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흡곤란 환자 응급간호 관리를 위한 알고리즘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an Algorithm for Emergency Nursing Care of Dyspneic Patient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5 no.4, 2009년, pp.491 - 505  

양진주 (광주보건대학 간호과) ,  장금성 (전남대학교 간호대학, 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lgorithm for emergency nursing care of dyspneic patients. Methods: This methodological study was done through reviews of medical records and literatures, checklists of emergency nursing care for dyspneic patients, interviews with nurses, and experts' validi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성공적인 알고리즘의 활용을 위해 관련의료인을 교육하였고 알고리즘 사용 전과 후의 의료비용과 환자 결과 및 재원일수를 비교 분석한 결과 긍정적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개발절차를 근거로 하여 두통, 복통, 호흡곤란 등의 흔한 주 호소 중 고빈도로 발생하고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호흡곤란 대상자의 의무기록지를 고찰하였고 호흡곤란 환자의 응급간호관리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임상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알고리즘의 내용타당도와 임상타당도를 확보하는 데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알고리즘 사용 전과 후의 비용과 환자 결과 및 재원일수와 같은 결과 변수를 제외하였고, 내용타당도를 거쳐 수정된 예비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전에 간호사들에게 교육한 후 임상에서 수행정도를 체크리스트로 실시하고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 따라서 알고리즘 사용으로 환자관리 효과성 및 실무수준 향상 등의 효과를 나타낸 것을 알 수 있었지만 응급실 간호사가 호흡곤란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구체적 경로에 관한 알고리즘 개발 연구는 전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호흡곤란 환자의 응급간호 관리에 관한 타당한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신속한 사정 및 관리는 물론 간호사의 의사결정 능력을 향상시키고 응급간호업무의 향상에 기여하고자 시도되었다.
  • 수정된 예비알고리즘에서 대상자들은 초기 사정결과로 나타난 즉각적인 소생술이 적용될 수 있는 여러 가지 증상을 나타냈지만 소생술이 적용된 경로를 나타내는 사례는 없었고 간호사들이 초기 사정 후 바로 즉각적인 응급간호를 수행하는 경로를 적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결과를 토대로 첫째 경로는 응급실 간호사가 대상자에게 초기 사정과 함께 즉각적인 응급간호를 수행하는 것을 정하였다.
  • 본 연구는 응급간호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자 2004년 10월 1일부터 2005년 4월 8일까지 순환기 ․ 호흡기계 호흡곤란 환자의 응급간호 관리를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임상에서 적용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0.
  • 호흡곤란은 조절이 가능한 양호한 상태에서부터 장기간의 질병상태로 발생할 수 있는 호흡곤란으로 인해 죽음까지도 초래할 수 있다(Braithwaite & Perina, 2002; Parshall, 2002; Spector, Connolly, & Carlson, 2007). 본 연구는 응급실에 내원하는 호흡곤란 환자 중 높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는 만성폐쇄성 폐질환, 천식, 폐렴, 울혈성 심부전 및 폐부종 환자를 중심으로 대상자의 의무기록지를 고찰하고 응급간호를 직접 관찰하여 호흡곤란 환자 응급간호관리에 관한 예비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임상타당도와 전문가타당도를 확인하여 표준화된 알고리즘을 개발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응급실에 내원하는 호흡기계 ․ 순환기계 호흡곤란 환자를 대상으로 효과적인 응급간호 관리를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적용하기 위함이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호흡곤란 환자의 응급간호 관리를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임상에서 적용한 후 타당도를 평가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연구대상은 응급간호체크리스트를 실시하기 위해 2004년 12월 13일부터 2005년 1월 20일까지 호흡곤란으로 내원한 32명의 대상자의 의무기록지와 간호사의 응급간호활동, 예비알고리즘의 내용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전문가 8인, 수정된 예비알고리즘의 임상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2005년 3월 8일부터 2005년 4월 8일까지 4주 동안 C 대학 병원의 응급실에 호흡곤란을 주 호소로 내원한 53명의 대상자의 의무기록지 및 이들 간호에 참여한 간호사 3명, 최종알고리즘에 대한 타당도를 조사하기 위한 21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자는 대상 병원 응급실 간호사들에게 연구의 목적을 설명하였고 호흡곤란 대상자의 응급간호체크리스트 실시와 수정된 예비알고리즘 적용 및 면담에 대한 자발적 동의를 받았다.
  • 호흡곤란 환자를 위한 응급간호 체크리스트를 구성하기 위해 2004년 10월 1일부터 2004년 12월 6일까지 연구자는 호흡곤란을 주호소로 내원한 만 18세 이상의 성인환자들의 의무기록지를 검토하여 질환명을 분류한 결과 천식 25명, 기흉 22명, 만성 폐쇄성 폐질환 19명, 심부전 19명, 폐렴 16명, 심근경색증 15명, 폐부종 8명, 특발성 폐섬유증 5명, 폐암 3명, 급성호흡곤란증후군 3명, 심방 세동 3명, 폐색전증 1명, 심장압전 1명으로 총 140명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고빈도 질환 중 외상, 외과적 수술이나 처치를 필요로 하는 환자를 제외한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 심부전, 폐렴 및 폐부종의 5개 질환을 대상으로 체크리스트와 알고리즘을 도출하기로 하였다. 이들 5개 질환의 의무기록지 분석결과 대상자에게 수행된 우선적인 응급간호는 기도, 호흡, 순환 및 의식 확인 등의 초기사정, 호흡상태 확인 및 맥박산소측정기 통한 산소포화도 모니터링, 산소요법, 수액 및 기관지 확장제 등의 약물요법, 응급 검사 체크 및 확인, 유치도뇨관 삽입과 필요시 흡인 등으로 나타났다.

가설 설정

  • 특히 산소포화도, 호흡상태의 지속적 관찰이 필요한데, 본 연구에서 즉각적인 응급간호 후에도 환자 상태가 호전되지 않고 90% 미만의 산소포화도를 나타낸 악화의 경우에는 간호사가 산소를 포함한 치료를 통해 세심하게 관찰하였고, 이후에 90% 이상의 산소포화도가 나타난 경우는 호전된 경우였고, 80% 미만으로 산소포화도가 낮아지면서 빈 호흡이 발생한 경우는 악화되는 경우로 기관 내 삽관과 인공호흡기 치료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둘째 경로와 셋째 경로는 90%의 산소포화도를 기준으로 악화와 호전의 경로로 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응급실 간호사들과의 면담결과와도 일치하였으며 호흡곤란 환자의 경우 산소포화도와 분당호흡수를 세심하게 확인하는 것이 실무에서 중요하게 강조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제시한 선행연구(Richard & Brian, 1999; Yang, 2005)와 일반적으로 저산소증을 나타내는 92% 이하의 산소포화도를 나타내는 대상자는 동맥혈 가스 검사를 측정하는 것이 호흡부전을 진단하는데 유용하다고 강조한 Booker(2004)의 연구 결과를 본 연구가 지지한다고 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흡곤란 환자가 응급실에 내원하면 간호사는 무엇을 해야하는가? 응급실에 내원하는 환자들의 주 호소는 복통, 흉통, 두통, 호흡곤란, 발열, 실신 등으로 다양한데 이 중 호흡곤란은 호흡 및 순환기계 환자의 주호소로서 환자가 스스로 관리할 수 있는 정도에서 생명을 위협하는 정도까지 다양한 상태로 나타난다. 호흡곤란 환자가 응급실에 내원하면 응급실 간호사는 신속하게 환자를 관찰하고 사정하여 호흡곤란의 증상을 완화시키고 악화되지 않도록 중재하여 생존율을 증가시켜야 하며, 이후에 호흡곤란을 일으킨 원인을 조사해야 한다(McEnroe Ayers & Lappin, 2004; Wilcock, Crosby, Hughes, Fielding, & Corcoran, 2002). 따라서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에 따라 신속하게 사정하고 관리하는 지침이 제시되면 복잡한 업무로 인해 소홀해질 수 있는 전문적 응급간호에 대한 의사결정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응급실에 내원하는 환자들이 주로 호소하는 증상은? 응급실에 내원하는 환자들의 주 호소는 복통, 흉통, 두통, 호흡곤란, 발열, 실신 등으로 다양한데 이 중 호흡곤란은 호흡 및 순환기계 환자의 주호소로서 환자가 스스로 관리할 수 있는 정도에서 생명을 위협하는 정도까지 다양한 상태로 나타난다. 호흡곤란 환자가 응급실에 내원하면 응급실 간호사는 신속하게 환자를 관찰하고 사정하여 호흡곤란의 증상을 완화시키고 악화되지 않도록 중재하여 생존율을 증가시켜야 하며, 이후에 호흡곤란을 일으킨 원인을 조사해야 한다(McEnroe Ayers & Lappin, 2004; Wilcock, Crosby, Hughes, Fielding, & Corcoran, 2002).
호흡기계 호흡곤란 환자의 응급간호 관리를 위한 알고리즘을 개발을 위한 연구의 제언 내용은? 첫째, 본 연구는 호흡곤란 환자의 응급간호 관리를 위한 알고리즘이므로 다른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를 위해서는 이러한 연구개발 절차를 활용하여 응급간호 관리를 위한 의사결정의 지침이 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개발하도록 제언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알고리즘은 3차 교육병원에서 수행된 연구로 임상타당도와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였을지라도 광범위하게 적용하여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여러 기관에서 반복적 활용을 통해 임상타당도를 확인해야 한다고 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ooker, R. (2004). The effective assessment of acute 

  2. Bozkurt, B., & Mann, D. L. (2003). Shortness of breath. 

  3. Braithwaite, S., & Perina, D. (2002). Dyspnea. In J. Marx, R. 

  4. Bridgeman, T., Flores, M., Rosenbluth, J., & Pierog, J. (1997). 

  5. Considine, J. (2005). The role of nurses in preventing adverse 

  6. Dickersion, S. S., Sackett, K., Jones, J. M., & Brewer, C. (2001). 

  7. Ferrin, M. S., & Tino, G. (1997). Acute dyspnea. AACN Clin 

  8. Frakes, M. A. (1997). Asthma in the emergency department. J 

  9. Jevon, P., & Ewens, B. (2001). Assessment of a breathless 

  10. Kathleen, F., & Windy, F. (1999). Acute symptom assessment: 

  11. McEnroe Ayers, D. M., & Lappin, J. S. (2004). Act fast when 

  12. Parshall, M. B. (2002). Psycometric characteristics of dyspnea 

  13. Parshall, M. B., Welsh, J. D., Brockopp, D. Y., Heiser, R. M., 

  14. Paul, S. (1999). Developing practice protocols for advanced 

  15. Richard, R., & Brian, C. (1999). Acute respiratory failure 

  16. Spector, N., Connolly, M. A., & Carlson, K. K. (2007). 

  17. Seigh, P. J. (1999). Emergency! pulmonary edema. Am J Nurs, 

  18. Teresa. S. (2003). The new NICE guidelines on COPD. Br J 

  19. Tnanbe, P., Gimbel, R., Yarnold, P. R., & Adams, J. G. (2004). 

  20. Van Orden Wallace, C. J. (1998). Emergency! acute pulmonary 

  21. Welsh, J. D., Heiser, R. M., Schooler, M. P., Brockopp, D. Y., 

  22. Wickham, R. (2002). Dyspnea: Recognizing and managing an 

  23. Wilcock, A., Crosby, V., Hughes, A., Fielding, K., & Corcoran, 

  24. Woodrow, P. (1999). Pulse oximetry. Nursing Standards, 13(42), 

  25. Yang, J. J. (2005).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dyspnea i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