielgolaski, A. K. Bakken, S. H. Hjeltnes, F. Mage, A. Sivle, and O. Skre, 2008: Regional trends for bud burst and flowering of woody plants in Norway as related to climate change, International Journal of Biometeorology 52, 625-639 

  16. Seino, H., 1993: An estimation of distribution of meteorological elements using GIS and AMeDAS data, Journal of Agricultural Meteorology 48, 379-383 (In Japanese withEnglish abstract) 

  17. Seo, H. H., 2003: Site selection criteria for the production of high quality apples based on agroclimatology in Korea, Ph. D. Dissertation, Kyung Hee University 

  18. Seo, H. H., and J. K. Kim, 2005: Cultivation of fruit trees in Korea under the changing climate, Proceedings of the Seventh Conference on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Sangju, 103-106 

  19. Shim, K. M., J. T. Lee, Y. S. Lee, and G. Y. Kim, 2004: Reclassification of winter barley cultivation zones in Korea based on recent evidences in climate change,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6, 218-2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Westwood, M. N., 1993: Temperate-zone Pomology: Physiology and Culture (3rd ed.). Timber Press Inc., 523pp 

  21. Yun, J. I., 2004: Visualization of local climates based on geospatial climatology.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6, 272-2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국립농업과학원, 1990: 주요과수재배지역의 기후특성. 농촌진흥청. 205pp 

  23. 농촌진흥청, 2002: 농업과학기술대전. 농촌진흥청, 805p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