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요 포털들의 디렉토리 서비스 비교 평가 - 컴퓨터, 인터넷 분야를 중심으로 -
Comparative Evaluation of Directory Services Provided by Major Korean Search Portals: In the Field of Computer and Internet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3 no.1, 2009년, pp.215 - 234  

박소연 (덕성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디렉토리 서비스는 인터넷 초창기부터 존재해 왔던 포털들의 대표적 서비스이며, 웹 상의 정보들 중 선별된 사이트들을 주제별로 조직하여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검색 포털들인 네이버, 다음, 야후, 엠파스의 디렉토리 서비스와 Open Directory를 커버리지, 카테고리 생성 기준, 사이트 선택 및 등록 기준, 계층 구조 설계, 최신성과 명확성, 카테고리 및 사이트 배열순서, 분류 체계의 관점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디렉토리 서비스의 개선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용자가 우수한 디렉토리 서비스 선택 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perform an evaluation of directory services provided by major Korean search portals: Naver, Daum, Yahoo-Korea, and Empas. A directory service of Open Directory is also compared. These directory services are evaluated in terms of the coverage, category creation criteria, site sel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검색 포털들인 네이버, 다음, 야후, 엠파스의 디렉토리 서비스를 컴퓨터, 인터넷 분야를 중심으로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대표적인 국외 웹 디렉토리 서비스인 Open Directory를 국내 웹 디렉토리 서비스들과 비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포메이션 아키텍처 이론과 관련 선행 연구에 근거하여 디렉토리 서비스의 평가 기준을 선정하고, 이 기준에 근거하여 디렉토리 서비스들을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검색 포털들인 네이버, 다음, 야후, 엠파스를 대상으로 이들이 제공하는 디렉토리 서비스 내 컴퓨터, 인터넷 카테고리를 분석, 평가하였다. 4개의 포털들을 선택한 이유는 첫째, 이들의 인지도와 대중성 때문이며, 둘째, 이들이 디렉토리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검색 포털들인 네이버, 다음, 야후, 엠파스의 디렉토리 서비스를 컴퓨터, 인터넷 분야를 중심으로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또한 대표적인 국외 웹 디렉토리 서비스인 Open Directory를 국내 웹 디렉토리 서비스들과 비교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위 기준에 근거하여 디렉토리 서비스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평가를 위한 자료는 2009년 1월 첫째 주에 수집되었고, 평가 작업은 2009년 1월 한 달 동안 실시되었다.
  • 대부분의 디렉토리 관련 국내 선행 연구들은 문헌 분류 체계와의 비교를 통한 웹 문서 분류 체계 제안에 치중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항해 및 탐색을 위한 평가 기준에 초점을 두고자하며, 실제 데이터의 상세한 분석으로부터 디렉토리 서비스 개선안을 도출하여 제안하고자 한다.
  • 또한 대표적인 국외 웹 디렉토리 서비스인 Open Directory를 국내 웹 디렉토리 서비스들과 비교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포메이션 아키텍처 이론과 관련 선행 연구에 근거하여 디렉토리 서비스의 평가 기준을 선정하고, 이 기준에 근거하여 디렉토리 서비스들을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대부분의 디렉토리 관련 국내 선행 연구들은 문헌 분류 체계와의 비교를 통한 웹 문서 분류 체계 제안에 치중해 왔다.

가설 설정

  • Newsgroups, Usenet, Bulletin board system과 같은 카테고리들도 동일 계층인 “Internet”카테고리의 하위 카테고리로 배치하는 것이 논리적일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Rosenfeld와 Morville은 인포메이션 아키텍처를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가? Rosenfeld와 Morville(2002/2003, p.26)은 인포메이션 아키텍처를 “① 인포메이션 체계 내의 내비게이션 체계, 레이블링, 조직화, ② 컨텐츠에 직관적으로 접근하고, 업무처리가 용이하게 정보공간을 설계하는 것, ③ 사용자가 정보를 쉽게 찾고 관리할 수 있도록 웹사이트나 인트라넷을 분류하고 구조화하는 학문, ④ 디지털 세계를 구조화하고 설계하는 원칙을 세우는데 중점을 두고 새롭게 등장한 전문 분야와 이와 관련한 커뮤니티”로 정의하고 있다.
디렉토리 서비스의 장점은? 디렉토리는 단계별 계층 구조로 구성되며, 상하 관계, 연관 관계와 같은 주제어의 상호 관계를 나타내 준다. 디렉토리 서비스는 인터넷 초창기부터 존재해 왔던 포털들의 대표적 서비스이며, 키워드 검색보다 비교적 양질의 정보를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렉토리 서비스는 특정한 주제 분야나 주제 구조에 익숙하지 않은 이용자들에게 주제가 유사한 사이트들을 쉽게 브라우징 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검색에 이용될 질의에 대한 정황 또는 배경 정보를 제공하며, 탐색의 확장 및 축소를 용이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Kosh 1997). 따라서 포털들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이용자에게 보다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고, 이용자의 항해 및 브라우징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디렉토리 서비스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평가가 요청된다.
웹 디렉토리들의 공통적인 문제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웹 디렉토리 서비스의 평가 기준을 설정하고, 이 기준에 따라 국내 주요 검색 포털들인 네이버, 다음, 야후, 엠파스와 국외의 Open Directory의 디렉토리 서비스를 비교, 평가하였다. 조사 결과, 디렉토리들의 공통적인 문제점으로는 최소 등록 단위 및 사이트 선정 기준의 부재, 과다한 카테고리와 링크 카테고리의 생성, 계층의 폭과 깊이의 문제점, 일관성 부족한 분류 기준과 미니그룹 구분 기준 등을 들 수 있다. 조사 대상 디렉토리들 중 다음은 불필요한 카테고리 생성과 링크 카테고리 생성을 절제하여, 카테고리 생성과 관련된 관리를 가장 잘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곽철완. 2001. 인터넷 쇼핑몰의 상품 분류체계에 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18(4): 210-215. 

  2. 김명옥. 2007. 기독교 분야 웹문서 분류체계 설계를 위한 비교 분석적 고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3): 127-144. 

  3. 김성희. 2002. 인터넷상의 디지털 문화컨텐츠 분류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3): 181-200. 

  4. 김영보. 1997. 인터넷 탐색엔진의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컴퓨터, 인터넷 분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5. 남영준. 1998. 웹 문서 분류체계의 분석 및 새로운 설계.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2(3): 207-230. 

  6. 박소연, 이준호, 김지승. 2005. 클릭 로그에 근거한 네이버 검색 질의의 형태 및 주제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9(1): 265-278. 

  7. 배영활, 오동근, 여지숙. 2008. 인터넷포털과 인터넷서점의 어린이자료 분류시스템의 비교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 (3): 321-344. 

  8. 배희진, 이진숙, 이준호, 박소연. 2004. 국내 웹 디렉토리들의 커버리지 및 커버리지 중복성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21(1): 173-186. 

  9. 배희진, 이준호, 박소연. 2004. 로그분석을 통한 네이버 이용자의 디렉토리 접근 형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5(1): 1-17. 

  10. 신동민. 2001. 인터넷 검색엔진의 디렉토리 구성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18(2): 143-163. 

  11. 오동근, 황재영, 배영활. 2001. 군사학 분야 웹 문서 분류체계의 설계.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2(2): 323-347. 

  12. 이란주, 성기주, 양정하. 2001. 여성학분야 인터넷 자원의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2(3): 397-417. 

  13. 이명희. 2000. 국내 디렉토리 검색엔진의 교육 분야 분류체계 연구. 국회도서관보, 37(2): 25-46. 

  14. 이창수. 2001. 정보통신기술 분야 인터넷 자원의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1(4): 111-138. 

  15. 정경희. 2004. 의학 분야 웹 자료의 분류에 대한 개선 방안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1(2): 89-106. 

  16. 최재황. 1998. 인터넷 학술정보자원의 디렉토리 서비스 설계에 있어서 DDC분류 체계의 활용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15(2): 47-67. 

  17. 최희윤. 1998. 인터넷 정보서비스의 분류체계에 대한 비교연구: 물리학을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15(3): 45-57. 

  18. 한상길. 2001. 산업분야 인터넷 자원의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18(3): 285-309. 

  19. Chau, M., Fang, X., and Yang, C. C. 2007. "Web searching in Chinese: A study of search engine in Hong Kong."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8(7): 1044-1054. 

  20. Jacko, J. A., and Salvendy, G. 1996. "Hierarhical menu design: Breadth, depth, and task complexity." Perceptual and Motor Skills, 82: 1187-1201. 

  21. Kosh, T. 1997. "The role of classification schemes in Internet resource description and discovery." [cited 2009.1.19]. . 

  22. Koshman, S., Spink, A., and Jansen, B. J. 2006. "Web searching on the Vivisimo search engine."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7(14): 1875-1887. 

  23. Larson, K., and Czerwinski, M. 1998. "Web page design: Implications of memory, structure and scent for information retrieval." [cited 2009.1.23]. . 

  24. Miller, D. P. 1981. "The depth/breadth tradeoff in hierarchical computer menus." In Proceedings of the Human Factors Society: 296-300. 

  25. Netscape Communications Corporation. 2004. "Open Directory Editing Guidelines." [cited 2009.2.2]. . 

  26. Rosenfeld, L., and Morville, P. 2003. 효율적인 웹사이트 구축을 위한 인포메이션 아키텍처. 남상신 역. 서울: 한빛미디어. (원서출판 2002). 

  27. Snowberry, K., Parkinson, S. R., and Sisson, N. 1983. "Computer display menus." Ergonomics, 26(7): 699-7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