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리 세이지(Salvia officinalis L.) 추출물의 생리활성 탐색
B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Cherry Sage (Salvia officinalis L.)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9 no.3 = no.107, 2009년, pp.390 - 396  

차원섭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주인식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윤동혁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천성숙 (영남대학교 식품가공학과) ,  김정환 (엔아이피 바이오텍) ,  조영제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료추출의 최적 조건을 알아보고자 각각 추출 용매별, 농도별, 시간별로 비교하였다. 먼저 추출용매별로 비교한 결과물 추출물에서 36.2 mg/g, 60% ethanol, 60% methanol, 60% acetone 추출물에서 각각 42.7, 40.3, 39.6 mg/g의 함유량을 나타냈다. 따라서 체리 세이지를 60% ethanol에서 24시간 추출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 판단되었다. 한편 생리활성 효과는 추출물의 농도를 $200{\mu}g/ml$로 조절하여 실험하였다.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은 60% ethanol 추출물에서 66.3%로 나타났으며, ABTS radical decolorization을 측정한 결과 60% ethanol 추출물에서 97.6%로 나타났다.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는 60% ethanol 추출물에서 2.26 PF로 나타났으며, PF와 같이 지용성 물질의 항산화력을 나타내는 TBARS값은 control값이 $0.62{\times}10^2{\mu}M$로 나타났고, 60% ethanol 추출물에서 $0.29{\times}10^2{\mu}M$의 TBARS값을 나타났다. Xanthine oxidase 활성억제 효과는 78%의 저해율을 나타냈고, ACE 활성억제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alpha$-Amyl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60% ethanol 추출물에서 7.6%의 낮은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H. pylori균에 대한 항균활성은 50, 100, 150, $200{\mu}g/ml$ 농도별로 각각 10, 12, 13, 15 mm의 clear zone을 형성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extracts from S. officinalis were tested for antioxidative effects and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alpha$-amylas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and xanthine oxidase (XOase). The content of total phenolic compounds in water, 60% ethanol, 60% methanol and 60% ace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리세이지의 생리활성 효과를 탐색하고 기능성식품 소재의 개발에 활용코자 항산화 활성, 항당뇨, 항고혈압 효과, 항관절염 효과 및 H. pylori에 대한 항균 효과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구로 밝혀진 체리세이지에 있는 항산화 성분에는 무엇이 있는가? 또한 Lamiaceae 속에 속하는 허브로 향신료로 많이 이용되었으나 세이지 추출물이 우수한 항산화력을 갖는다는 것이 보고되면서[17], 세이지에 함유되어 있는 항산화 물질들을 밝혀내려는 연구들이 계속되고 있다. 이미 밝혀진 항산화 성분으로는 carnosic acid, rosemarinic acid [15]와 sagecoumarin, sagericin acid, caffeic acid, luteolin-7-O-glucoside, apigenin, hispidulin, carnosol, rosemanol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terpenes, flavonoids, phenolic acid 등이 있다[2].
허브는 무엇인가? 허브는 꽃과 줄기, 잎, 뿌리 등을 약이나 향신료 등으로 사용하는 식물을 말하는데[6,30], 이들이 가지고 있는 항균성, 항산화성 또는 항돌연변이성을 이용하여 요리에 첨가하기도 하고 민간요법으로 이용되어 오기도 했다[12]. 그 중 체리세이지(Salvia officinalis L.
체리세이지는 무엇인가? 그 중 체리세이지(Salvia officinalis L.)는 오래전부터 만병통치약으로 알려진 약용 식물로서 약용 살비야 또는 common sage라고도 하며 흔히 salvia라는 이름으로도 불린다. 독특하고 선명한 강한 향으로 관상, 향료, 채취, 요리, 염색, 약용으로 이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ndarwulan, N. and K. Shetty. 1999. Phenolic content in differentiated tissue cultures of untransformed and Agrobacteriumtransformed roots of anise (pimpinella anisum L.). J. Agric. Food Chem. 47, 1776-1780 

  2. Areias, F., P. Valentao, P. B. Andrade, F. Ferreresand, and R. M. Seabra. 2000.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of Sage: Influence of some Agricultural Factors. Agric. Food Chem. 48, 6081-6084 

  3. Azuma, K., M. Nakayama, M. Koshika, K. Lppoushi, Y. Yamaguchi, K. Kohata, Y. Yamauchi, H. Ito, and H. Higashio. 1999. Phenolic antioxidants from the leaves of Corchorus olitorius L. J. Agric. Food Chem. 47. 3963-3966 

  4.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8-1199 

  5. Buege, J. A. and S. D. Aust. 1978. Microsomal lipid peroxidation. Method Enzymol. 105, 302-310 

  6. Bunney, S. 1992.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herbs. Chancellor Press. London, England 

  7. Cavidson, P. H. and M. E. Parish. 1989. Methods of testing the efficacy of food antimicrobials. Food Technol. 43, 148-150 

  8. Chae, S. Y., S. H. Shin, M. J. Bae, M. H. Park, M. K. Song, S. J. Hwang, and S. T. Yee. 2004. Effect of arabinoxylane and PSP on activation of immune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278-286 

  9. Cho, T. D., J. H. Song, and C. S. Cho. 2000. Health and Cosmetics with herb. Jeonwon, Seoul, Korea 

  10. Cho, Y. J., I. S. Ju, O. J. Kwon, S. S. Chun, B. J. An, and J. H. Kim. 2008. Biological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Portulaca oleracea.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1, 49-54 

  11. Cho, Y. S., S. S. Chun, H. J. Kwon, S. J. Yoon, and K. H. Lee. 2005. Comparison of Physiological Activities between Hot-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Bokbunja (Rubus coreanum 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790-796 

  12. Choi, H. R. and E. H. Choi. 2003. Screening of antimicrobial and antioxidative herb. J. Natural Science 15, 123-131 

  13. Chun, S. S., D. A. Vattem, Y. T. Lin, and K. Shetty. 2005. Phenolic antioxidants from clonal oregano(Origanum vulgare) with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Helicobacter pylori. Process Biochemistry 40, 809-816 

  14. Cushman, D. W. and M. A. Ondetti. 1980. Inhibitors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for treatment of hypertension. Biochem. Pharmacol. 29, 1871-1877 

  15. Cuvelier, M. E., H. Richard, and C. Berset. 1996. Antioxidative activity and phenolic composition of pilot- plant and commercial extracts of sage and rosemary. J. Am. Oil Chem. Soc. 73, 645-652 

  16. Diker, K. S. and G. Hascelik. 1994 The bactericidal activity of tea against Helicobacter pylori. Letters in Appl. Microbiol. 19, 299-300 

  17. Farag, R. S., A. Z. Badei, M. A., Hawedi, and G. S. A. Elbaroty. 1989.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spice essential oils on linoleic acid oxidation on aqueous media. JAOCS 66, 792-796 

  18. Ham, S. S., J. K. Hong, and J. H. Lee. 1997. Antimutagenic effects of juices from edible Korean wild herbs. J. Food Sci. Nutr. 2, 155-161 

  19. Hatano, T., T. Yasuhara, R. Yoshihara, and T. Okuda. 1991. Inhibitory effects of galloylated flavonoids on xanthine oxidase. Planta Medica, 57, 83-86 

  20. Huang, M. T., C. T. Ho, and C. Y. Lee. 1992. Phenolic compounds in food. In phenolic compounds in food and their effects on health Ⅱ. pp. 2-7, Maple Press, New York 

  21. Jung, S. H., W. A. Jo, J. H. Son, S. E. Choi, C. I. Park, I. C. Lee, B. J. An, A. R. Son, S. K. Kim, Y. S. Kim, and J. T. Lee. 2005.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osmetic materials and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Forsythia koreana Nakai. Kor. J. Herbology, 20, 61-68 

  22. Kim, E. Y., I. H. Baik, J. H. Kim, S. R. Kim, and M. R. Rhyu.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 J. Food Sci. Tech. 36, 333-338 

  23. Kim, J. H. 2006. Biological Activities of Phenolic Compound from Herb and Oriental Medicinal Resource. M.A. Thesis, Sangju National University 33-34 

  24. Kim, J. H., S. J. Yoon, K. H. Lee, H. J. Kwon, S. S. Chun, T. W. Kim, and Y. J. Cho. 2005.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of the Extracts from Basil (Ocimum basilicum L.).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173-177 

  25. Kim, K. S., S. H. Shim, G. H. Jeong, and C. S. Cheong. 1998. Antidiabetic activity of constituents of Lycii fructus. The Journal of applied pharmacology 6, 378-382 

  26. Kwon, T. D., S. W. Choi, S. J. Lee, K. W. Chung, and S, C. Lee. 2001. Effects of polyphenol or vitamin C ingestion on antioxidative activity during exercise in rats. Kor. J. Physical Education 3, 891-899 

  27. Lee, D. H., J. H. Kim, N. M. Kim, J. S. Park, and J. S. Lee. 2002. Manufacture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Korean traditional liquor by using Paecilomyese japonica. Kor. J. Mycal. 30, 141-146 

  28. Moon, S. H. and M. K. Lee. 1998. Inhibitory effects of xanthine oxidase by boiled water extracts and tannin from persimmon leaves. Korean J. Food Nutr. 11, 354-357 

  29. Pellegrin, N., R. Re, M. Yang, and C. Rice-Evans. 1998.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s for antioxidant activites applying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 tion assay. Method Enzymol. 299, 379-389 

  30. Ryoo, J. W. and B. C. Cha. 1998. Mineral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y in some herb plant. Korean J. Medicinal Crop Sci. 6, 28-32 

  31. Stirpe, F. and E. Della Corte. 1969. The reglu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J. Biol. Chem. 244, 3855-3863 

  32. Storch, I. and E. Ferber. 1998. Detergent-amplified chemiluminescence of lucigenin for determination of superoxide amino production by NADPH oxidase and xanthine oxidase. Anal. Biochem, 169, 262-267 

  33. Wyngaarden, J. B. and E. W. Holmes, Jr. 1997. Molecular nature of enzyme regulation in purine biosynthsis. Ciba Found Symp. 48, 43-64 

  34. Yoon, Y. J. 1991. Herb life, Seowon,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